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inwha Lee,Il Sun Choi,Seung Yeon Lee The Pacific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ss 2022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since early 2020. A total of 196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istance learning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Whil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a difference between face-to-face (in-person) classes and distance learning, they expressed a high willingness to take part in distance learning in the post-COVID-19 era. Convenience and usefulness were mentioned as key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while difficulties in interaction and concentration were emphasised as disadvantage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in the future, they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increase participation, while instructors should strengthen their distance learning-related capabilities and universities should enhance support through system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유치원 혼합연령학급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진화(JinWha Lee),엄지원(Ji-Won 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는 혼합연령학급의 현황과 학급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혼합연령학급의 교사가 효과적으로 학급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전국 유치원의 혼합연령학급 운영현황 및 학급편성 기준을 분석하여 그 현황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혼합연령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유치원의 교육과정시간에 혼합연령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담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웹조사로 실시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혼합연령학급 편성이유는 취원 대상 유아의 수가 부족하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둘째, 혼합연령학급 운영에서 지원인력의 부족, 교육(연수)제공 및 활용 기회 부족 등이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혼합연령학급 운영에서 가장 필요한 운영지원으로는 수업인력 지원, 행정인력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혼합연령학급 인력지원은 수업도우미, 행정도우미 순이었고, 유치원과 관련이 있는 유관 기관으로 지원 유무는 약 23.0%로 나타났고, 지원의 종류로는 교사연수, 인력예산, 컨설팅장학, 교재교구 등 수업자료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혼합연령학급 편성 시, 연령별 비율구성제시, 단계적 단일연령학급편성유도, 혼합연령학급 교사 연수 기회제공 확대 등의 정책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ixed-ages classes in kindergarten. For the study, 300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mixed classes for regular courses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rough a web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ixed-ages classes had relatively fewer children than one-age classes and they were prevalent in public kindergartens and rural are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ixed-ages classes were induced by the small number of young children. Second, teachers managed their classes with difficulty due to the lack of supporting staff and few chances for additional teaching training. Third, teachers needed supporting human resources for their teaching and administration assistances. About 23.0% of kindergartens received assistance such as additional training, financial assistance, and consulting supervision from related institut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e challenges in regulations of age ratio in mixed-ages class, additional teaching training for teachers in mixed-ages classes and replacement of mixed-ages class to same age class as the long-term plan.

      • KCI등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와 인간의 조건에 대한 정치철학적 고찰

        정진화(Jinwha Chu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과학기술이 혁신과 초월을 거듭하고 있는 시대에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는 삶의 형태와 인간의 존재 방식까지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BCI가 가져올 미래는 인간의 자유와 조건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점에서 BCI에 관한 문제는 과학, 경제, 산업 분야의 긍정적 전망과 윤리적 차원의 부정적 전망을 넘어 정치의 영역으로 이동시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rendt가 사유한 인간의 조건을 이론적 토대로 삼아 BCI에 내포된 특징과 문제들을 탐구하고, 정치적 과제와 역할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조건을 활동적 삶과 정신의 삶 두 측면에서 사유한 Arendt의 사상과 이론은 BCI와 같이 신체적 활동뿐 아니라 정신적 활동까지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고찰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될 것이며 Arendt가 강조한 정치의 의미는 향후 정치적 과제와 역할을 모색하는 데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n an era where science and technology are constantly innovating and transcending, the newly emerging ‘Brain–Computer Interface(BCI)’ is expected to change the form of life and even the way humans exist, and which BCI will bring the future is asking ultimate questions about freedom and conditions of human. In this respect, the issue of BCI needs to be discussed beyond the positive outlook in the fields of science, economy and industry and the negative outlook in the ethical dimension, and moved to the realm of politic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contained in BCI, and to seek political tasks and roles, based on the human condition thought by Arendt as a theoretical basis. Arendt’s thoughts and theories, which considered the human condition in terms of both ‘vita action’ and ‘the life of the mind’, will serve a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examining technology that can change not only physical activity but also mental activity, such as BCI. And I think that the meaning of politics emphasized by Arendt will be able to provide an important clue to finding political tasks and rol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정당의 복지정책 이념 변화에 관한 연구

        정진화(Jinwha Chung)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9 국가와 정치 Vol.25 No.-

