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 인식 수준 및 결정요인: 펀드투자 관련 자기결정성과 투자권유 서비스의 질을 중심으로

        강지영 ( Kang¸ Jiyoung ),최현자 ( Choe¸ Hyuncha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1 금융소비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15년~2019년 펀드투자자조사를 활용하여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의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투자권유의 질과 자기결정성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융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투자 결과의 63.11%만이 본인의 책임이고 나머지는 판매직원 등 금융회사의 책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별과 결혼 여부는 유의한 요인이 아니었으나, 연령, 학력, 금융자산의 규모, 펀드투자의 자발성 여부, 위험감수성향은 자기책임 인식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고, 특히, 펀드이해력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기결정성의 하위 항목인 자율성과 유능감의 경우, 자기책임 인식의 유의한 선행 변수로 나타났고, 투자권유의 질의 하위 항목인 펀드상담만족도 및 설명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영향이 있었으나 적합성 원칙 준수도는 그렇지 않았다. 투자권유의 질은 직접 경로 외에 자기결정성을 통한 간접 경로를 통해서도 자기책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법시스템이 추구하는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 수준과 투자자의 인식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며, 투자권유 서비스의 개선 등 투자자의 자기책임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정책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lf awareness level of financial investor accountability and factors affecting it, using the 2015-2019 fund investor survey collected by the Korea Financial Consumers Protection Foundation. As a result, financial investors recognized that only 63.11% of the investment results were their accountability. While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age, education, and financial asset size, willingness of fund investment,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and fund literacy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ccountability awareness. Autonomy and competence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also appeared as significant antecedent variables for accountability awareness and consultation and explanation satisfaction except for the compliance with suitability rule which are sub-items of the quality of investment recommend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mply that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 self awareness level of financial investors accountability pursued by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he recognition of investors, and to seek appropriate policies to reduce the gap,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investment recommendation services.

      • KCI등재

        외발 소수자 ‘兀者’의 함의 고찰 ― <양생주>와 <덕충부>를 중심으로

        高志英 ( Ko¸ Jiyoung ) 중국어문연구회 2021 中國語文論叢 Vol.- No.107

        There are many disabled people in Zhuangzi. Among them, Youshi of Yangshengzhu, Wang Tai of Dechongfu, Shen Tujia and Shushan The Toeless are an acquired disabled people. Youshi was expressed as one foot and the other three people was expressed as Wuzhe(兀者). In Shuowen, the word Wu (兀) means “high and flat above”. However, Kangxi dictionary added the meaning “cutting feet”. However, in the original sense of Wu(兀), Wuzhe(兀者) was not just a punished person, but also highly educated, could have been the one who received the “Criminal Punishment Of Cutting Off The Feet”. Those who have been punished and cut their foot are likely to have been involved in matters of national interest. It also shows that, in reverse terms, they were in positions that could affect national interests. It is not clear why the people in Zhuangzi were cut their foot, but Zhuang Zi’s descriptions suggest that they were in some position and were well-educated. Therefore, the three Wuzhe(兀者) characters in Dechongfu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person with their feet cut off”, but rather as a double meaning, adding to the meaning of “Proud Loneliness”. Just like “Sun Bin(孫臏)”. Zhuang Zi showed “life(生)” through Youshi, and “virtue(德)” through Wuzhe (兀者). This can be said to be not only a role model for the disabled to grow and nurture their remaining lives, but also a token or an example if they are full of their inner virtues.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 구현된 가상세계로서의 역사

        이지영 ( Yi¸ Jiyoung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중국의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에 따라 역사적 사건이 소설의 서사와 긴밀히 연관되는 경우부터 소설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거의 무관한 경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지만, 서사의 중심이 역사적 사건보다는 집안 구성원간의 갈등에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인다. 또한 한글장편소설이 수용한 '역사'는 연의소설 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서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한글장편소설의 주향유층은 역사서가 아닌 연의소설을 통해서 역사를 학습했기에, 한문 식자층과는 역사 인식이 달랐다. 이들은 연의소설에 서술된 허구를 역사적 사실과 구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역사적 사건보다는 등장인물 간의 갈등에 더 관심을 보인다. 한글장편소설 향유층에게 '역사'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허구적 공간으로 존재했다. 이 점에서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한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오늘날 픽션 사극과 상응한다.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서 '역사'를 통해서 구축된 가상세계(fictional world)는 가문을 중심으로 한 인물구도와 함께 연작과 파생작 등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하는 장이었다.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set in Chinese historical past. The way of fictionalizing history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There are some novels in which historical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of the novel, while in many novels historical eve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narrative of the novels. But in common these novels focus on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meaning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istory book. Readers of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ho learned history through historical novels,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on history from the intellectuals. They did not distinguish historical facts from fictional narrative and more were interested in the conflict of characters than in historical events. To readers of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history was a fictional world in which interesting stories unfolded. In this regard,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correspond to the fictional historical dramas of today. The historical fictional world of Joseon's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as a space in which new story like derivative novels and series novels is created.

