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별논문 : 대화 그 자체가 민주주의의 영혼이 될 수 없는 까닭은 무엇인가?

        마이클셧슨 ( Michael Schudson ),김민혁 ( Min Hyuk Kim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4 정치와 평론 Vol.14 No.-

        커뮤니케이션 학계에서는 얼굴을 마주보고 나누는 대면(對面) 대화(face-to-face conversation)가 민주적 삶에서 핵심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특히 존 듀이로부터 영감을 받은 측면이 크다. 그러나 대면 대화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뿐만이 아니라 귀족주의 사회에서도 중시되었으며, 사실상 대면 대화에는 뚜렷하게 대조되는 두 종류의 상이한 대화의 이상이 존재한다. 하나는 사교적 대화(sociable conversation)이고 다른 하나는 문제해결적 대화(problem-solving conversation)다. 민주주의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대화는 참여자의 평등성이 확보될 때 가능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대화의 규범을 준수하고 공공 정신을 함양했을 때 가능할 수 있다. 그것은 대화 참여자의 자율성이 아니라 시민성이 확보될 때 비로소 가능할 수 있다. 그것은 언론과 미디어의 우선성과 우월성이 확보될 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언론과 미디어가 대화의 규범, 공공 정신, 시민성 등을 철저하게 준수할 때 비로소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나는 대화의 현장에 내재된 민주주의가 정치적 민주주의의 규범과 제도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제도와 규범이 민주적 대화를 가능케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Inspired by the writings of John Dewey, among others, thinking in communication studies has often taken face-to-face conversation to be the heart of democratic life. But face-to-face conversation has been as much honored in aristocracies as in democracies and there are, in fact, two distinctive and contrasting ideals of conversation-the sociable conversation and the problem-solving conversation. Conversation that serves democracy is distinguished not by egalitarianism but by norm-governedness and public-ness, not by spontaneity but by civility, and not by its priority or superiority to print and broadcast media but by its necessary dependence on them. An argument is offered that institutions and norms of democracy give rise to democratic conversations rather than that the inherent democracy of conversation gives rise to politically democratic norms and institutions.

      • KCI등재

        미국 문식성 교육의 동향과 쟁점들 -어떤 힘에도 움직이지 않는 대상과 무엇도 저항할 수 없는 힘이 만났을 때

        마이클매케나 ( Michael C. Mckenna ),장봉기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미국의 문식성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어떤 힘에도 움직이지 않는 대상" 에 해당되고 이러한 학생들이 성공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일련의 독서정책들이 "무엇도 저항할 수 없는 힘" 에 해당된다. 필자는 동료들과 함께 미국정부가 시행한 많은 독서정책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면서 이러한 연방정책들이 잘 시행되는지 감독하려고 노력해 왔다. 그 결과는 5판까지 출판되고 있는 문식성 교육의 현황과 문제들 (Issues and trends in literacy education) 이라는 책에 잘 요약되어 있다. 미국 독서교사들은, 급격한 히스패닉계열 인구의 증가로 인해 모국어 가 영어가 아닌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문제가 좀 더 복잡한 이유는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이하 ESL) 학생들이 히스패닉 계열 말고도 많다는 사실에 있다. 그 결과로 미국의 교사들은 두 가지 중요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그 첫 번째가 빈곤 층 가정에서 자란 학생들의 낮은 독서능력이다. 두 번째 문제는 모국어 가 영어가 아닌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점이다. 20세기 중반 이전에 국가수준의 문식능력 측정이 아주 중요한 현안은 아니었지만, 독사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늘 존재해 왔었다. 영어권 국가 들은 이 읽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미 익히 알려져왔듯이, 학자들은 각각 기초적인 읽기기능을 직접 가르치는 명시적 교수법을 옹호하는 쪽과 기능 습득을 유의미한 읽기 경험의 부산 물로 보는 의미중심 교수법을 옹호하는 쪽으로 나뉘어져 소위 "읽기 전 챙" 이라고 불리는 맹렬한 논쟁을 펼쳐왔다. 미국에서는 학생들의 독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법안이 시행되었었고, 지금도 또 다른 법안 과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필자는 미국 문식성교육의 미래를 몇 가지 경 향 중 걱정이 되는 움직임들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연방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기 위해 공통핵심교육과정을 채택해야 하는 교육과정은 모든 교과에서 각 주의 교육과정을 대체하여 국가교육과정을 설립하려는 의도로 2010년에 고안되었는데, 필자의 생각에는 아마 재정지원의 유혹을 이길 수 있는 주는 거의 없을 것 같다. 그리하여 곧 미국의 교육자들은 모든 교과와 학년, 수준에서 공통의 교육목표를 추구하는 시대를 맞이할 것이다. 필자가 이러한 표준화를 향한 움직임을 걱정스러워하는 이유는, 연방 정부가 재정한 일련의 교육과정들이 각 주의 실정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도 무조건 따르도록 강요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필자가 이러한 움직임을 걱정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마련하는 과정에 대학입시회사 대표들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An old riddle asks, what happens when an irresistible force meets an immovable object? There is no answer, of course, because the apparent paradox is really a matter of semantics. If there truly were an immovable object, then by definition no force would he irresistible (and vice versa). And yet, I argue that something approaching this situation has characterized American literacy instruction for the past half century. In America, the "immovable object" is the intractable problem of a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who struggle to attain proficiency. The "irresistible forces" are a series of federal (and other) initiatives design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n doing so bring the struggling population of young readers up to the standards required for successful careers. For my part, I have been directly involved in many of these initiatives, and, together with my colleagues, 1 have long endeavored to keep my finger on the pulse of how these efforts have fared. The result has been five successive editions of a book called Issues and trends in literacy education.

