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춤 움직임의 구성요소와 추상성에 관한 연구

        황미숙,권오륜,서봉한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03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19 No.-

        Human beings never live by just intelligence at any time. Healthy humans are not completed without creative art expression.....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성장인자의 변화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Bone Mineral Metabolism

        백기현,오은숙,오기원,이원영,김혜수,권순용,한제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각종 장기이식의 시행이 많아지고 이식 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다양한 내분비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격에 대한 합병증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이식 후 초기의 골형성 저하와 골흡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추측되는데 이러한 골재형성불일치(biochemical uncoupling)에 골 성장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로 말초 혈액에서 IGF-I, FGF-2, M-CSF같은 성장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 성장인자의 변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골형과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및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 소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여러 가지 혈액질환으로 인해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식 전 및 이식 후 1주, 2주, 3주, 4주 및 3개월, 6개월 1년에 말초 혈액에서 골교체표지자를 측정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1년 후에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던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동 보관되어 있던 혈청을 이용하여 IGF-I, FGF-2 및 M-CSF를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성장인자와 골교체표지자의 변화 및 골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흡수 표지자인 혈청 ICTP는 이식 전에 비해 이식 후 4주까지 점차 의의 있게 증가하다가 이후 6개월까지 더욱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osteocalcin은 이식 후 3주까지는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여 이식 후 3개월 및 6개월에 기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혈청 IGF-I과 FGF-2는 각각 이식 후 3주 및 1주까지 의미있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청 M-CSF는 이식 후 1주째에 기저치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이식 1년 후 평균 요추부 골밀도는 5.2% 감소하였고 평균 근위대퇴골 골밀도는 11.6% 감소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 후 3주에 측정한 IGF-I과 같은 시기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식 후 3주째의 M-CSF와 골흡수표지자인 M-CSF 사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 후 3주 및 3개월에 IGF-I이 낮은 환자일수록 이식 1년 후 근위대퇴골에서의 골소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기존에 알려진 기저질환의 영향, 성호르몬의 감소, 면역억제의 투여, 골수기질세포와 조골세포의 손상 및 이식초기 사이토카인의 변화이외에도 골성장인자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소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 loss of bone mass is usually detected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especially during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We recently reported that enhanced bone resorption following a BMT was related to both the steroid dose and the increase in IL-6. We also suggested damage to the marrow stromal microenvironment, by myoablation, partly explains the impaired bone formation following a BMT. It is well known that some growth factor play important role in bone growth and osteogenesis. However, the pathogenetic role of bone growth factors in post-BMT bone loss is unknown and data on the changes in the growth factors, in accordance with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re scarce. We investigated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such as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and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during the post-BMT period, and assessed whether the growth factor changes influenced the bone turnover and post-BMT bone los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escribe the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following a BMT.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10 patients undergoing a BMT, and analyzed 36 patients (32.4±1.3 years, 17 men and 19 women) whose BMDs were measured before,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3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FGF-2, IGF-I and M-CSF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1 and 3 weeks, and 3 months after the BM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one losses in the lumbar spine and total proximal femur,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change from the baseline to the level at 1 year, were 5.2(p<0.05) and 11.6%(p<0.01), respectively. the serum type I carboxyterminal telopeptide(ICTP), a bone resorption marker,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6 months after the BMT, but thereafter decreased, to the base value after 1 year. Serum osteocalcin, a bone formation marker,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after the BMT but then increased transientl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base level at 1 year. The serum IGF-I and FGF-2 also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1 week after the BMT, respectively, then increased to the base values at 3 months. The serum M-CSF increased briskly at 1 week post-BMT, then decreased to the base leve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s from the baseline proximal femur BMD and the IGF-I levels 3 weeks and 3 months (r=0.52, p<0.01, r=0.41, p<0.05) post BM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GF-I and osteocalcin levels pre-BMT, and 3 weeks after the BM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CSF and the ICTP levels at 3 weeks post BMT (r=0.54,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rum IGF-I, FGF-2 and M-CSF levels in the immediate post-BMT period, which were related to a decrease in bone formation and loss in the proximal femoral BMD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BMT (J Kor Soc Endocrinol 17:664∼674, 2002).

