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주영주,하영자,유지원,김은경,Joo, Young-Ju,Ha, Young-Ja,Yoo, Ji-Won,Kim, Eun-Ky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사이버교육의 개발 및 운영전략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려고 한다. 2009년 1학기, W사이버대학생을 802명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성과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실재감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에서의 사이버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요구되는 교수설계 및 운영전략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cognitive, social presence and the learning outcome. It also provides the base data on the development of cyber education and its management strategi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09, 802 students at W cyber university completed surveys about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effect of teaching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on satisfaction, and that of cognitive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in cyber universities.

      • KCI등재

        멀티미디어자료와 저작권 사용에 관한 연구

        주영주,이광희,Joo, Young-Ju,Lee, Kwang-H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3 No.2

        최근 정보사회의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술은 다양한 저작물의 창작, 전송, 그리고 신속한 대량 유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저작 환경에도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발빠른 정보 통신 기술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저작권 관련법의 현실적 개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작자와 교육현장의 이용자 모두의 이익에 근접할 수 있는 제도 마련과 기술적인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관련 문제점과 국제적인 동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멀티미디어자료의 국내 저작권 사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와 더불어 21세기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저작권에 대한 일반인의 의식 확대를 위한 교육과 홍보도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행해져야만 할 것이다. Recently, multimedia in information society are renovating the methods of creating, communicat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between people. Due to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toring information through a digital network structure and a renewal on-line system, we cannot solve current various problems related to copy rights under our present law system. This study will find out a concept of copy right in digital media, introduce a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and the copy right environment and analyze international trends in protecting copy right of digital media. Finally, the some problems and suggestions will be summarized to give new directions to using the copy right challenging in 21 century.

      • KCI등재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자기효능감, 교수맥락, 학습접근방식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규명

        주영주(Young Ju Joo),박수영(Su Yeo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만족도에 대한 자기효능감, 교수맥락, 학습접 근방식의 예측 정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대학교 부설 평생 교육원의 ‘SW평생교육원 지원’ 교육생 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자기효능감, 교수맥락, 심층학습접근, 피상학습접근을 예측변인으로, 학습만 족도를 준거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맥락, 자기효능감이 심층학습접근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둘째, 교수맥락이 피 상학습접근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셋째, 심층학습접근, 교수맥락이 학 습만족도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dictability of self-efficacy, teaching context, approaches to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in software education. For this study, 62 ‘SW the lifelong education support’ trainees of the school of continuing education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completed web-surveys. A hypothetical model proposed included self-efficacy, teaching context, deep approached to learning, surface approached to learning as predictors, learning satisfaction as a criteria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teaching context, self-efficacy positively predicted deep approached to learning significantly. Second, teaching context negatively predicted surface approached to learning significantly. Third, deep approached to learning, teaching context positively predicted learning satisfaction significantly

      • KCI등재

        협력학습에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주영주(Young Ju Joo),고경이(Kyung Yi G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3P 모형을 토대로 협력학습의 주요 변인을 상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협력학습 수업방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협력학습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팀성과 및 개인성과의 영향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A대학교 ‘나눔리더십’ 수강생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와 교수학습 질이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취동기와 교수학습 질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층적 학습접근방식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팀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심층적 학습접 근방식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개인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3P모형을 활용하여 협력학습에 대한 통합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ssumed the main variables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Biggs s 3P model and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in depth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offering some suggestions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we selected achievement motivation,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as the related variables of the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To verify them, 154 students enrolled Sharing Leadership in A university completed surveys and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motivation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fluenced on deep approach to learning. Second, achievement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fluenced on peer interaction. Third,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influenced on team performance. Last,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influenced on personal performanc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which it showed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collaborative learning by employing 3P model. Also, it presented some practical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would be further expected to become fundamental materials on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 KCI등재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상황적 제한, 학습시간 및 환경관리, 만족도, 전이동기의 잠재평균분석

