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itroge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of Selected Piedmont Soils in North Carolina

        신중두,Shin, Joung-Du,Reddy, G.B. 한국토양비료학회 1997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0 No.1

        토양에서 질소변화과정에 관한 보다나은 이해력 증진은 질소비료의 효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필수적 요인이다. 실험실 실험은 대표적인 Piedmont토양에 있어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 량은 Enon, Mecklenburg, Chewcla토양의 표토층에서 60 일까지 증가되었으며, 그후로부터 90일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Wehadkee토양에서 질소의 무기화 및 질산화 량은 숙성시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위에서 열거한 모든 토양의 토심이 15-30cm의 토층에서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 량은 90 일까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토양에 있어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 량은 토심별로 토양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점은 토양통풍 및 질산화 bacteria의 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질소의 무기화 및 질산화 량은 subsurface lagers보다는 표토층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 better understanding of nitrogen transformations in soils is essential to increase fertilizer nitrogen use efficiency. A laboratory incubation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net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in selected Piedmont soils. Net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increased up to 60 days in the surface layers of Enon, Mecklenburg and Chewacla. After 60 days both processes declined up to 90 days incubation. In Wehadkee,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did not differ with incubation time. In all subsurface layers,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increased with time up to 90 days.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differed among soils in surface and subsurface layers. These differences might be influenced by soil type related to amount of mineralization, soil aeration and nitrifying bacterial populations. A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was greater in surface layers than in subsurface layers.

      • KCI등재

        Influnce of Plant Residues on Net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of the Selected Piedmont Soils in North Carolina

        신중두,Shin, Joung-Du 한국토양비료학회 1997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0 No.1

        Determination of 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potentials of selected Piedmont soils of North Carolina requir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s of incorporated plant residues. The net 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oil types and by plant species. The net 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of soils mixed with plant residues were consistently increased with successional incubation periods. The net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ranged from $9.77{\mu}g/g$ to $143.80{\mu}g/g$, and from $5.31{\mu}g/g$ to $145.66{\mu}g/g$ during the incubation periods, respectively. The net N mineralization was more influenced by NO3-N than by NH4-N. Overall, the greatest proportions of net 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occurred in Chewacla and Wehadkee and lowest in Enon and Mecklenburg. For the plant residues, the net 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were observed to be lowest in corn and highest in soybean. In a low-input agricultural systems, soybean may be planted as cover crop which may improve the nitrogen status of selected Piedmont soils of North Carolina. North Caralina의 대표적인 piedmont 토양에 내재하고 있는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 과정에 대한 결정은 식물체 잔사 처리로 인한 효과에 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 과정은 토양종류 및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유의성 있게 영향을 받았다. 식물체 잔사를 처리한 토양의 질소 무기화 및 질산화량은 계속적인 배양 기간에 따라 꾸준히 증가되었으며,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량은 배양 기간 동안 각각 $9.77{\mu}g/kg{\sim}143.80{\mu}g/kg$과 $5.31{\mu}g/kg{\sim}145.66{\mu}g/kg$ 이었다. 질소무기화 과정은 $NH_4-N$보다는 $NO_3-N$에 더 영향을 받았다. 전반적으로 가장 많은 질소무기화 및 질산화량은 Chewela와 Wehadkee 토양에서 발생하였으며, Enon과 Mecklenburg 토양에서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식물체 잔사 효율은 옥수수 식물체 잔사 처리에서 가장 낮았으며, 콩 식물체 잔사 처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저 투입 농업체계에서 콩 식물체의 잔사 처리가 North Caralina의 대표적인 Piedmont의 질소상태를 증진시키는 피복작물로서 유효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Influences of Discharge Waters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n Rice (Oryza sativa L.) Growth and Percolation Water Salinity

        신중두,이종식,김원일,이창은,윤순강,엄기철,Shin, Joung-Du,Lee, Jong-Sik,Kim, Won-Il,Lee, Chang-Eun,Yun, Sun-Gang,Eom, Ki-Cheol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6 No.1