      • KCI등재

        제31회(第31回) 퇴계학국제학술대회(退溪學國際學術大會) 발표논문(發表論文) : 건강증진(健康增進)을 지향(志向)한 퇴계(退溪)의 명상담론(瞑想談論)

        ( Bong Sook Kw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3 퇴계학논총 Vol.22 No.-

        退溪李滉(1501~1570)先生이 志向한 健康增進方法을 瞑想的觀點에서 考察하였다. 건강증진은 個人이나 地域社會가 多種多樣한 方法을 적용하여 신체, 정신 및 사회적 안녕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퇴계가 건강증진을 위해 시도한 노력은 첫째가 신체, 정신 및 사회적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해 『活人心』으로 전해오는 고전에서 자율적으로 배우고 익힌 후 스스로 개별화 시켜 명명한 『活人心房』의 實踐이다. 둘째는 제자들과 對話를 통해 硏究와 敎育을 실천한 言行錄이다. 셋째는 感性的經驗의 極致를 創作活動으로 표현한 創造的作品활동이다. 퇴계는 오늘날 현대인이 경험하는 것과 유사한 질병과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 걷기 명상, 먹기 명상 그리고 호흡 명상을 실천하였다. 그러나 퇴계는 건강증진을 위해 스스로에게 적합한 方式으로 실천한 노력을 瞑想이라고 規定하지는 않았다. 퇴계가 건강증진을 위해 실천한 노력들은 명상을 통한 건강증진 방법과 다르지 않다. 퇴계가 자기만의 방식으로 個別化시켜 사용한 명상적 건강증진 방법은 현대적으로 體系的인 檢討過程을 거쳐 普遍化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oegye`s practicing on health promotion from a meditative point of view. Health promotion is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o make good progress in their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by employing various schemes. Toegye made three attempts for health promotion. First, he practiced Hoal-In-Sim-Bang that he created for improving his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fter learning from Hoal-In-Sim. Second, he wrote memoirs about his discussions on ways of health promotion with his disciples. Third, he expressed the ultimate in meditative experiences in his creative works. Furthermore, Toegye tried to overcome his disease and stress that are similar to those experienced by contemporary people by doing walking meditation, eating meditation, and respiration meditation. Although Toegye did not call his health-promotion activities meditation, his efforts for health promotion are not different from today`s meditative health-promotion schemes. Toegye`s individualized meditative health promotion schemes need to be examined more systematically for universal applications in our modern-day society.

      • KCI등재

        『활인심방(活人心方)』의 건강증진(健康增進) 담론(談論)

        권봉숙(Bong Sook Kwon) 퇴계학부산연구원 2011 퇴계학논총 Vol.18 No.-

        退溪의 『活人心方』에 나타나는 健康增進 談論을 看護實務的 立場에서 分析하여 個別化 健康增進 프로그램에 適用이 될 수 있는 適用可能性 與否를알고자 하였다. 方法論은 Foucault의 談論秩序에 根據한 知識考古學的 입장에서 談論을 분석하였고, 이 방법은 認識의 成立과 起源, 認識過程이 취하는 形式과 방법 側面에서 質的硏究에 속한다. 『活人心方』의 知識內容은 精神健康增進에 中和湯과 和氣丸, 社會的 健康增進에 養生之法과 治心, 身體健康增進에 導引과 去病延壽六字訣로 나타났다. 個別化 健康增進 프로그램"은 스스로實踐할 수 있는 것으로 個人이 健康增進의 體系的 지식을 갖추게 되면 個別化 健康增進 프로그램으로 유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活人心方』의 健康增進지식은 時代를 超越하여 個別化 健康增進 프로그램의 槪念틀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sic principles of the Health Promotion on Toegye's Hoal-In-Sim-Bang. Research method used here was methodology of discours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archeology which is study on knowledge discovered through the dynamic intertwining of contrastive knowledges and is based on Foucault's discourse order. By analyzing Toegye's Hoal-In-Sim-Bang, his thoughts on Health Promotion were discovered. Hoal-In-Sim-Bang includes Health Promotion of a state of well-being in terms of mentality, social relationship, and physique. His Health Promotion has the reasonable and scientific system, in which the central concept is the Mind, the essence of human mentality. The principles are as followers: creative intelligence based on reasonable reading for mental health promotion, moderation on daily lifestyle from eating habits to sexual life for social health promotion, and exercise for physical and respiratory health promotion. This is what Toegye's Discourse in Hoal-In-Sim-Bang is all about. Hoal-In-Sim-Bang, which originated from Gusun's Hoal-In-Sim, was rewritten and drawn by Toegye to systemize "Individual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is program, Toegye emphasizes a state of well-being in terms of mentality, social relationship, and physique, each of which consists of two components. The mental health promotion contains Jungwhatang and Whagiwhan: the former is made up of 30 good phrases and the latter means only one word, IN, meaning endurance. The social health promotion includes Yangsangbub and Chi-Sim: the former is the right way of life and the latter means self-control of mind. The physical health promotion implicates Taoin and Gebaeongyensuyougzageol: the former is physical excercise for relaxation and the latter consists of six silent sounds based on the inner voice. Individual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by Toegye corresponds to 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in that both of them put an emphasis on three significant components, which are mentality, social relationship, and physique. The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m is its priority: 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places physique high on their lists of priority, whereas in the Individual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by Toegye, mentality has the high prior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knowledge, individuals have to strive to overcome problems related to suffering from multiple stress and promote their health by themselves. At this point, Toegye's Individual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will be one of the conceptual frameworks for comtemporary people to realize their health promotion.

