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hanging Shape of Care-time Diamond

        안미영(Mi Young A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2

        전통적으로 아동과 노인의 돌봄은 가족의 책임으로 여겨지고 관행적으로 실천되어 왔다. 한국정부는 가족에 의해서 돌봄을 받지 못하는 아동과 노인에 국한된 잔여적 제도를 구축해 왔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 고령화, 저출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증가, 가족의 형성과 해체의 변화, 가족 내의 돌봄 제공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의 사회적 변인들은 돌봄 제공에 있어서 국가의 개입의 필요성 형성의 주요한 요인들로 작용해왔다. 이 논문은 유엔사회개발연구소의 돌봄의 정치사회경제학 연구에서 개발된 케어 다이아몬드 개념을 적용하여 한국의 사회적 돌봄 정책 발전을 국가, 시장, 가족, 제3의 부문 간의 제도적 분배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아동 돌봄의 경우, 정부와 시장의 역할이 증대된 반면, 제3의 부문의 역할은 줄었다. 노인 돌봄의 경우, 정부, 시장, 제3의 부문의 개입의 성장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의 가족 중심의, 특히 여성에 의한, 돌봄 제공 원칙은 변화하지 않았다. Traditionally, caring for young children and the elderly has been largely assumed and practiced intensively within the family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residual protection systems for the elderly as well as children whose needs could not be met by their family members alone. However, in the 21st century, a number of social forces have made it necessary to expand the state`s intervention in the care provisions, The primary forces include the ageing process, low fertility, change in the women`s labour market participation, changes in the family formation and dissolution, and changes in the people`s perceptions of familial responsibilities regarding caring for other family members. This paper employs and further develops the idea of the care diamond conceived by the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Project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and social economy of care and applies it to Korea`s social care expansions.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roles of the public and the market sector, in case of child care, increased while those of the third sector decreased. Apropos of the elderly care, the role of the market expanded dramatically, followed by that of and the state and the third sector. Nonethel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s care provision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have remained unchanged and even strengthened where the elderly care is concerned. The bulk of personal care demand is still met within the family, particularly by female members of the household.

      • KCI등재

        한국 여성과 남성의 돌봄노동과 경제활동참여

        안미영(Mi Young A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1

        돌봄노동이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와 논의는 여성을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 내 자원 할당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돌봄노동 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활시간조사 2019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64세 여성과 남성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돌봄노동 시간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부(-)의 영향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돌봄노동 시간 1분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에 비해 1.4배 높았다. 20-64세 여성은 평일 기준 평균적으로 65.79분을 돌봄에 할애하고 남성은 15.75분을 할애하였는데 이는 돌봄노동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에 비해 평균적으로 6배 가까이 높을 것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제도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Prior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negative effects of women’s care work for family on their labor market participation. Drawing on resource allocation within fami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are work time of both women and men on their labor market participation. A sample of women and men aged between 20 and 64 was drawn from 2019 Time Use Survey. Results show that (a) care work tim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both women and men; and (b) the negative effect on women devoting time to care work is more than that of men in that women are 1.4 times less likely than men to be in the labor makret. On average women spend 65.79 minutes on care work during weekdays while men spend 15.75 minutes. This implies that for women spending the average amount of time on care,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labor market is six times less than that of their male counterpart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자원의 상대성과 가족 내 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 한국 유급노동자 부부를 중심으로

        안미영 ( Mi Young A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7 여성경제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경제적 교환론과 젠더수행론을 활용하여 한국 맞벌이 부부의 가용시간, 소득, 직종 그리고 종사상지위의 상대성이 가사와 돌봄 노동 분배의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2014년도 자료에서 17세 이상 유급노동자 남편과 아내 각3,410명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자원의 상대성은 아내보다 남편의 무급 노동 분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시간과 종사상지위의 상대성은 경제적 교환적 행태로 나타난 반면 직종의 상대성은 젠더수행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의 상대성은 가사노동 분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아내의 돌봄 노동 분배에 미비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유급노동자 맞벌이 부부의 심각한 무급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에 대한 대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relative resources and gender division of labour at home in South Korea. Relative resources include time availability, income, occupation and employment contract. It draws dual earner families where couples are married and aged 17 and above with paid employment from Korea Time Use Survey data conducted in 2014. Findings suggest that relative resource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absolute term of resources. Interestingly we found no influence of relative income. Instead relativity in time availability, occupation and employment contract are important among which the occupation matters most. The differences in time availability and employment contract were sources of economic exchange while occupation largely generates gender display which is the main reason for the gender stratification within families among dual earner famil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고령화와 젠더 불평등 : 노인 부부의 무급 노동을 중심으로

        안미영(Mi Young A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여성연구 Vol.93 No.2