      • KCI등재

        만화경 경력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김지영 ( Kim¸ Jiyoung ),박윤희 ( Park¸ Yoonh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만화경 경력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만화경 경력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orraco(2005, 2016)의 통합적 문헌 분석방법과 절차에 따라 2020년 4월까지 국내외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만화경 경력을 제목과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26편의 논문(국내논문 2편, 국외논문 24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경 경력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2018년, 국외에서는 2005년 이후로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분야 측면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을 포함하여 인적자원관리, 경영학, 여성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만화경 경력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만화경 경력 연구주제는 경력태도, 경력이동, 경력환경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성별, 경력단계, 직업, 국가별로 살펴보았는데, 부분별로 제한을 두지 않고 진행한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므로 앞으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시도한 만화경 경력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방향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bout kaleidoscope career with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and to analyze subjects, samples, methods with kaleidoscope career. The title and keyword related to kaleidoscope career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in research information database and a total of 26 articles were finally remained for the analysis through the Toracco(2005, 2016)'s guidelines of conducting th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kaleidoscope career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year of 2018 in Korea and since the year of 2005 in abroad. The previous studies of kaleidoscope career have been conducted in th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women's studi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cond, main topic of research was focused on career attitude, career movement, and career environment. Third, the sample of the most studies was examined by gender, career level, occupation, and nationality without restrictions. Fourth, the most literatures of kaleidoscope career heavily focused on qualitative research, but several other methods are also used. Based on the results,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술적 언어사용역 인식 양상 연구

        최지영 ( Choi¸ Jiyou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academic register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Korea. To investigate this, a questionnaire was created, and differences by academic register item and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did not clearly recognize academic register. Specifically, international students were relatively clearly aware of ‘academic vocabulary’, ‘authorial self-mention expressions’, ‘literary-style adverbs’, and ‘literary-style endings’, but they were not aware of ‘complex sentence constructions’, ‘long-form negations’, ‘objective modality’, and ‘hedge expressions’. Regarding related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experience and Korean proficiency were somewhat related to the students’ awareness of academic regist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Ph.D. and master’s students, the difference in scores by major, and the difference in scores according to the mother tongu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discussion to actually examine the awarenes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cademic regis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읽기부진 고등학생의 읽기에 대한 인식적 특성 조사 분석

        서지영 ( Seo¸ Ji-young ),박영민 ( Park¸ Young-mi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2

        이 연구는 읽기부진이 학습 전반과 성인이 된 이후의 다양한 문제 상황과 맺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읽기부진 고등학생의 읽기에 대한 인식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읽기 능력 검사의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능력이 기초 또는 부진에 속하는 고등학생들을 선별한 후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의 내용과 범주는 읽기부진 관련 인식, 읽기 전략 및 전략의 활용, 읽기 태도 및 가정 문식성 환경 등이며, 총 31개의 질문을 활용하여 개별 면담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읽기부진 고등학생은 읽기의 개념적·절차적 지식의 개념 및 활용, 상위인지 능력 등이 부족하였으며 이에 대한 학습이 전략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읽기 태도 또한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가정 문식성 환경은 다소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읽기부진 고등학생의 읽기에 대한 인식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읽기의 개념적·절차적 지식의 개념 및 활용, 상위인지 관련 교수 학습, 어휘의 깊이 확장, 긍정적인 읽기 태도 신장 등을 읽기 교수 학습으로 제언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poor reading, noting that poor reading is related to various problem situations after learning and adulthood. To this end, high school students with basic or poor reading ability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of the reading ability test, and then six people were interviewed. The content and categories of the interview included perceptions related to poor reading,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and strategies, reading attitudes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s, and were conducted in an individual interview method using a total of 31 questions. As a result, high school students with poor reading lacked the concept and use of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of reading, and advanced cognitive skills, and learning about this was not strategically carried out. The reading attitude also showed a negative trend, an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was found to be somewhat poor. Based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reading poor high school students, the concept and use of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of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to upper cognition, expanding the depth of vocabulary, and enhancing a positive reading attitude are taught as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I can make a suggestion.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하지영 ( Ha¸ Ji Yo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의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학술지 논문 114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면, 2012년부터 관련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하여 10년 가까이 꾸준히 발표되어 왔으며, 2020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라서는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으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주제와 내용에 따라서는 부모의 양육과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다음으로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에 대한 부모 인식,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부모 인식’, ‘부모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부모의 양육’ 등 주제별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와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향후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smart media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 total of 114 articles published from 2012 to 2020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lated research began to be published in 2012 and has been published steadily for nearly a decade, with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2020. Second, the study subjects showed the greatest number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mother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most as a research type, and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he most as a data collection method. Forth,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and conten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followed by parents’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Lastly, major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opics such as parents’ awareness of smart media use, parents’ use of smart media, parents’ smart media guidance, and parenting were analyz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the appropriate use of smart media by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 KCI등재