      • 조선 신유학자와 이슬람 개혁가: 비교사적 고찰

        마이클J.세스 ( Michael J. Seth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6 정치와 평론 Vol.19 No.-

        조선의 열정적인 유가관료는 조선왕조의 창업에 조력한 다음, 신유학적 규범에 입각해서 정부, 사회조직, 행동양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그런데 조선의 유가관료가 수행한 역할은 수니파 이슬람사회에서 `울라마`가 수행한 역할과 많이 닮았다. 유가관료와 울라마는 모두 정부 및 사회에 거대한 도덕적,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특히 18세기 아라비아의 와하브파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까지 서아프리카에서 활동한 폴라니족 지하디스트는 조선 초기에 활동한 유가관료와 대단히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모두 새로운 왕조질서를 형성하는데 조력한 다음, 자신들이 보유한 권위를 국가 안팎에서 행사해서 그들이 견지한 신념과 일치하는 도덕적, 종교적 사회를 건설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Zealous scholar-officials helped establish the Choson dynasty and then undertook a project to remold government, social institutions and personal conduct conform to Neo-Confucianist norms. The role of these Korean Neo-Confucianist scholars resembled that of the `ulamа in Sunni Islamic societies. Both the Neo-Confucianists literati and the `ulamа exerted enormous moral and political influence on government and society. In particular, the efforts of the Wahhabis in eighteenth century Arabia and the Fulani jihadists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West Africa offer many parallels to the Neo-Confucianists of early Choson. In each case they helped bring about a new dynastic order and then used their authority within the state as well as out of it to attempt to create a virtuous/pious society in accordance to their beliefs.

      • 본고장을 벗어난 아시아 쌀에 대한 해석: 박물관 전시에 관한 이야기

        마이클라인슈미트 ( Michael Reinschmidt )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3 No.-

        이 논문은 남부 캘리포니아의 한 박물관에서 성대하게 개최된 쌀 전시회를 위해 정보와 자료, 그리고 이야기를 수집하려는 목적으로 한국에서 수행한 쌀 연구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필자는 왜 UCLA의 파울러 뮤지엄이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최초로 아시아의 쌀문명 연구를 수행했는가에 대해 논하고자 했다. 또한 점차 아시아적 관점으로 음식을 생각하고 받아들이기 시작한 서구인의 시각에서 필자가 겪은 쌀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필자의 관점 변화는 쌀과 함께 했던 한국 내에서, 또 한국을 벗어난 초국가적인 삶의 무대와 그에 따른 이야기를 첨부함으로써 설명된다. 파울러 뮤지엄의 전시회는 아시아의 쌀 문화를 예술적으로 기리는 것처럼 보이도록 기획되었지만 그 전시는 또한 최근 수 십 년에 걸쳐서 이루어진 발전 속에서 서구사회가 옛 사회로부터 발전해온 음식과 단절된 것에 대한 해석을 도와주기도 한다. 연구 결과와 다양한 범주의 자료와 이야기를 통해 전시회는 관람객들에게 음식과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영양학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고 가치 있는 일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This article describes rice research in Korea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data, objects, and stories for a rice exhibition in a Southern California museum. I provide insight into why the UCLA Fowler Museum would go through a lengthy process of conducting original research on Asian rice cultures (1998-2003). I discuss my experiences from a Western perspective as someone who gradually immerses into thinking and feeling about food through rice from an Asian perspective. Much commentary on my rite-de-passage is added by settings and stories from Korean domestic and transnational lives with rice. While the Fowler exhibition was designed to appear as an artistic celebration of Asian rice cultures, it also helped to interpret nontransparent disconnects with food that Western societies developed in recent decades. Research findings and a brilliant exhibition including various categories of objects and narratives effectively communicated to visitors that there is meaning and purpose in maintaining a close physical, spiritual, and nutritional relationship with one`s food.