        본 연구는 한국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60세 이상 노인부부의 가사 및 돌봄 노동 시간량과 분담률의 젠더 간, 젠더 내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량은 남편의 시간에 4배 이상이며 돌봄 노동은 2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전체 가사노동 시간에 대해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5분의 1이 되지 않으며 돌봄 노동은 3분의 1을 조금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는 은퇴를 통한 남편의 가용시간 변화나 성역할 인식의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개인과 가구 차원의 변인을 통제하고 가용시간론, 상대적자원론, 절대적자원 론, 사회화된 성역할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소득으로 나타났으며, 남편과 아내에서 다른 영향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남편의 소득은 아내의 무급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아내의 소득은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과 돌봄 노동 시간량을 증가시켰다. 아내의 가사노동분담률은 상대적 소득에 의해 줄지 않는 젠더 전시적 행태도 나타나고 있다. 소득의 영향은 무급노동의 젠더 간 차이보다 젠더 내, 특히 노인 여성 집단내의 차이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량보다 분담률의 차이를 더 설명하며 돌봄 노동보다 가사노동의 차이를 더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인의 무급노동 젠더 불평등 연구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gender division of labour among older couples in South Korea. We drew 2,659 couples aged 60 and over from Time Use Survey in 2014 to test time availability, absolute and relative income and gender. Gender differences in domestic chores and care work are significant; older women’s time spent on domestic chores is more than four times larger than that of mens and older women spend twice more on care work than male counterpart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highlighted changes in time availability or gender ideology, this article suggests that income matters for gender division of labour at home in old age which effects are complex. Older women’s income not only reduces unpaid work of their own but also their husbands’ unpaid work. By contrast, husband’s income does not make influence on the wifes’ time on unpaid work. Nonetheless, relative income shows that Korean older women do gender display that those economically more independent spend no less time on domestic chores than wives more economically dependent.

      • KCI등재

        젠더 전시인가? 한국의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과 분담

        안미영 ( Mi Young An ),최지은 ( Jieun Choi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0 여성경제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가사노동을 통한 젠더 전시를 분석하였다. 생활시간조사 2004년과 2014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4년 경제적으로 독립적이며 전통적인 인식을 가진 여성은 진보적인 인식을 가진 여성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가사노동에 할애하는 젠더 전시가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2-3년제 대학 이하의 학력을 지닌 여성에게서 발견되었다. 2014년 분석결과 2004년도에 저학력 그룹에서 나타난 젠더 전시적 행태가 고학력 여성에게서만 나타났다. 그런데 고학력 그룹에서 남편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여성 중 진보적인 인식을 지닌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전통적인 인식을 지닌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보다 더 많은 현상이 추가적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examines gender display in housework of married women with a preschool child in Korea. Analyses on Korean Time Use Survey in 2004 and 2014 showed that Korean women’s housework time was explained by dependency thesis. However, in 2004 among economically independent women, those with traditional gender-role ideology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than those with progressive ideology and this was found for low educated women. In 2014, the gender display was found among the highly educated women. In addition, among economically dependent and highly educated women, those with progressive ideology spent more time than those with traditional ideology.

      • KCI등재

        간호 대학생의 실습 전,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면의 질 및 주간 졸림증의 차이

        안미영(Mi-Young 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간호 대학생의 실습 전,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 차이와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 3학년 학생 130명이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총점 5점 만점 중 평균점수 3.15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외부조정 요인 중 과제물에 대한 점수가 3.64로 가장 높았고, 성별(t=-3.88, p<.001), 주관적 건강상태(F=5.78, p=.004), 거주형태(F=3.20, p=.026)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고(실습 전 80.0%, 실습 후 70.0%), 주간 졸림증이 있는 대상이(실습 전 26.9%, 실습 후 42.3%) 일반 대학생에 비해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실습 전, 후 수면의 질은(χ²=4.06, p=.004), 주간 졸림증은(χ²=6.08, p=.009)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주간 졸림증과 수면의 질은 음의 상관관계(r=-.25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들의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을 위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이 필요하며, 변화하는 간호 교육현장에서 임상실습 적응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추후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 disorder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of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30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nursing sc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clinical stress of the study subjects was 3.15 out of 5 points. Out of the external factors for clinical practice stress, the score for the task was 3.6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3.88,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F=5.78, p=.004), residence (F=3.20, p=.026). Nursing students showed lower sleep quality (80.0% before practice, 70.0% after practice), and those with daytime sleepiness (26.9% before practice, 42.3% after practice) were more than those of general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leep quality (χ²=4.06, p=.004) and daytime sleepiness (χ²=6.08, p=.009)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There was also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quality (r=-.259, p<0.01). Therefore, strategies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are needed for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quality of nursing can be improved in the future by helping nursing students adapt to the clinical practice of changing nursing education field.