        한국 정치사에서 복지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후반 부터였다.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 복지 관련 이슈가 선거 캐치프레이즈로 처음 등장한 이후 2010년에는 무상급식 문제를 둘러싸고 ‘복지’ 담론이 범국민적으로 크게 확산되었으며 2012년 대선 때는 여야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정당들이 복지국가를 시대적 가치로 표명하며 다양한 복지 정책들을 앞 다투어 제시했다. 하지만 2016년 치러진 4.13 총선에서는 그토록 뜨거웠던 복지 담론의 열기가 차갑게 식었고 복지정책을 둘러싼 논의들도 실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이후부터 2016년 까지 약 10년간 한국 정당의 복지 이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양대 정당의 정강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국가 운영의 기초가 헌법에 있다면 정당의 설립 및 운영의 모든 기초는 정강정책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 있어서 정당의 이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복지국가를 건설하는 과정에 있어서 정당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정당의 복지 이념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형 복지국가 건설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Welfare’ issues have become a conversational topic within Korean politics since 2007. Following the appearance of ‘Welfare issue', the dominant catchphrase taken from the 2007 president election, ‘Welfare’ discourse became widespread to pan-national issues concerning free school lunches in 2010. Many political parties, whether in office or opposition, declared ‘Welfare state' as the value of current times and began scrambling to present various policies to reflect such concerns. Subsequently, the zeal of the ‘Welfare' discussion cooled down, with the argument over welfare policies completely disappearing in 2016's general election. Political parties manuever and are structured based on their platforms, as a country does so based on its constitution, to look deeply into such a subject would present compelling information on their reasoning for chosen policies, decision making and many other related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ideology of welfare of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changed due to the shift of focus on the major two-parties’ own platforms. In conclusion, the ideology of a political party has great effects on the processes for it's policies and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cisions of welfare policies. A study on the ideology of welfare of a political party ha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to establish a Korean welfare state.

      • KCI우수등재

        유전공학의 발전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정치철학적 고찰 : 센의 ‘자유로서의 발전’ 개념을 중심으로

        정진화(Jinwha Chung)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4

        기술의 혁신적 변화는 유전공학의 발전과 인간 능력의 극대화에 영향을 주며 신의 영역으로 인식되었던 생명 탄생의 과정에도 인간이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과학기술 자체에는 선악이 없지만 인간의 대응에 따라 우리의 미래는 유토피아가 될 수도,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유전공학 기술의 발전이 과연 인간의 자유를 확장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센(Amartya Sen)의 ‘자유로서의 발전’(Development as Freedom) 개념을 이론적 토대로 삼아 정치철학적 고찰을 시도했다. 첨단 유전공학은 선택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며 인간의 자유를 확장시킬 것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인간의 실재적인 자유를 제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곧 직면하게 될 현실에 대한 정치적 대응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 Innovative changes in technology are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genetic engineering and the maximization of human abilities and it opens the possibility of direct human intervention into the birth of life,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perceived to be the realm of God. There is no good or evil inherent in science or technology, but depending on human responses, our future may become a utopia or a dystopia. Starting from a critical perspective on whether these developments will indeed expand human freedom, this paper attempts to consider political philosophy based on the concept of “Development as Freedom” as articulated by Amartya Sen. Advanced genetic engineering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expand human freedom in terms of providing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and domains, but from Sen’s point of view, such advances in technology may rather limit practical human freedoms. With this consideration, this paper seeks a practical synthesis of political countermeasures.

      • KCI등재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나타난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경험 탐색

        이진화 ( Jinwha Lee ),이지혜 ( Jihye Lee ),김선영 ( Sunyeong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실습지도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질적으로 향상된 보육실습이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실습지도 경험을 가진 10명의 현직교사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Hatch(2002)의 귀납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자신도 교사로서 적응해가는 과정에서 보육실습생에게 바람직한 모델로 보여야 한다는 점과 이전 보육과정에 맞춘 보육실습 지도체제 및 양식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서 혼란과 갈등을 겪고 있었다. 둘째, 변화된 보육과정에 근거한 새로운 보육실습 가이드라인 제시, 보육실습 지도교사를 위한 교육기회 등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보육실습 지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제공, 새로운 보육실습지도 방안 마련과 대학과 어린이집 간 협력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child care practicum for pre-service teachers through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supervisors in the play-centered child care curriculu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uperviso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use the method of Hatch (2002).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new curriculum, supervisors were facing confusion and conflict in that they had to be seen as a desirable role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and in using the child care practicum system and form based on the previous child care curriculum. Second, there was a need to create new practice guidelines based on the changed child care curriculum and providing teach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upervisors. It implies that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upervisors, improving child care practice guideline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일상적 스트레스와 행복감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진화 ( Jinwha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최근 부모의 변화된 자녀관, 부부 취업으로 인한 가족관계 내 스트레스 증가, 자녀의 유아교육기관이용 연령 하향화 등의 이유로 유아들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행복감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어머니의 양육실제와 스트레스,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연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Pearson’s 적률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행복감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행복감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약 18% 정도 설명하였고, 행복감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은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의 양육지원을 위한 기초단위부터의 네트워크 형성, 맞춤형 부모교육실시, 배우자와의 공동양육을 통한 상호협력적가족문화 형성의 등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어머니지원 방안으로 논의하였다. Recently, children’s daily stress is increasing due to reasons such as the change of parental value on children, increase of stress in the family because of couple jobs and the lowering usage 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other’s maternal efficacy, maternal stress, the daily stress of mothers and happiness on the child’s daily stress, to reduce daily stress of infan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mother’s parenting practice, stress, and happines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material of 2014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and conducted Pearson’s ratiometric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happin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hid’s daily stress, while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aily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dditionally,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stress, daily stress and happiness explained about 18% of the daily stress of infants, while other variable except happiness showed to have meaningful effect. Based on the results, fundamental unit networks to help parenting, enforcement of customized parent education and the need of forming cooperative family atmosphere through co-parenting with the father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분배정의에 관한 동아시아 국가 내 갈등 상황과 복지모델 특징 분석

