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김경아(Kyounga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1, 2, 3학년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유효한 264명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활용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직업가치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업가치관은 고려하지 않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 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함께 투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가치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직업가치관은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가치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검증한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관(적성, 성취감, 능력)은 내재적 동기(적성, 흥미, 재능, 미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진로탐색 활동을 향상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진로결정과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충족 될 때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은 학생들의 개인특성 및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교육과 지원의 방향을 다각화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학생들의 능동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직업가치관을 확립하고 진로 확신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7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university, of which 26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maj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cuupational values. Second, the total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without considering ocuupational value, and as a resul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cuupational value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by inputting both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 value did not.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bootstrap verifica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ocuupational value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job value, it was foun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ttitude, achievement, ability) mediates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attitude, interest, talent, and futur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can make specific career decisions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actions by improving career 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re satisfied,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lead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Therefore, people in charge of the university field need to diversify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ocuupational value and increase career confidence for students'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rom the lower grades of universit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김미경(Kim MiKyoung),안윤정(An YoonJung),김경아(Kim K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서조절이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 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등 4년제 대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9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성별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자기 명료화와 진로주의집중 및 실천, 진로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직업 환경 불확실성 감소, 자기명료화, 긍정심리증진, 진로 미래의 부정적 진로전망, 일과 삶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 진로탄력성,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하위변인 간에도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나머지 요인들과 회피와 부정적 진로전망 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은 진로미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정서 조절이 진로미래를 높이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대학생들의 긍정적 진로미래를 위한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on CFI-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530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yonggi and Chungnam, from June 18 to June 22, 2018 and finally 494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larity, the concentration and practice of career emotional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standard, the decrease in the uncertainty of job environment, self-clarity, improving positive psychology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the negative career outlook, the work and life balances of CFI-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nd CFI-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ere was a general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maining factors and the avoidance and negative career outlook variables was negative. Third,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FI-R. Fourth, the career resilience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firmed that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a predictor to increase the CFI-R,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resilience for the positive CFI-R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김미경(Kim, MiKyoung),오현주(Oh, HyunJu),김경아(Kim, K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에서 사분면에 위치하는 요인과 항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S 대학교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일부터 12월15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생들의 진로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활용하였고,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역량에 대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진로역량 구성요인 IPA 분석 결과는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중점관심 요인으로 진로관리 요인이 나타났으며, 현상유지 필요 영역은 자기성찰, 진로탐색 요인이 포함되었다. 초과달성 영역에 포함된 요인은 자기표현이었으며, 우선순위가 낮아 점진개선이 필요한 영역에는 네트워킹이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중점관심 영역에 대한 실행노력이 시급하다. 특히 중점관심에 포함된 항목은 진로관리를 위해 구체적인 실천계획 수립, 변화 능동적 대처, 진로목표 지속적 검토를 위한 진로교육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러한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if any,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reer competenci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 factors and items in the quadran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or the career competencies perceived by them.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50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from December 1, 2017 to December 15, 2017 and 417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methodology, it used IPA for their career competencies and carried out t-test to tes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of career competences; second, the IPA results of components of career competencies show that career management was a factor that required initial improvement and intensive interest. Self-examination and career search were found in the area that needed to maintain status quo. Self-expression belonged to the area of over-achievement, and networking was in the area that was low in priority and needed gradual improvement.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efforts to reflect career management, which was the area of intensive interest with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on career education actively.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identify the priority of career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career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in college and proposed policy directions for the realization of learner-centric care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대학 코칭 교양교육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및 요구 분석 : 여대생을 중심으로

        윤희정(Huijeong Yun),김경아(Kyounga Kim),이민신(Minshin Lee),임여진(Yeojin Lim),김지은(Jieun Kim)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대학생 코칭 교육의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대학 코칭 교육의 방향과 요구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대상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 고, 서울 및 경기권 소재 4년제 대학 여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연구의 윤리적 측면 확보를 위하여 소속 대학 기관연구 윤리위원회 심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대학생 코칭 교육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코칭교육의 가능성과 중요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여대생의 요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전문가들은 대학의 코칭 교육에서 코칭 철학의 실천과, 이를 바탕으로하는 코칭 교육의 방향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코칭문화의 확산을 위하여 다양한 비교과 프로 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둘째, 대학 코칭 교육에 대한 여대생들의 교육 요구는 세부 요인 중 코칭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다음으로 코칭 스킬, 코칭 기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및 세 부 요인별로 도출된 교육요구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 코칭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세부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demand of coach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aching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survey of 5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secure the ethical aspect of research, approval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affiliated university.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emands of university student coaching education, the results of expert opinion and demand survey on the possibility and importance of coaching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in un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coaching education at universities emphasized by experts emphasizes the practice of coaching philosophy and the direction of coaching education based on it. In addition,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were proposed to spread the coaching culture. Second, a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university coaching education, among the detailed factors, the education demand for coaching leadership competenc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coaching skills and coaching basis. Third, the proposed applying the detailed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coaching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information obtained by expert interviews and detailed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