      • KCI등재

        일반 논문 : 퇴계(退溪)의 건강증진 담론(談論)

        권봉숙 ( Bong Sook Kw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은 일생동안 신체적으로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인체의 건강상태에 대해 자주적으로 탐구하면서 현대적 건강증진에 해당하는 활동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가 스스로 자신의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유지와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한 내용과 과정을 건강과 관련된 담론(談論)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알아보고 현대적 건강증진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퇴계의 신체 건강증진 활동은 최근 신체 건강증진 활동에 해당하는 심폐지구력 향상(心肺持久力 向上), 신체유연성 증가(身體柔軟性 增加), 근력(筋力)과 근지구력 향상(筋持久力 向上) 그리고 식단관리(食單管理)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해서 호흡운동, 근력과 근지구력 향상을 위해서 걷기운동과 명상, 신체 유연성 증진을 위해서 관절운동과 스트레칭 그리고 세포에 필요한 필수영양소 공급과 신체조성의 적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 채식 식단으로 영양을 섭취하였다. 정신 건강증진의 활동을 살펴보면 신체건강에 바탕을 둔정신활동의 원리를 실생활에 적용했다.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거경(居敬)하며 이치를 궁구하여 자아발견(自我發見)의 과정을 거친 후 통찰과 지혜로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교육과 창작활동을 하였다. 거경궁리(居敬窮理)와 궁리진성(窮理盡誠)과 온유돈후(溫柔敦厚)는 퇴계의 정신을 그대로 나타낸 대표적 표현이다. 퇴계는 매일 아침 『심경(心經)』을 낭독하였다. 낭독의 목적은 정신을 맑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부수적으로 신체 건강증진 활동을 돕는 효과가 있다. 낭독은 신체 전체를 진동시키고 집중시키는 점에서는 신체단련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정신건강증진 활동과 균형을 이루면서 동반상승효과(synergy effect)를 낸다. 사회적 건강증진 활동으로 실천한 것은 공적 업무수행, 인간관계를 맺고 끊는 내용교육 그리고 창작활동이다. 퇴계는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이 직면해야 하는 영송예법(迎送禮法)의 어려움과 고단함을 말한다. 퇴계가 배우고 가르침을 실천한 영송예법은 도리에 있다. 도리의 실천에서도 거절이나 거부의 영송예법 보다는 부득이한 도리로 실천하였다. 퇴계는 부정적인 건강 결정인자(決定因子)들에 대한 통제보다 긍정적인 건강 결정인자들에 대한 균형과 조화를 통해 건강증진활동을 하였다. 현대적 의미의 건강증진 활동은 통제해야 할 건강 결정인자들에 초점을 두고 건강을 향상시켜 나가는 과정을 진행한다. 반면에 퇴계는 권장하고 권면해야 할건강 결정인자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주요인자들 사이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주적 건강증진 활동을 실천하였다. 담론 분석적 입장에서 보면 현대적 의미의 건강증진 활동과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동일한 목표를 지향하면서 실질적이고 실천가능한 면에서 다르지 않다. 현대 간호학적 관점에서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자기돌봄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으로 리모델링하여 개별화된 건강증진 활동의 한 가지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As being not in good physical health during his lifetime, Toegye explored human health and well-being in depth and in various manners by himself, which can correspond to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oegye overcame his illness, analyze processes of how he strived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his health from discourse analysis perspectives, and compare his approaches to health with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pproaches.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rom contemporary perspectives have focused on health determination factors that should be controlled in order to enhance health, whereas Toegye perform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by focusing on the balance and harmony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determination factors. From discourse analysis perspectives,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pproaches are similar to those performed by Toegye in that both approaches aim at promoting health and have similar health promotion processes. From modern nursing viewpoints, Toeqye’s health promotion approaches can shed new light on professional self-care programs with individualiz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 KCI등재

