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Roots of Buddhist Imperialism in Modern Japan, 1868-1945

        허남린(Hur, Nam Lin) 한국불교연구원 2012 불교연구 Vol.36 No.-

        Buddhism is a religion that promotes peace and forbids killing. Nevertheless, many Buddhist leaders in prewar Japan paradoxically encouraged their followers to kill enemies and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glory of Imperial Japan. How do we make sense of these Buddhist leaders who brought Buddhism into the servic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promoted destruction? What caused them to run counter to the peace-loving teachings of Buddhism? Hur, who labels this type of aberrant prewar Japanese Buddhist behavior as “Buddhist imperialism,” suggests that it was grounded, more than anything else, in three key elements embedded in Japanese Buddhist tradition and prewar polity. First, in prewar Japan, Buddhism remained the dominant religious agency of death rituals, ancestor worship, and the repository of filial piety. Second, Buddhist leaders competed to offer their service to the polity of “family-state” (kazoku kokka) in which the value of filial piety nourished in Buddhist rituals was merged into that of loyalty toward the emperor. Third, Buddhists, who were freed from the monastic life of Buddhist sangha and proceeded to refashion their religion as an arena of family business dealing with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loyalty, collaborated with Imperial Japan for financial gains and social prestige. In sum, these three elements were combined to nurture “Buddhist imperialism” in prewar Japan. 메이지 이후 1945년에 이르기까지 일본불교는 제국주의의 앞잡이 노릇을 하였다. 청일전쟁이 한창이던 시기, 정토진종의 한 지도자는 일본의 적인 중국인은 불교식으로 말하자면 번뇌의 근본인 食瞋癡와 마찬가지인 존재이므로 이들을 많이 죽이면 죽일수록 탐진치가 제거되어 어느 누구보다 빨리 깨달음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설법하였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시절에는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치라고, 그것은 불교에서 말하는 아집과 자아를 버리고 불교의 지고의 가치인 無我를 실현하는 것으로, 그리고 천황을 위한 희생을 통하면 누구나 죽어서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젊은이들을 전쟁의 사지로 내몰았다. 일본의 불교적 제국주의는 어디에서 연유한 것일까? 필자는 前戰 일본에 있어서의 불교적 제국주의는 다음의 세 가지 중층적인 종교적 환경에 그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본다. (1) 불교는 일본사회에서 전통적으로 檀家制度를 통해 死者儀禮 및 祖上崇拜의 담지자적 역할을 독점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이는 조선에서 유교가 담지했던 역할보다 훨씬 강력했던 것으로, 근대에 들어 반불교적 운동 속에서 탄압을 받았으나 그러나 그것도 잠시, 일본불교는 종전의 사자 및 조상신을 둘러싼 가족의례의 독점권을 빠르게 회복하였다. 이후 불교는 孝의 가치를 의례적으로 실행하는 종교의 중심축으로서 가족들의 의례생활에 계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2) 불교의례를 통해 정의되고 규정되는 효의 윤리적 가치는 家族國家의 국체가 확립되면서 점차 천황의 일극을 향한 忠의 가치로 수렴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혈족을 향한 효의 가치를 천황을 향한 충의 가치로 전환시키는데 중심적 역할을 담당한 것도 역시 불교였다. 가족국가의 기치 아래 군사적 제국주의의 길을 모색했던 일본에 있어 불교는 유용한 정치적 도구였으며, 불교도 이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면서 자신의 이익기반을 넓혀갔다. (3) 불교승려들이 제국일본 및 천황으로 수렴 통합되어 가는 효와 충의 가치를 종교적으로 해석하고 실현해 가는데 있어 큰 힘을 실어주었던 것은 그들을 불교적 계율로부터 해방시켜준 메이지 정부에 의한 “肉食妻帶”의 합법화였다. 승가의 속박에서 벗어나 일반인과 같은 사회적 지위를 부여받은 승려들은 거의 대부분 결혼을 하여 가족을 꾸리고, 자신의 절을 일가족의 재산으로 전환하고, 그리고 이를 대대손손 혈족에게 상속시키는 경제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서 사원경제, 즉 수입원의 기축을 이룬 것은 사자의례 및 조상숭배 의례의 독점권 행사에 있었고, 그러면서 이익의 증대를 위해 계율에 얽매이지 않고, 효와 충을 전면에 내세운 제국일본의 국가정책에 제도적 갈등없이 적극 협력할 수 있었다. 일본불교의 제국주의는 단순한 이념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 물적 이익에 토대를 두고 있었던 사회적 실행의 문제로, 사자의례의 가족적 사원경제가 그 중심에 있었다. 하나의 절을 운영하는 것은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가족의 생존을 위해, 사회적 영향력을 위해, 그러면서 일반인 보다 우위에 서서 이를 추구하는 일종의 특권적 가족경제, 가업의 경영과 같았다. 이러한 불교적 가업의 경영과 계승은 제국일본이 제공한 효와 충의 폭력적 기제를 적극 활용하고 이를 또한 부추기면서 제도화하여 갔던 것이다.

