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likationen der hybriden Identitätsentwicklung von Jugendlichen in Deutschland für die multikulturelle Bildung in Korea

        Misun Han-Broich,Aristi Born,이태영(Tae-Young Lee) 한독교육학회 2019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독일에서 성장하고 있는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혼종적 자아정체감을 개념화함으로써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문화적 비동질성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환기하는 데 있다. 한독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구체적인 비교연구는 후속 과제로 남겨두었다. 이 글에서는 다문화사회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주안점을 두고, 현재 독일에서 살고 있으면서 두 개 이상의 중첩된 문화 또는 국가 경험을 갖고 있는 청소년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 내용은 이들의 자아정체감 형성과정과 동인 및 그 혼종성을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이다. 주로 독일어로 출간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양상을 발달심리학과 문화사회학적 측면에서 개념화 또는 구조화한 다음, 다문화 청소년의 정체감에 관한 교육과제를 도출하였다. 발달심리학적 연구는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토대로 기술하였다(제II장). 문화사회학적 연구는 다문화사회 이주 청소년의 혼종적 문화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제III장).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혼종적 자아정체감 발달 문제를 현대 다문화사회 전체의 도전과제로 간주하고, 정치·사회·종교·문화적 관점에서 교육(학)적 대응전략을 제안하였다(제IV장). 이 제안은 기존 연구물들 외에 공동연구자의 독일 사회교육기관 업무경험과 독일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설문 결과에 바탕한 것이다. 한국도 다문화사회로 접어든 지 오래이지만 그동안 이주사회의 불안요인에 집중적으로 대응해왔다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다문화사회가 갖는 기회요인, 즉 문화적 혼종성과 역동성의 긍정적 측면에 더욱 주목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교육정책이 다양하게 개발되기를 바란다. 그동안 통합이라는 미명 아래 동질화에 초점을 맞추었던 정체감 관리에서 벗어나 개인의 창의적 자아정체감과 사회의 포용적 정체감을 북돋우기 위한 실천적 논의가 한층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die hybride Identität von Jugendlichen mit Migrationshintergrund zu erfassen, die derzeit in Deutschland aufwachsen. Ausgehend von diesem Verständnis sollen die pädagogischen Implikationen von dualen oder hybriden Identitäten der zugewanderten Jugendlichen in Korea beleuchtet werden. Es werden sowohl die Risiken als auch die Chancen für die Identitätsentwicklung der jungen Menschen in den Blick genommen, die sich mehr als einer Kultur zugehörig fühlen. Ergänzt wird diese theoretische Darstellung mit Beispielen aus unserer beruflichen Erfahrung im sozialpädagogischen Bereich und einer schriftlichen Befragung der Zielgruppe. Wir untersuchen zuerst den Prozess der Identitätsentwicklung von Jugendlichen mit Migrationshintergrund aus entwicklungspsychologischer und soziokultureller Sicht, um ihre hybride Identität begrifflich zu erfassen. Dann stellen wir die pädagogischen Aufgaben zur Förderung einer solchen hybriden Identität der jungen Menschen in multikulturellen Migrationsgesellschaften heraus. Schließlich werden in politischer, kultureller, jugend-sozialpädagogischer, aber auch religiöser Hinsicht konkret die pädagogischen Herausforderungen dargestellt, die in der Migrationsgesellschaft eine positive Identitätsentwicklung junger Menschen ermöglichen könn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