      • KCI등재

        한국 중장년 기혼 여성의 일가족양립에 관한 연구

        안미영(An, Mi 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8

        본 논문은 한국 중장년 기혼 여성의 일가족양립 설명요인으로 성역할 보완을 제시한다. 한국여성가족패널 4차년도 자료에서 40-64세 기혼 여성 3,974명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참여는 본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보다 남편의 특성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편의 학력이 낮으면, 직종이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이외의 것인 경우, 근로시간이 짧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노동시장 참여 가능성은 증가하였다. 일하는 중장년 여성의 일가족시간 중 유급노동시간은 본인의 부부소득 기여가 높을수록, 전통적인 성역할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긴 것으로 나타났다. 무급노동시간의 경우 남편의 무급노동참여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성역할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부부소득 기여가 높은, 일하는 중장년 여성은 높은 수준의 일가족양립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남편의 생계부양자로서 전통적 성역할의 미비함을 보완하기 위해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중장년 여성에게 남편의 무급노동 참여는 본인의 전통적인 성역할을 보완하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남편과 본인의 전통적인 성역할 보완을 통한 기혼 여성의 일가족양립은 높은 수준의 갈등을 동반하게 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젠더관점에서 일가족양립에 관한 정책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nalyses work and family reconcilia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women in Korea. The study draws on 3,974 subsample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Findings suggest that the women’s participation in paid work is influenced by their age and educational qualification. The probability is higher when her husband’s role as a breadwinner is weak. Time spent on paid work is correlated with the working wife’s contribution to the couple’s wage. Interestingly the working wife’s unpaid care time increases when her husband participates in unpaid work at home. Last, the working wife has a higher degree of work and family conflicts when her contribution to the couple’s wage is large. Based on the findings, it is argued that middle-aged married women in Korea participates in the paid work and sustains the time spent on unpaid work at home and suffers from high degree of work-family conflicts as they are motivated to compensate the weak breadwinner role of their husbands and to sustain their traditional gender role as unpaid worker.

      • KCI우수등재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안미영(An, Mi Young)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2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2014년 자료의 20~59세 유급노동자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경제적 교환과 젠더 수행론을 활용하여 부부의 고용 형태 동일 여부별 남편과 아내의 가사 및 돌봄노동 시간량과 분담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용 형태가 동일한 부부의 경우 남성비정규직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남성 정규직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가 동일한 부부에서 고용 형태는 남편의 돌봄노동시간량, 남편과 아내의 가사 및 돌봄노동 분담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의 고용 형태가 상이할 경우 정규직은 비정규직에 비해 무급노동의 수준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경험적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반면 정규직 아내의 돌봄노동 시간량이 비정규직 아내보다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첫 연구로서 기존의 가용시간, 상대적 자원, 성역할 인식에 치우친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 연구에 고용 형태의 상대적 위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examines employment status and gender division of labour at home among dual earner couples in South Korea. We drew a sample of married couples aged between 20 and 59 who are in paid employment from Korea Time Use Survey. Findings show that in families where a couple has same employment status, husbands employed irregularly spent less time on housework than those with regular employment. In addition, in families where a couple has different employment status, wives with regular employment spent more time on care work than those with irregular employment. This article suggests relative employment status between husbands and wives is important to gender division of labour at home.

      • KCI등재

        앱 인벤터를 활용한 예비 유아교사 학습 앱 개발

        안미영(Mi-Young An)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4

        최근 ICT 기술 기반의 다양한 학습 도구를 이용해 학습 능력을 높이려고 하고 있다. 게임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강의식 수업과 병행하여 수업에서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스마트 폰 앱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조기 코딩 교육을 통해서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논리적 사고능력를 키우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앱 인벤터를 활용한 학습 및 퀴즈 앱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개발된 앱을 설명한 후 앱 관련 설문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앱을 활용하여 예비 유아교사에게 교육철학에 대한 학습을 진행 하였고 그 앱에 대한 설명과 앱 인벤터를 활용하여 유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설문을 통해서 학습 효과 및 유아 교육에서 활용 의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앱 인벤터로 개발된 앱으로 유아 교사 학습 능력 향상 및 유아 교육에서 코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Recently, there are efforts to improve my learning ability by using various learning tools based on ICT technology. The application such as games is used in conjunction with lecture class to induce interest in the class and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by using smartphone app as learning tool. In addition, we are trying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early coding educ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learning and quiz app using the app inventor and conducted the related questionnaire. We developed a learning philosophy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developed apps and taught them how to utilize th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laining the apps and using the app inventor. Through questionnaires, we confirmed the learning effect and the willingness to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improve th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and to utilize the cod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app developed as the app invent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