        자녀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의 가정놀이에 관한 연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중심으로-

        이지영 ( Lee¸ Ji-young ),이지원 ( Lee¸ Ji-w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 둘을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와의 가정놀이에서 드러나는 그들의 양육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자녀출생순위별로 구체화하여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의 두 자녀를 둔 총 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고 그것을 통해 도출된 주제들과 체험내용들을 van Manen이 제안한 4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그에 따라 독자(only child)와의 가정놀이에서는 ‘경험하지 않은 것의 불안(체험적 시간)’, ‘전통적 양육관에 의한 마음 다스림(체험적 신체)’, ‘자녀 중심의 놀이(체험적 공간)’, ‘처음으로의 사랑과 기대(체험적 타자)’ 등으로 확인되었다. 맏이(firstborn)에서는 ‘경험에 의한 불안·경험하지 않은 것의 불안(체험적 시간)’, ‘놀이신념의 흔들림(체험적 신체)’, ‘엄마 중심의 놀이(체험적 공간)’, ‘사랑과 높은 기대의 갈등(체험적 타자)’ 등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둘째(second child)의 경우에는 ‘경험에 의한 낮은 불안(체험적 시간)’, ‘전통적 양육관에서 벗어나지 못함(체험적 신체)’, ‘엄마와 자녀가 만족하는 놀이(체험적 공간)’, ‘사랑표현의 편애와 여유(체험적 타자)’ 등의 체험내용들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어머니들의 ‘실존체 체험’이 자녀와의 가정놀이에서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상이하게 드러난 이유는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들의 양육과정에서 불안감이 자녀와의 놀이체험 중에 감소, 해소, 유지, 또는 확대되는 등의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때문에 독자의 양육경험이 맏이와 둘째에 대한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맏이의 양육경험은 둘째에 대한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은 양육경험을 본질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때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확보를 위해 자녀양육의 문제를 어머니 개인적 범주에서 사회적 범주로 확대하여 그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specify the fundamental value of mothers' parenting experiences through home play with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 children's birth order.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mothers with two early childhood children. Subjects and experience contents that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mot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hat Van Manen suggested. Mothers raising only child were found to experience 'anxiety about unexperienced things(experiential time)', 'mind control by traditional parenting(experiential body)', 'child-centered daily play(experiential space)', and 'first affection and expectations(experiential others)'. Mothers raising their firstborn have experienced 'anxiety about what they have experienced, and have not experienced(experiential time)', 'conflict over their play faith(experiential body)', 'mother-centered play(experiential space)', and 'conflict between love and high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experiential others)'. Mothers raising second child experienced 'low anxiety by experience(experiential time)', 'situation that still has not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nurturing view(experiential body)', 'play that satisfies both mother and child(experiential space)', 'preference and relaxation of expressing love(experiential others)'. As this research shows, the reason why 'existential experience' varies by children's birth order during home play is related to 0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found that the anxiety of mothers can be reduced, relieved, maintained or enlarged through play experiences with their children. Comprehending that parenting experience of only child affects parenting attitude toward the first born and the second on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arenting matter from the mothers' personal category to the social category in order to guarante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문학치료학의 ‘서사접속이론’과 고전문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나지영 ( Na¸ Ji 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60 No.-