        벼 재배에 있어 이앙기 가뭄시 대체 용수원을 개발하고자 공장폐수처리장(이하 공장폐수 처리수)와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이하 하수처리수)를 관개한 다음 지하 침투수 수질 및 벼생육 변화를 구명하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체 관개 용수원으로서 공장폐수 처리수의 COD, $NH_4{^+}-N$, $Mn^{2+}$, 및 $Ni^+$ 농도와 하수처리수중의 SS및 $PO_4-P$농도는 여러 국가들의 관개 재활용 수질 기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처리수의 초장은 공장폐수 처리수 10일간 관개구를 제외하고 지하수 관개구 보다 약 2 cm 정도 짧았으나, 지하수 및 하수처리수 관개구의 경수는 관개기간에 관개 없이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수처리수 및 공장폐수 처리수 20일 관개구의 수확지수는 유의차가 없었지만, 공장폐수 처리수 30일 관개구의 수확지수는 토성에 관계없이 하수처리수 관개구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폐수 처리수 관개구의 토양 침출수중의 SAR값은 하수처리수 관개구보다 2배 이상 높았지만, 하수처리수 관개구는 지하수 관개구와 비교하여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앙 30일 후 공장폐수 및 하수종말처리수 관개구의 토양침출수중 평균 전기전도도(EC1) 값은 각각 식양토에서 4.7과 $3.4dS\;m^{-1}$ 그리고 사양토에서 3.5 및 $2.5dS\;m^{-1}$로 나타났다. 전생육 기간 및 토성에 따른 공장폐수 처리수 관개구의 토양 침출수중 $EC_i$값이 하수처리수 관개구 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지만, 이앙 30일 후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렇지만 하수종말 처리수 관개구의 토양 침출수 중 $EC_i$ 값은 지하수 관개구와 비교하여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벼 재배시 하수종말 처리수는 가뭄으로 인한 농업용수가 부족한 경우 대체수자원으로서 잠정적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rice growth and percolation water salinity under the irrigation of the discharge waters from the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from th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s alternative water resources during transplanting season. Three kinds of waters were irrigated; the discharge water from a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DIWT), the discharge water from the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DMWT), and groundwater. Concentrations of $COD_{er}$, $NH_4{^+}_-N$, $Mn^{2+}$, and $Ni^+$ in DIWT, SS content and $PO_4-P$ concentrations in DMWT were higher than those of reuse water criteria of other country for agricultural irrigation. The plant height in the irrigation of DMWT was shorter by 2 cm than the groundwater irrigation except for 10 days irrigation. However, the number of tillering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MWT and the groundwater. For the harvest index,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MWT and DIWT for 20 days irrigation, but slightly higher in DIWT than that of DMWT for 30 days irrigation regardless of soil types. The salinity of percolation water in the rhizosphere with irrigation of DIWT had more twofold than DMWT, but SAR value from DMWT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oundwater irrigation. The average $EC_i$ values in the rooting zone irrigated with DIWT and DMWT for 3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were 4.7 and $3.4dS\;m^{-1}$ in clay loam soil, and were 3.5 and $2.5dS\;m^{-1}$ in sandy loam soil, respectively. There was dramatic decrease in $EC_i$ value at 3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even though $EC_i$ of DIWT had more twofold than DMWT. However, $EC_i$ from DMW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roundwater. Therefore,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re was limited possibility to irrigate DMWT to overcome drought injury of rice transplanting season in paddy fiel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Evaluation of Efficiency to Plant Growth in Horticultural Soil Applied Biochar Pellet for Soil Carbon Sequestration

        신중두(Joung Du Shin),최용수(Young Su Choi),최은정(Eun jung Choi),김명숙(Myung Sook Kim),허정욱(Jeong Wook Heo) 유기성자원학회 2017 유기물자원화 Vol.25 No.3