        정진화(Jinwha Chung)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6 국가와 정치 Vol.22 No.-

        동아시아 3국-한국, 일본, 중국-은 20세기 후반부터 급격한 산업화를 통해 놀라운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눈부신 성장 뒤에는 사회적 양극화와 빈부격차 심화와 같은 폐해들이 남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는 3국의 대내적인 갈등을 악화시키고 있다. 분배 문제를 둘러싼 동아시아 3국의 갈등 양상은 유사한 것처럼 보이지만 각국의 역사적·정치적·경제적 배경에 따라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분배정의 실현 수준과 복지모델에도 많은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동아시아 3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일본이 복지 선진국에 가장 근접해 있으며, 중국은 아직 복지국가라고 부르기 어려운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은 그 사이에 놓여 있으며 복지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노력들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복지국가의 최상위 가치가 분배정의 실현에 있다고 볼 때, 현재 동아시아 3국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더 이상 소극적인 복지모델로는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며, 3국의 공동번영을 위해 앞으로 보다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fter the late 20th Century, three states in East Asia-Korea, Japan, China-achieved spectacular economic growth through rapid industrialization. But it remained dark side like the social polarization and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behind bright sid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his problems aggravate internal conflict of three states. It looks similar that conflict aspects of three states over problems of distributive justice but it is basically different depend on historical, political, economical background of three states, and according to, they are quit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a level of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and welfare model.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states, Japan approaches to developed welfare states and China stays the lowest level. A level of Korea is between the two states and it needs more positive efforts to be developed welfare states.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highest value of welfare state is the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the passive welfare models can’t cope with this situation that three states in East Asia are facing. Consequently diverse and vibrant research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to co-prosperity of three states in East Asia.

      • KCI등재

        생명공학의 발전과 정치: 생명정책 거버넌스의 모색

        정진화(Jinwha Chung)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1 생명, 윤리와 정책 Vol.5 No.2

        현대 생명공학은 기존에 우리가 갖고 있던 모든 지식과 경험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가히 혁명적이며 그 안에 내포된 새로운 사회적 위험성은 인간의 조건을 다시 사유해보도록 만들고 있다. 특히, 생명공학의 발전은 윤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유 및 자율성의 제한, 생명자본의 문제, 정치적 불평등, 그리고 통제와 감시를 위한 도구화 등 정치적 문제들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은 결국 정치적 영역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정치학적 접근과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치적 방안으로 생명정책 거버넌스를 제안하며 거버넌스의 방향성과 전략으로 지식과 정보에 대한 개방성, 시민사회의 관여를 보장하는 참여성, 거버넌스 운영의 지속성 등을 주장했다. 현대 생명공학이 제기하는 문제들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일이 아니며 이와 같은 연구는 우리 사회가 곧 직면하게 될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대안을 마련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Modern biotechnology is exceeding all previous limit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the new social dangers embodied within it are forcing us to reconsider what were formerly fundamental human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can cause not only ethical problems, but also political problems such as restrictions on individual freedom and autonomy, biocapital problems, political inequality, and instrumentalization of control and discipline. Since the response to these problems eventually results in the political realm, a political approach and research are required. In response, this paper proposes biopolicy governance as a political countermeasur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and argues a directionality and strategy of governance such as the openn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participation to ensure civil society engagement, and the continuity of governance operation. The problems raised by modern biotechnology are no longer in the distant future, and I think that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pare social discussions and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that our society will soon 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