      • KCI등재

        규율과 질서 : 임진왜란과 유교적 사회질서

        허남린(Nam lin Hur)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조선조 유교사회의 지배구조의 실상은 무엇이며, 이로부터 파생된 권력 및 권위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사되었는가? “규율과 질서”에 관련된 사례분석을 통해 조선사회의 “유교적” 지배구조의 특성을 밝히는 문제는 매력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죄지은 자에게 형벌을 가하는 것은 어느 사회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이다. 하지만 무엇을 죄로 규정하고, 어떠한 형태의 형벌을 가하는가는 그 사회의 지배구조와 이에 기반한 권력과 권위의 양태에 따라 그 전개를 달리한다. 형정은 유교입국을 표방했던 조선에서는 예와 더불어 통치원리의 양대축이었다. 왜적의 침입으로 국가의 위기에 봉착한 조선은 규율과 질서의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자 했는가? 본 논문에서는 16세기말 임진왜란 기간 중에 발생한 “죄와 벌”의 문제에 관련된 세 가지의 사례분석을 통해 조선사회의 지배질서의 단면을 추적한다. 첫 번째는 신분질서와 유교적 권력에 관한 것으로, 노비의 신분이지만 전란의 와중에 조령의 방어장이 되었던 신충원의 인생역전을 통해 조선의 지배세력은 노비계층에 대한 어떠한 규제장치를 유지하려 했는가 검토한다. 두 번째는 전쟁기에 발생한 토적의 실상과 이들을 토벌하고자 했던 조선정부의 대책에 관한 문제이다. 토적의 횡행과 이들을 때로는 환대했던 민중들의 일상적 삶과 유교적 지배구조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추적한다. 세 번째는 의병장 김덕령에 관한 사례이다. 중국의 원군이 물러간 상황에서 출현한 김덕령에 대해 선조조정은 처음에 그를 적극적으로 격려했으나, 전쟁의 소강상태가 지속되고 반란이 야기되는 상황 속에서, 결국은 그를 제거하기에 이른다. 이들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왕권을 중심으로 한 조선의 지배세력은 형정의 실시에 있어 유교적 왕도정치를 실천하려 했는가? 이들 사례는 유교적 왕도정치와는 거리가 먼 지배구조의 본질을 보여주었다. 조선사회에서 과연 무엇이 “유교적” 지배질서의 표상이었고, 무엇이 “유교적” 권력의 행사였는가 하는 물음은 쉬운 문제가 아니다. 유교적 담론이 주도하는 조선사회는 분명 이데올로기적으로는 유교적이었으나, 권력과 권위의 행사에 있어서는 현실정치의 필요와 지배계급의 이해에 종속되는 특성이 강한 사회였다. 규율과 질서에 있어 어떠한 측면이 구체적으로 “유교적”이었는지 물음 자체에 대해 되묻지 않을 수 없다. Which Confucian features can one find in the governing structure of Chos?n Korea? How were the power and authority of its governing system exercised? It would be fascinating to try to understand the “Confucian” features of Chos?n’s governing system through the examples of “regulations and social order.” It is common in any society that those who commit crimes are punished. But when it comes to the issue of which activities are defined as crimes and what kinds of punishment are meted out, the problem is not simple. Each society has its own way of defining crime and punishment, depending on its governing system and modes of power and authority. The administration of punishment, along with Confucian decorum (or ye), constituted the core principles of governing in the Confucian based Chos?n state.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governing order of Chos?n society by analyzing three examples of “crime and punishment” that took place during the period of the Imjin war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The first example involves the issue of social status order and Confucian power, seen in the life history of Sin Ch’ungw?n. He rose from a nobi to become a military captain of the Chory?ng area. The case of Sin Ch’ungw?n, who was eventually punished after the war, shows how the ruling yangban class of Chos?n society tried to preserve the nobi system. The second example concerns the frequent eruption of banditry,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suppress the bandits during wartime. Local bandits were often welcomed by local residents and this helps us understand the Confucian governing fabric of Chos?n society. The third example involves a respected army leader, Kim T?kny?ng. The Chos?n government initially praised Kim as a leader of “righteous armies” (in a situation where the rescue troops of Ming China had retreated back to their country), then eventually killed him after a considerable lull during the war. Taken together, what do these examples tell us about the kingly ideals of Confucian politics championed by King S?njo? As far as the issue of crime and punishment is concerned, these examples hardly show the kingly ideals of Confucian politics. What can we say about “Confucian” ideals or power in the governing system of Chos?n society? It is not an easy question. Chos?n society, which was dominated by Confucian discourses, was certainly Confucian. But when it came to the practice of power and authority, it seemed to succumb to the strategies of politics as well as to the mundane interests of the ruling class. This warrants detailed consideration of which specific aspects of Chos?n society were so “Confucian.”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 일반상식 속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주의 속의 일반상식