        < 심학도 >의 마음건강증진 담론

        권봉숙 ( Bong Sook Kw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퇴계학논총 Vol.27 No.-

        < 심학도< 心學圖) >는 퇴계 이황(1501~1570)이 새로이 등극한 어린 왕 선조가 성군(聖君)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어 올린 10장의 그림과 글 『성학십도(聖學十圖)』 중의 8번째 그림이다. < 심학도 >는 송나라 진덕수(眞德秀:1199~1235)가 저술한 < 심경(心經) >에 있으며, 성현들의 마음(心)에 관한 것과 마음을 주재하는 경(敬)에 관해 일목요연하게 도식화한 것이다. 심학(心學) 가운데에서 중요한 것은 마음이 사람의 몸을 주재(主宰)하며, 마음을 주재하는 것으로 경을 말한 것이다.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 심학도 >는 뒤에 명나라의 임은 정씨인 정복심(程復心)이 도식을 그리고 설명한 것이다. < 심학도 >의 그림과 설명을 보면 배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스스로 건강한 몸과 마음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 그 원리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심학도 >에서 사람의 몸을 주재(主宰)하는것은 마음이라고 말한다. 편안하면서 걸림이 없이 자유로운 마음을 가지고 살려면 먼저 마음의 이치를 터득해야 한다. 그 마음을 조절하면서 편안하고 안정된 마음으로 주재할 수 있는 것은 경(敬)임을 말하고 있다. 즉 건강한 마음은 도덕적 능력을 배양하여 사람 본래의 욕망을 조절하면서 도심을 지켜 몸을 주재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음을 주재하는 것은 경으로 공부를 바르게 하는 요령은 하나의 경에서 떠나지 않는 것이다. 현대 간호과학의 메타패러다임의 네 가지 개념은 사람, 건강, 환경 그리고 간호이다. 담론분석적인 입장에서 보면 사람은 몸과 마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과마음의 균형과 조화를 통해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려는 노력은 거시적 관점에서보면 시대를 관통하면서 다르지 않다. 환경부분에서는 과학문명의 발달로 수명이 연장되고 도구의 편리함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람을 간호하는 이치는 다르지 않으나 도구와 기술의 발달로 간호 실무는 지속적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음을 알아차림 하는 것은 건강간호의 한 부분이 된다. < 심학도 >에서 마음은 몸을 주재(主宰)하고, 마음을 주재하는 것은 경(敬)이다. 마음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인심(大人心)으로 착함을 택하여 집착하지 않으면서 굳게 지켜나갈 수 있어야 한다. 마음을 가진 사람이 주일무적(主一無敵)하고 정재엄숙(整齋嚴肅)하게 경을 실천하는 것이 마음건강증진이다. 간호학적인 관점에서 마음건강증진을 위해 대인심(大人心)으로 균형을 맞추어 나가야 하는 것은 첫째 심신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조화를 이루고 둘째 생의 주기별우선순위에 따른 자기발견과 대인관계의 수용성이다. 담론 분석적 입장에서 이둘은 마음과 마음챙김의 조화를 이루어 마음건강증진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과 다르지 않다.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心學圖) is the eighth picture of the ten pictures and commentaries in Seonghaksipdo, which was drawn and written by Toegye Yi Hwang. Toegye composed Seonghaksipdo, with a hope that Seonjo, the young king in Joseon Dynasty at the time when Toegye wrote it, became a sage king. Based on XinJing (心經) drawn by Chen Te-hsiu (眞德 秀),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schematically manifests the mind of sages and jing (敬) which regulates the mind. Important in XinJing (心經) is that a mind regulates the body, while jing (敬) regulates a mind. Jing (敬) means the mindfulness.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shows principles on establishing concepts of a sound body and a sound mind and setting priorities for a healthy life. According to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a body is regulated by a mind. To live on in a comfortable state of mind without setbacks, reasoning of the mind should be mastered. Jing (敬) regulates the mind in a comfortable and stable way. In other words, a sound mind is to cultivate moral capacities, control desires, and regulates a body. To study jing (敬) rightly is not to leave a state of jing (敬). Four concepts of the metaparadigm in the contemporary nursing science include people, health, environments, and nursing. From a discourse analytic perspective which assumes that people consist of their mind and body, efforts for maintaining and enhancing good health through th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body and mind do not entirely differ across eras. In terms of environments, the advance in science, the extension of life span, and the advent of convenient tools have brought many changes in every life. In terms of nursing, although nursing service has changed with the advance in technology and tools, reasons for nursing people have remained the same. In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a mind regulates a body, while jing (敬) regulates a mind. To be in a healthy state of mind, one should stick to the goodness of heart by focusing on the mind without departing from it, being properly ordered and controlled and grave and quiet, and putting jing (敬) into practice. From a nursing perspective, to enhance a healthy mind, two principles should be balanced: One is to be in harmony between changes in mind and body,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other is to pursue self-discovery based on priorities in life cycles, and accept personal relationships. From a discourse analytic perspective, these two principles are similar to being in balance between the mind cycle and the mindfulness cycle.