        주영주(Joo Young-Ju),이진수(Lee Jin-soo),손현수(Son Hyun-Soo)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상황적 제한, 학습시간 및 환경관리, 만족도, 전이동기에 있어 직장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주요변인 간 경로에 있어서 직장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이버대학생의 효율적인 학습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W사이버대학 2010년도 1학기에 진행된 ‘음양오행론’과 ‘명상학’ 과목에 등록한 재학생 6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잠재평균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장이 있는 학습자 집단이 직장이 없는 학습자 집단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전이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시간 및 환경관리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직장이 있는 학습자 집단이 직장이 없는 학습자 집단에 비해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장유무에 따른 학습자 집단 간 상이한 학습관리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plans for effective learning management of cyber-university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situational constraint, time and environment management, satisfaction and transfer motivation by employment statu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pring semester of 2010 by conducting a survey for 604 W cyber-university students that enrolled i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nd ‘meditation’.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Latent means analysis(LMA) where students without job ar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students with job show higher latent mean values on academic self-efficacy, satisfaction and transfer motivation.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ructural path coefficient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ime and environment management. However, academic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s on time and environment management in two groups. Finally, different learning management should be applied depending on students’ employment status for effective learning achievement in cyber-university.

      • KCI등재

        원격평생교육에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의 영향 변인 분석

        주영주 ( Young Ju Joo ),정유진 ( You Jin Jung ),고경이 ( Kyung Yi G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3P모형을 이론적 틀로 설정하여 원격평생교육원에서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기관의 지원, 심층학습 접근방식, 피상학습 접근방식,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간에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원격교육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세 개의 대학부설평생교육원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21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기효능감과 기관의 지원이 심층학습 접근방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둘째, 자기효능감과 기관의 지원은 피상학습 접근방식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심층학습 접근방식과 피상학습 접근방식은 만족도 각각 정적,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심층학습 접근방식과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피상학습 접근방식은 학습지속의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3P모형을 통한 원격기반 평생교육의 학습성과모형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되며 학생들의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upport of institution, deep approach to learning, surface approach to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using 3P model and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12 e-learners registered for cyber lectures through a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 revealed that self-efficacy and support of instit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ep approach to learning. Second, self-efficacy and support of institu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urface approach to learning. Third, deep approach to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But surface approach to lear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Lastly,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and surface approach to lear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This study provide a learning performance based model of distance lifelong education through 3P model. And we expect that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and improvement of fundamental learning strategies for successful distance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국어교과에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학습전략, 부모의 지원, 학업성취도의 남녀 집단 간 차이 비교

        주영주 ( Young Ju Joo ),서혁 ( Hyuk Suh ),설현남 ( Hyun Nam Seol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2

        Learning ability of native language is sustainingly affects students` everyday life after becoming grown-ups, such as social life or working competence, therefore, students should learn native language subject by prior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which was held by OECD, Korea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ne of the learning strategies for language achievement were considerably low compared to ones in other countries· This signifies that the Korean students` ability to study oneself is inferior to the students in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students at 15 years old in Korea based on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I have selected factors that may impact to Language achievements: Self-efficacy, Self-regulation strategy, and Educational support from parents in order to examine systemic and integrated cause and effect and to find out latent means differences of each latent variables per each gender group and to identify influential differences at each path of each research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Self-efficacy, Self-regulation strategy, and Educational support from parents have effect on Language achievements? 2· Is there an latent means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in terms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strategy, Educational support from parents, and Language achievements? 3· Is there and influens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in terms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strategy, Educational support from parents, and Language achievements? To mee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students` data at 15 years old in Korea based on a reference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were chosen· A total of 6360 students` data selected for this study· Among the 6360 respondents, 3315 students were boys, 3045 students were girls·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scale, factor analysis were administrated· The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finally, latent means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see the latent means difference and the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ialtion strategy of Organization, Elaboration, Seeking help, Self-efficacy, Educational support from parents had effects on Language achievements significantly in order· Second, latent means analysis(LMA) where boys wer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girls showed higher latent means values on the Seeking help, Organization, Self-efficacy, Elaboration and boys showed higher latent means values on the Educational support from parents Third, there was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in path of Seeking help to Language achievement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generalization because of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that reflected broadly features of Korea middle school student·