      • KCI등재

        쟁(箏)의 음악적 기능과 연주법 서양음악을 위한 중국 악기의 활용

        마이클시드니톰슨 ( Michael Sidney Timpson ) 한국음악학학회 2013 음악학 Vol.21 No.1

        본 논문은 중국 악기 ‘고쟁’을 위한 곡을 쓰는 작곡가들에게 창의적이고도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인이 아닌 작곡가들이 고쟁을 작품에 도입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고쟁의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서양악기들과의 합주에서 튀어나거나 대조되는 것을 듣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관찰한 내용들과 이에 대한 잠정적 해결책을 정리하였으며, 특히 1) 고쟁의 구조, 특히 연주 실제와 관련이 있는 구조, 2) 두 손으로 연주하기, 악기의 성질, 조율 및 음색, 3) 전통음악과 확대된 장식음을 넣는 테크닉, 4) 다성음악, 반음계주의(스코르다투라 포함), 또는 다양한 화성 어법을 연주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쟁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논하였다. 쟁의 구조, 전통, 그리고 연주기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수반될 경우, 서양의 작곡가들이 현대 음악 안에서 화성양식과 현대적 음향 안에서도 자연스럽게 쟁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is to provide a creative and practical guideline for western music composers when adopting the Chinese GuZheng as a performing medium. Although frequently attempted by non-Sinitic composers for the adoption into western compositions, GuZheng`s mechanic uniqueness and performance practices post contrasting challenges from the adoption of western instruments. This study summarizes these observed issues and potential solutions for these difficulties in the order of: (1) the construction of the instrument, especially as it is related to performance practice, (2) the designated performing duties of both hands, the instrument’s temperament, and the manipulation of intonation and timbre, (3) ornamental practices in both traditional and extended techniques, and (4) the viable adaptations in Zheng for performing music in polyphony, chromaticism (including scordatura) and various Western music harmonic languages are discussed through their applicati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n Zheng’s construction, tradition, and performing techniques allows the western composer to create contemporary pieces that are still idiomatic in western harmonic style and contemporary sound.

      • KCI등재
      • KCI등재

        경제교육연구에서 새로운 그리고 지속되고 있는 주제와 동향

        마이클와츠 ( Michael Watts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2 경제교육연구 Vol.19 No.1

        A general review of major trends and highlights in earlier research in economic education provides a kind of introduction to the field, serves as the basis for an appraisal of the key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most to past progress, and establishes the major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acing future research initiatives. The view offered here is that the basic set of questions addressed by economic education researchers over the past 50 years has not really changed and is not likely to change in the future. Nor are the theoretical models and insights featured in the literature dramatically different from what they were several decades ago. Instead, most new insights and findings are based on empirical research featuring various kinds of datasets, As more and different kinds of datasets have become available, and as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analyzing data dramatically improved over this same time period, the depth and range of findings from economic education research also improved. That seems to be the most likely and promising path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too, in which case even more focus should be given to developing and replicating key empirical findings that establish meaningful estimates of size (not just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o policies and proposals that support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new datasets.

      • KCI등재

        표류자, 선교사와 외교관―서양에서의 한국학과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의 근원과 발전에 관한 개요

        마이클핀치 ( Michael Finch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언어와 문화 Vol.8 No.1

        서양인에 의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한국학의 발단은 최초의 한국과 서구의 접촉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13세기에 유럽인들이 몽골제국과 접촉함으로써 한국의 존재를 알게 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일본에 있던 천주교 선교사와 네덜란드의 선원들이 16-17세기에 한국을 방문하여 한국인들을 직접 만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유럽의 해군들이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의 지도를 만들고, 프랑스의 천주교 선교사들이 목숨을 걸고 한국에서 선교활동을 하였으며, 불어나는 개종 신도들에게 목회를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19세기말에 개신교 선교사와 외교관, 상인과 여행자, 여자들을 포함한 많은 서양인들이 한국과 서양국가들과의 조약에 의해 입국한다. 다섯 째 단계에서는 군대와 관련된 젊은 서양학자와 여러 종류의 선교단체와 평화 봉사단이 한국을 방문한 후 서구에 한국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기반을 마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