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한난민의 한국사회적응에 나타난 종교기관의 역할

        박미숙 ( Park Misuk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1 언어와 문화 Vol.17 No.1

        The refugees leave their homeland for survival or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live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moving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of religion as refugees who have moved to Korea adapt to Korean society.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refugees in Korea and analyzed the role of religion in the process of social adjustment by dividing it into social, emotional and religious roles. As a result, first of all, religion was in charge of various social functions. First of all, they were helped to adapt to Korean societ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ldren's education, and they got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through religious institutions. Second, I was living an emotionally stable life through religion. They recognized that they had a bond through the community, lived a comfortable and stable life psychologically, or were not ignored as women through religion. Third, they pursued its own role in religion. Regardless of religious institutions, they were keeping their religion in their own way and was able to understand others and recognize diversity through religious differences. In particular, religious institutions were in charge of the role of systems for managing refugees. As such, religion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refugee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has helped them settle down in a stable manner.(Inha University)

      • KCI등재

        다문화멘토링 과정에 따른 대학생 멘토의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박미숙(Park, Misuk),김영순(Kim, You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멘토링 실행과정에서 대학생들의 멘토링경험을 통하여 멘토의 다양한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들의 인터뷰 내용을 멘토링 과정에 따라 분석하고 멘티의 변화요인을 찾아보았다. 이 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은 첫째, 멘토링 실시 전 단계에서는 대학생으로 새로운 경험에 도전하기 위하여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하였다. 많은 대학생들은 다문화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으며 다문화멘토로 선발되었을 때 기대감과 부담감이 교차하고 있었다. 둘째, 멘토링 실시단계에서는 멘토와 친해지기 위해 노력 하였으며 멘티의 학습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 상담 및 진로지도에 힘썼다. 셋째, 멘 토링 실시 후 단계에서는 멘토링을 종료하면서 멘토링 활동에 대해 반성 및 성찰을 하고 멘티가 잘 성장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렇게 멘토링의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멘토들은 멘토링에 참여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도 하고 상호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다문화멘토링을 통하여 봉사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대학생 멘토들의 멘토링 경험은 대학생들이 봉사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하고 공동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ous changes in mentors through the mentoring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practice course.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then th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cess and the elements of mentees’ perception change were found. The detailed experienc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age before the mentoring implementation they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to challenges themselves in a new experience as a university student. Many students had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mentoring and when they were selected as multicultural mentors expectations and pressure intersected in them. Second, in the stage of implementing mentoring, made efforts to become closer to mentees and in the educational and emotional sides of mentees, they made efforts in conducting consultation and career guidance. Third, in the stage after implementing mentoring, through concluding the mentoring, they went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and wished for the mentee to develop well. Thu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mentoring, participating in the in the mentoring program, mentors had a change in percep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so, they had the chance to acknowledge the diversity of interculture. Furthermore, through multicultural mentoring their perception of volunteering changed. As such the mentoring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developed their values in volunteering and brought them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외국인근로자(E-9)의 대학교육 허용에 대한 대학관계자의 인식연구

        박미숙(Misuk Park),최희(Hee Choi),채보근(Bogeun Chae),안동관(Dongkwan An)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4

        본 연구는 외국인근로자(E-9)의 대학교육 허용에 대한 대학관계자의 인식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E-9) 대학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외국인근로자(E-9)에게 대학교육을 제공하는 대학관계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관계자들은 외국인근로자(E-9) 대학교육 허용에 대해 바람직한 결정으로 인식하였다. 한국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전문대학의 학생 수가 감소하여 전문대학들은 재정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근로자(E-9)의 대학교육은 시기적절한 결정이었다. 둘째, 전문대학들은 외국인근로자(E-9) 대상 산업체 위탁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운영계획을 마련하고 있었다. 유학생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관계자들은 외국인근로자(E-9)들이 대학교육을 받은 후 개인에서부터 학교, 기업, 지역사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분에서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E-9)가 전문적인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마련하고 외국인근로자 특성에 맞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점검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외국인 근로자가 졸업 후 지역사회를 이탈하지 않고 지역사회와 국가의 인적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근로자(E-9)가 단순히 노동력을 제공하는 인력의 측면을 넘어 외국인근로자를 양성하여 한국의 기술을 전수하고 세계적인 한국으로 부상하는데 견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officials on the provision of university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E-9), and to suggest ways to revitalize foreign workers(E-9) study abroad based on thi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university officials who provide university education to foreign workers(E-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university officials recognized the provision of foreign workers(E-9) study abroad as a desirable decision. The university education of foreign workers(E-9) was a timely decision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at junior colleges decreased as Korea's education level increased, and junior colleges were in financial crisis. Second, an operation plan was prepared to conduct industrial consignment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E-9). They were planning a systematic curriculu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based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university officials recognized that foreign workers(E-9) would have a positive ripple effect in various areas, from individuals to schools, businesses, communities, and countries, after receiv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for learning where foreign workers(E-9) can cultivate professional knowledge and develop and inspect curriculu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foreign workers to use it as a human resource for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untry without leaving the community after graduation.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foreign workers(E-9) will be able to train foreign workers beyond the aspect of the workforce that simply provides labor, transfer Korean technology, and play a role in emerging as a global Korea.