        본 실험의 목적은 토양탄소 격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바이오차 팰렛 시용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 및 작물 수량 효과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처리는 일반적인 영농 방법으로서 대조구, 돈분 팰렛, 바이오차와 돈분 퇴비 혼합 비율별 바이오차 팰렛 시용구 (9:1, 8:2, 6:4, 4:6, 2:8)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이오차 팰렛의 사용량은 상추 재배를 위한 추천 시용량 (330kg/10a)기준으로 혼합 비율에 관계없이 6.6 g/pot이었다. 상추수확 후 상토의 pH, EC, 암모늄태 질소의 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pH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돈분팰렛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지만, 바이오차 팰렛 처리구(4:6 및 2:8)에서 감소하였다. EC는 처리구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암모늄태 질소 함량은 단지 돈분 팰렛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지만, 질산태 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나, 상추 수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바이오차 팰렛 처리구( 9:1, 8:2 및 4:6)에서 9.5%에서 11.4%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바이오차 팰렛 시용은 상추생육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긍정적으로 나타남으로서, 작물 재배에 있어서 바이오차 펠렛을 시용하게 되면 토양 탄소격리 및 온실가스완화를 위해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efficiency of application of biochar pellet in case of application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technology. The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control as general agricultural practice method, pellet(100% pig compost), biochar pellets with mixture ratio of pig compost(9:1, 8:2, 6:4, 4:6, 2:8) for comparatives of pH, EC, NH₄-N and NO₃-N concentrations, and yields in the nursery bed applied biochar pellets after lettuce harvesting. The application rates of biochar pellet was 6.6g/pot regardless of their mixed rates based on recommended amount of application (330kg/10a) for lettuce cultivation. pH in the nursery bed applied different biochar pellets after lettuce harvesting was only increased in the treatment plot of pig compost pellet application, but decreased in 4:6 and 2:8 pellet application plots. However, EC was observed to b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NH₄-N concentration was only increased in the treatment plot of pig compost pellet application, but NO₃-N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Yields in the treatments of 9:1, 8:2 and 4:6 biochar pellet application plot were increased from 9.5% to 11.4%. Therefore, this biochar pellet application might be useful for soil carbon sequestration and greenhouse gas mitigation in the agricultural farming practices because it was appeared to be a positive effect on lettuce growt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Effects of Biochar Pellet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Pepper for Development of Carbon Sequestration Technology in Agricultural Practice

        신중두(Joung Du Shin),최용수(Young Su Choi),이선일(Sun Il Lee),홍성창(Seung Chang Hong),이종식(Jong Sik Lee) 유기성자원학회 2017 유기물자원화 Vol.25 No.1

        본 실험의 목적은 토양탄소 격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바이오차 팰렛 시용에 따른 고추 생육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처리는 고추 수확 후 총 탄소 함량, 암모늄태 질소의 농도 및 총 바이오매스량 비교를 위해 일반적인 영농 방법으로서 대조구, 돈분 팰렛, 바이오차와 돈분 퇴비 혼합 비율별 바이오차 팰렛 시용구 (9:1, 8:2, 6:4, 4:6, 2:8)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이오차 팰렛의 사용량은 고추 재배를 위한 추천 시용량 (440kg/10a)기준으로 혼합 비율에 관계없이 8.8 g/pot이었다. 실험 결과로서 총 탄소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1.8-2.6배 낮게 나타났다. 암모늄태 질소의 농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 사이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질산태 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총 바이오매스량은 다른 처리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할지라도 대조구와 2:8 바이오차 팰렛 처리구 사이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바이오차 팰렛 시용은 농사 활동에 있어서 탄소격리를 위해서는 더욱더 연구되어야 한다.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effect on pepper growth to application of biochar pellet in case of development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technology. The treatments consisted of control as a general agricultural practice method, pellet (100% pig compost), biochar pellets with mixture ratio of pig compost (9:1, 8:2, 6:4, 4:6, 2:8) for comparison of total carbon contents, NH4-N concentrations, and total biomass in the pots applied with biochar pellets after pepper harvesting. The application rates of biochar pellet was 8.8 g/pot regardless of their mixed rates based on recommended amount of application (440 kg/10a) for pepper cultivation.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Total carbon contents in the treatments were low from 1.8 to 2.6 fold as compared to the control. NH4-N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plo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NO3-N was not detected in the all treatment plots. However, total biomass was not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2:8 (biochar : pig compost) biochar pellet application plot even if the other treatments were low. Therefore, this biochar pellet application might be further modified for soil carbon sequestration in agricultural farming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