        허남린 ( Nam Lin Hur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2

        다문화주의는 서로 다른 문화, 서로 다른 가치, 서로 다른 사고 방식의 조화로운 공존을 지향한다. 한편, 상식은 사회의 구성원이 일반적으로 공유하는 지식, 가치, 일상생활의 경험을 지칭한다. 다문화주의와 상식은 다양화와 공유화라는 서로 상반되는 가치 지향성으로 인해 상호 모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논의되는 다문화주의의 방향은 이미 규정한 다문화주의의 “상식”을사회 일반에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서로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한국사회가필요로 하는 다문화주의는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것인가? 이 문제에 대해 필자는, 바람직한 다문화주의의 방향은 다문화주의의 상식을 먼저 상정 혹은 규정하고 이를 일방적으로 사회일반에 적용하는 것이아니라, 이와는 역으로 상식의 다원화를 먼저 풍성하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다문화주의의 다양한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상식의 다양화로부터 다문화주의의 모색은 무엇보다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가치의 상식, 행동의 상식을 깨고, 이를 다양화하는 노력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의 상식을 전제로 추진되는 다문화 주의는 다문화주의라는 미명 하에 기존의 상식을 합리화하고 강화시키는 반다문화주의의 위험성마저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한국사회의 상식을 다원화하고 이를 다문화주의의 가치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인가? 필자는 다문화주의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기존 상식의 파괴에서 찾는다. In the name of “multiculturalism,” we strive to embrace and harmonize a wide range of different cultures, values, and modes of thinking. On the other hand, in the name of “common sense,” we tend to impose a unified mode of knowledge, values, and daily experiences upon others. Multiculturalism (diversifying) and common sense (unifying) are prone to mutual conflict due to their opposing value orientations. In Korean society, we see that discussions of multiculturalism show a tendency in which multiculturalism is defined and promoted within the dominant common sense of society. In what manner should multiculturalism be pursued so as to enrich the lives of Korean people? Hur suggests that the desirable direction of multiculturalism lies not in unilaterally applying the pre-defined common sense of multiculturalism upon society, but in diversifying the extant common sense first and then pursuing multiculturalism on a diversified mode of common sense. How can we diversify the common sense of Korean society? We could start with an effort to deconstruct the common sense that dictates the values and behavior of Korean people. Multiculturalism, which is sought within the extant common sense might rather lead to justifying and reinforcing the latter and, thereby, to fostering a stereotype of multiculturalism that might run counter to multiculturalism. To avoid this adverse cycle, what should be done? Hur suggests that the common sense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be first brought into question for its deconstruction, and that multiculturalism be then fostered and pursued free of the constraint of traditional common sense.

      • KCI등재후보

        Works in English on the Imjin War and the Challenge of Research

        Nam-lin Hur(허남린)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2

        임진왜란은 한국, 일본, 중국에서 인기가 있는 연구주제이다. 지금까지 임진왜란에 관해 수 백권의 저서와 수 천편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이에 비해, 영어권의 저술은 아주 미미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영어로 저술된 임진왜란에 관한 대표적인 출판물을 간단히 소개한 후, 이 중에서 가장 심도 있는 연구저서로 평가되는 Samuel Hawley의 저서인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와 Kenneth Swope의 저서인 A Dragon’s Head and a Serpent’s Tail: Ming China and the First Great East Asian War, 1592-1598에 대해 전체적인 비평을 가한다. 나아가, 이 두 저서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다 선명히 하기 위해, 두 저서의 저자인 Samuel Hawley와 Kenneth Swope가 각자 임진왜란 시기의 강화교섭에 대해 어떠한 분석을 가하고 있는지 몇 가지 중요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검토의 결과 발견되는 것은 이 두 저서에는 임진왜란에 대한 기술에 있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실증되지 않는 사실, 왜곡되거나 후에 만들어진 소설 같은 이야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엉터리 같은 사실의 기술은 모두 그들이 의존하고 있는 자료의 빈약한 품질에 기인한다. 그 결과, Samuel Hawley와 Kenneth Swope의 임진왜란에 대한 분석은 심각할 정도로 틀리거나 왜곡되어 있다. 임진왜란에 대한 사료는 아주 풍부하며, 나라에 따라 다른 언어들로 채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전부 읽고 분석하여 확고한 기초 데이타를 구축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과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장 근본적인 과제를 달성하지 않고 임진왜란에 대한 수준 높은 분석을 기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The Imjin War has been a popular topic of research in Korea, Japan and China. To date, hundreds of books and thousands of journal articles and book chapters have been written on this international conflict. In contrast, the overall number of works in English remains miniscule. In this article, Hur introduces a list of major English-language books and articles on the Imjin War and proceeds to offer critical comments on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to date -- Samuel Hawley’s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 and Kenneth Swope’s A Dragon’s Head and a Serpent’s Tail: Ming China and the First Great East Asian War, 1592-1598. In order to further illustrate a range of limits and problems found in these two books, Hur takes up some key issues pertaining to truce negotiations in the Imjin War and reviews how these are treated by Hawley and Swope, respectively. Hur points out that the two books contain countless factual errors and a flood of false data, all stemming from the quality of the sources upon which they relied. As a result, their analyses are fatally flawed or skewed. Given that primary sources on the Imjin War are plentiful and that they come in different languages, Hur suggests that it would be a challenge to establish a firm base of empirical data, but that, without accomplishing this fundamental task, it would be impossible to produce a high-quality analysis of the Imjin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