      • KCI등재

        대학생 다문화멘토링 참여 경험을 통한 멘토링 운영의 개선방안

        박미숙(Park, Misuk),김영순(Kim, Youngs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들이 프로그램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탐색하고 이를 통하여 멘토링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멘토들이 다문화멘토링 프로그램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는지로 분석하였다. 멘토들은 다문화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멘토의 자율적인 활동 보장, 멘티와의 일대일멘토링, 일정의 장학금지급, 교육봉사시간 인정 등은 장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멘토링을 훌륭하게 수행하는 멘토들도 있었지만 멘토링 시간과대입력, 수시로 시간변경과 소홀한 준비, 교사 사인 대리하기, 시간 때우기 등의 부정적으로 활용하는 멘토들도 있었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멘토링 운영에 대하여 다문화멘토링 담당교사들의 인식개선과 운영진의 효율적인 관리, 멘토들의 윤리적인 교육, 체험활동의 범위 한정 등 멘토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eatures of a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as perceived through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by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part in multicultural mentoring, and to examine how the mentors were putting these features into practice.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planne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multicultural mentoring and increase its efficiency. For the study, eigh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2015 to December, 2015 were conducted. Once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the project analyzed the advantages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system and how these advantages were being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dvantages provided by the multicultural mentoring system were freedom in the one-on-one activities with mentees, fixed scholarship provision, and acknowledgement as an education volunteer service. Second, although there were mentors who used these advantages and fulfilled mentoring outstandingly, there were cases where advantages were abused. These cases included exaggerated entry of mentoring time, frequently changing of preparation times, forging teachers’ signatures, and the addition of time spent mentoring. With these results as a basis, the study presented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mentoring, effective management of the operators, and ethical education of mentors as an improvement plan.

      • KCI등재

        난민의 한국사회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

        박미숙(Misuk Par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난민들의 한국사회 정착과정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난민지원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난민 신청 경험이 있는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과정에 따라 중심현상을 이루는 인과적 조건, 맥락적조건, 중재적 조건, 상호작용 전략, 결과 순서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심현상은 한국에서 난민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인과적 조건인 한국으로 이주한 동기는 모국의 내전과 종교적인 박해로 인해 난민신청을 하였다. 한국으로 난민을 신청하게 된 이유인 맥락적 조건은 자유롭고 안전한 곳에서 살며 자녀를 교육 시키고 싶은 마음에 신청하게 되었다. 한국에 이주한 이들은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다양한 어려움이 나타났지만 가족이나 공동체가 중재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한국인 멘토 및 커뮤니티활동, 종교 활동 등과 같이 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여 한국사회에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런 다양한 전략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난민들은 한국사회 정착을 위해 일부 한국국적을 취득하였으나 한국인의 차별로 인해 여전히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자신과 같은 처지의 난민들을 위해 봉사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변화의 필요성과 이들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ttlement process for refugees in Korea and to propose a national refugee assistance policy.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people from Bangladesh and Miyanma who had applied for refugee status in Korea.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paradigm. The participants had become refugees because of civil war and religious persecution in their home country. They aimed to live with and educate their children in a free and safe place. The refugees had various difficulties in adapting to Korean society, which they were attempting to solve through their families or communities. In addition, they strived for recognition of their refugee status through interactions with taking on Korean mentors and engaging in community and religious activities. Those refugees who had settled into a stable life also lived a life of serving other refuge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n increased awareness of refugees and substantial concrete support is needed to change the related poli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