      • KCI등재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에서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 자기효능감과 이동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영주 ( Young Ju Joo ),정애경 ( Ae Kyung Chung ),정유진 ( You Jin Ju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TAM)을 이론적 틀로 설정하여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에 대한 모바일 자기효능감, 이동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수용의도 간에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모바일 자기효능감, 이동성이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쳤고 둘째, 모바일 자기효능감, 이동성,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모바일 자기효능감, 이동성, 지각된 유용성은 모바일러닝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 된 사용용이성은 모바일러닝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bile self-efficacy, mobilit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of a mobile learning service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result revealed that mobile self-efficacy, mo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mobile self-efficacy, mobility, perceived ease of use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mobile self-efficacy, mobility, perceived usefulness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use of a mobile learning service. However, perceived ease of use did not have a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mobile learning service.

      • KCI등재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주영주(Young Ju Joo),고경이(Kyung Yi Go),정유진(Youjin J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만족 및 진로준비행동과 영향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진로결정 관련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진로지도 및 상담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진로만족모형 및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준비행동을 진로만족의 영향변인으로 선정하고 이들의 인과관계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G대학교 3, 4학년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긍정적 정서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결과기대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은 진로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결과기대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 결과기대는 진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시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선택 및 진로 준비과정에서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 환경적 요인, 인지적 요인이 행동 및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some new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SCT), we hypothesized that positive affect,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ould influence on career satisfaction. For this study, 308 students in G university completed surveys and it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positive affect influenced on social support. Second, positive affect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fluenced on outcome expectancy. 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fluence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st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fluenced on career satisfaction. However, social support, outcome expecta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dditionally, positive affect, social support and outcome expecta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satisfaction. From these results, we recommended some effective solutions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Shortly, this study explored that emotional, environmental and cognitive factors influenced on the behaviors and emo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areer choice and career preparation process.

      • KCI등재

        패션 메이크업에 나타난 키치의 조형성 연구

        주영주 ( Young-joo Joo ),김선아 ( Sun-ah Kim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8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2 No.1

        현대 패션 메이크업은 키치를 패션과 메이크업에 결합하여 새로운 예술 장르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 패션에서 독자적인 디자인 영역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패션 메이크업 분야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키치 메이크업에 대한 조형적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쇼와 메이크업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키치를 표현한 메이크업을 연구함으로써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고, 패션 메이크업에 나타난 키치 메이크업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정립하고 조형성을 재발견하고자 한다. 키치 메이크업의 조형적 특성은 표현 기법, 소재, 형태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첫째, 표현 기법은 회화적 기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와 디자인을 재창조하고 이질적 요소의 조합이라는 방법적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둘째, 소재는 다양한 오브제를 혼용하여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셋째, 형태는 시각적으로 비정형적이고 해학적 유희를 닮은 키치한 감성을 창조적으로 표출해 내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 패션 메이크업에서 보여 지는 키치 메이크업은 공통적으로 이질적이고 비정형적인 특성을 보이며, 틀에 박히지 않은 자유로운 감성과 유쾌함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비일상적인 새로움을 추구하여 대중들에게 시각적 유희를 제공할 수 있는 키치적 디자인이 다각도에서 분석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패션쇼와 메이크업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키치를 표현한 메이크업을 연구함으로써 그 예술적 영역을 넓히고자하며 패션 메이크업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 조형적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modern fashion make-up is expressed as new art genre by combining Kitsch with fashion and make-up. In this research understanding of Kitsch and actual expression cases are analyzed and then artistic formativeness of the Kitsch expressed in fashion make-up is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as expression skills, materials and forms. First, expression skills create new design using pictorial technic and apply methodical principle combining disparate elements. Second, materials are extensively used mixing various objets. Third, forms are classified to various properties such as hyperbaton distortion, optical illusion and overlap/ juxtaposi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Kitsch make-up in modern fashion make-up expresses common characteristics as disparateness and irregular shape. Moreover unconstrained sensitivity and pleasure are emphasized in the Kitsch make-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how and make-up, to study the make-up expressing kitsch, to widen the artistic area,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ashion make-up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