        본 연구에서는 문학치료학의 서사접속이론에 기반하여 ‘서사구성능력’의 증진을 통한 ‘서사접속’이 앞으로의 고전문학 교육의 방향성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2절에서는 인지주의 스키마 이론과의 연계를 통해 문학치료학의 ‘서사접속이론’에 대한 논의를 심화시켜 나가면서 ‘서사구성능력’의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서사구성능력은 텍스트 이면에 내재하는 ‘서사의 논리’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 중에 감상자의 내면에서 구성되는 인지구조의 ‘인과성’과 관련된다. 서사구성능력은 수용자가 텍스트를 자기 관점에서 해석하고 자기 입장에서 작품을 재맥락화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작품은 왜 그런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지, 왜 그런 방향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는지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다. 서사구성능력이란 나의 입장과 작품의 입장이 갖는 차이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며, 서사구성능력이 발휘되는 지점에서 서사접속이 가능해진다. 3절에서는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서사구성능력 증진과 서사접속을 지향하는 고전문학 교육 방법을 세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감상자가 자신의 서사를 ‘표현’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감상자가 자신의 서사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감상자가 자신의 서사를 ‘관찰’하는 단계이다. 고전문학 교육 현장에서 서사구성능력의 증진에 초점을 맞춘다면 고전문학에 대한 거부감을 근본적으로 해소시키면서 고전문학 자체에 내재된 문학적 힘을 제대로 ‘체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서사구성능력의 발휘를 통해 서사접속이 이루어질 때, 고전문학 작품은 나에게 거부감을 주고 낯설기만 했던 ‘텍스트’가 아니라, 나의 삶과도 긴밀하게 연결되는, 내 안에서 살아 움직일 수 있는 ‘문학’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nection of story-in-depth”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should be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chapter 2, through connection with cognitive schema theory, the concept of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was concreted while intensifying the discussion on the “connection theory” of literary therapeutics.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is the ability to construct the “logic of story-in-depth” inherent in the text behind the text, and is related to the “causality” of the cognitive structure within the reader dur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literary work.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is different from the reader interpreting the text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and recontextualizing the literary work from their perspective. It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simultaneously why a literary work has to be made in such a shape and why it has to be unfolded in that direction.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is the ability to grasp the difference between my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literary work, and the connection of story-in-depth becomes possible at the point where the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is exhibited. In chapter 3,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ase, the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method aimed at improving the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and connection of story-in-depth was presented in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stage in which the reader ‘expresses’ his or her story-in-depth. The second is the stage in which the reader ‘sees’ his or her story-in-depth. The third is the stage in which the reader ‘observes’ his or her story-in-depth. If we focus on improving the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in the field of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it will be possible to fundamentally resolve the rejection of classical literary studies and provide a foundation to properly ‘experience’ the literary power inherent in classical literature itself. When the connection of story-in-depth is made through the exertion of the story-in-depth composition ability, classical literature works are not just ‘text’ that gave me a sense of rejection and were unfamiliar to me, but ‘literature’ that can live and move within m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my life.

      • KCI등재

        1970-1980년대 프랑스에 입양된 한인여성의 입양 경험과 초국적 정체성-< 한국뿌리(Racines Coréennes) >의 입양 증언을 중심으로-

        문지영 ( Moon¸ Ji-you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1 사총 Vol.104 No.-

        한국현대사에서 국제입양은 부정할 수 없는 유산이다. 그동안 국내의 일반이주 및 디아스포라 연구는 한인이주 양상을 포괄적으로 다뤄왔던 반면, 한인여성 이주와 젠더와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규명하거나 가시화하는 연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노동이주나 결혼이주 같은 일반이주에서 볼 수 있듯 국제입양에서도 여성의 수와 존재감이 두드러지는 ‘이주의 여성화’ 현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동안 한국현대사와 트랜스내셔널 이주역사에 잊히고 배제되어온 한인입양여성의 삶의 경험과 기억을 역사화 하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70~1980년대에 프랑스에 입양된 한인여성의 입양 경험과 정체성 형성과 초국적 정체성 수용, 그리고 그들의 ‘엄마 되기’ 과정을 통해 한인입양여성의 삶의 경험과 기억을 역사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랑스한인입양인협회 < 한국뿌리(Racines Coreennes) >의 정기발행지인 「Hamkae(함께)」에 실린 입양여성의 자필 증언과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코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프랑스에 입양된 한인여성의 진짜 목소리에 귀 기울임으로써 트랜스내셔널 이주역사를 다각도로 고찰하고 관련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henomenon of international adoption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s an undeniable legacy. While the studies of general migration and diaspora in Korea have dealt with the pattern of Korean migration in a comprehensive way, the studies of historically identifying or visualizing the relation between Korean female migration and gender have not been properly conducted. As seen in general migration such as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international adoption also shows a ‘feminization of migration’ phenomenon that the number and presence of women remarkably increases. In this regard, there is needed a multi-faceted research to historicize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Korean female adoptees who have been forgotten and excluded from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ransnational migration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ize the lives and memories of Korean female adoptees through the adoption experiences and transnational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women who were adopted to France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ir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To this end, we will analyze the contents of interviews and handwritten testimonies of Korean female adoptees published in Hamkae, a regular publication of the French Korean Adoptee Association < Racines Coreennes >. Through this study, by listening to the real voices of Korean female adoptees in France,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transnational migration history from various angles and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s of relate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