      • KCI등재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 연구

        권봉숙 ( Kwon Bong Soo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퇴계 이황(1501~1570)은 오늘날 건강증진에 해당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증진의 내용을 실천에 옮기는 퇴계의 실행력의 근원을 알고 현대적 웰빙 라이프에 적용이 가능한지 알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실행력은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지 않다.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긍정적인 건강결정 인자들을 중심으로 신체적인 활동, 정신적인 활동 그리고 사회적인 활동으로 균형 있게 배분되어 있었다. 현대인이 추구하는 웰빙 라이프에서도 신체활동과 관련된 의식주 생활, 정신활동과 관련된 문화생활 그리고 사회활동과 관련된 직업생활과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일반적인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은 질병 예방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기획되고 디자인 된다. 더 나아가 웰빙 라이프의 실현에 있다.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은 생에 대한 확고한 외경심을 실현하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퇴계가 실천한 건강증진의 근원을 살펴보면 오늘날 웰빙 라이프의 실현을 위함과 다르지 않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퇴계의 신체적 건강증진의 실행력의 근원은 개인적으로 병고에 시달림을 물리치기 위한 절박함에 대한 통찰이었다. 둘째는 정신적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은 병을 병으로 아는 지각력에서 시작됨을 통찰한 것이다. 셋째로 사회적 건강증진 실행력의 원천은 참된 사회봉사로서 대의를 실천해야 한다는 통찰에 있었다. 스스로의 통찰에서 행복추구를 게을리 하지 않은 것은 건강증진 활동을 지속시키는 근원적인 힘이 되었다. 현대 간호과학의 관점에서 건강증진 활동을 연속성 있게 지속적으로 실행해 나가는 내용은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퇴계의 활동과 다르지 않다.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에 비추어 보면 신체적 건강증진 실행력은 질병으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나타났고, 정신적 건강증진 실행력은 웰빙과 행복추구를 위해 문학 활동 등으로 내면의 지평을 넓혀가며 건강유지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인 건강증진 실행력은 퇴계가 공적인 업무에 헌신하고자 하는 현대적 전문직업인의 업무 수행을 위해 질병예방 활동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은 지금 이 시대에 절실하게 재조명이 필요한 내용이다. 현대사회에서 건강증진 실행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인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이 가능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는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health promotion to its origin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health promotion was linked to practicing sheer awe of life. Based on its origins, Toegye’s health promotion is not entirely different from practice of comtemporary well-being life in three main aspects. First,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physical health promotion was derived from his insight into desperation to overcome his suffering from illness. Second,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mental health promotion was derived from his insight into perceptivity of being aware of illness. Third,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social health promotion was derived from his insight that he had to make contributions to social service. The fundamental power of Toegye’s continuing health promotion was linked to his constant pursuit of happiness based on his insight of himself.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of nursing science, continuous practice of engaging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s not entirely different from Toegye’s practice of engaging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activitie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physical health promotion was related to activities performed to alleviate his sufferings from illnes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mental health promotion was linked to activities (e.g., literary activities) performed to broaden perspectives and persue well-being and happines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social health promotion was related to his activities for promoting illness prevention in order to help people dedicate themselves to official duties, The origins of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health promotion need to be reviewed in comtemporary societies. To enhance the practical power of health promotion, further studies on how to apply Toegye’s health promotion for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ies merit conside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