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wo Manga Versions of Shakespeare`s Macbeth

        Jang Hyun Nam(남장현)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4 셰익스피어 비평 Vol.50 No.1

        21세기 초반 미국과 유럽에서 왕성하게 발간되고 있는 셰익스피어의 만화 작업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새로운 셰익스피어 비즈니스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서구 출한업자와 만화 작가들이 일본의 만화 미학을 습득하여 출간하고 있는 신세대 만화, 일본 스타일의 망가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제기한다. 서구 문화에 의한 동양 전통의 전유는 기존의 이분법을 거부하고 고정된 문화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을 양산하면서 새로운 문화 아이콘에 대한 정의를 요구한다. 특히 셰익스피어의 만화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서양과 동양, 고전과 현대, 성인 문학과 아동 문학의 경계를 허물며 문화의 혼종성을 전면으로 부각시킨다.<br/> 이런 맥락에서 와일리사와 셀프메이드히어로사의 만화 『멕베스』는 흥미로운 문화의 실험대가 된다. 두 출판사 모두 일본 망가 장르를 표방하면서도 서로 다른 접근법을 취한다. 셀프메이드히어로사가 전적으로 일본의 만화 미학을 취하여 셰익스피어의 『멕베스』를 지구 종말 이후의 전쟁터로 옮겨놓는다. 반면 와일리사는 일본 만화의 전통을 표방하면서도 미학적인 실험에 보다 비중을 두어 표현주의적인 심리극 같은 만화를 창조해낸다. 두 만화 판본은 2008년 동시에 출판되어 젊은 독자들의 관심뿐만 아니라 뉴스 매체와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우니 비교 대상이 된다.<br/> 이 비교에서 첫 부분은 두 출판사의 만화가 지닌 전반적인 분위기에 중점을 둔다. 특히 만화책의 표지에서부터 드러나는 서로 다른 미학적인 접근은 서구와 동양의 만화 미학의 경연장 같다. 인물을 중심으로 한 와일리사의 표지는 전체적인 표면 구성이 서구 회화를 추구한다면 인물과 배경의 중층적인 병치는 인물과 배경의 관계성을 중시하는 동양회화의 성격을 닮았다. 특히 여백처리나 인물들의 감정 표현에 있어서도 두 만화 판본은 각각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두 만화 판본이 지니니 만화 미학측면에서 보다 기술적인 면면을 살펴본다. 와일리사의 굵은 선과 만화 칸의 배열, 페이지 레이아웃은 성격극의 특색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그로테스크한 흑색이다. 반면 셀프메이드히어로의 배경 선을 바탕으로 한 추상적인 이미지와 과감한 프레임 구성 및 페이지 레이아웃은 일본 만화의 전형적인 이미지 중심과 자연스럽고 빠른 이야기 전개를 잘 구현해내고 있다.<br/> 이 두 만화 판본은 새로운 문화의 아이콘으로서 셰익스피어에 대한 기존의 관념뿐만 아니라 문화-정치적인 동서양의 개념을 근간에서 흔들며 우리에게 끊임없이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셰익스피어는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으며 각각의 재생산은 그 시대의 문화적인 현상이며 의미이듯 21세기 셰익스피어의 만화작업은 새로운 해석 가능성의 확장이며 영상미디어 시대의 소산으로 우리 시대가 셰익스피어를 다시금 동시대 작가로 자리매김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 KCI등재

        『베니스의 상인』

        남장현(Jang-Hyun Nam)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1 셰익스피어 비평 Vol.47 No.3

        The Merchant of Venice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n Shakespeare's plays, having enjoyed theatrical popularity as much as Hamlet. Despite a great range of criticism, Lancelot Gobbo, the clownish servant, has been slighted by a lot of scholars whose interests are directed to Shylock and the problem of anti-Semitism in the work. In this article, therefore, I would like to examine Lancelot's dramatic significance with regard to one of the main thematic issues of the play such as justice versus mercy, which is subsequently intertwined with the matter of good and evil as well as that of right and wrong. Before discussing how abundantly Lancelot's soliloquy presents those moral problems, I conduct a brief survey of critical history on anti-Semitism and its consequent moral themes and then investigate the extra-dramatic potential of Lancelot who is very likely to have been played by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omic actors in the Shakespearean age, William Kempe.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investigates the repartee between his father Gobbo and himself in Act 2 scene 2. Here, his fundamental problem is whether he should leave Shylock, that is, he faces the moral and religious dilemmas of keeping or breaking his bond with Shylock his master. It allegorically represents the problem of Portia and Jessica who should decide to either follow or betray their father's will. Breaking a bond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 of Antonio and Bassanio, who cannot avoid breaking their respective ties with Shylock and Portia in one way or another. The final section follows with a substantial analysis of Lancelot's allegorical and satiric soliloquy where he delves into the serious moral problem of good and evil and consequently justice and mercy. In his repercussive role of mirroring the moral dilemma of main characters like Portia, Bassanio, Jessica and so on, he morally dramatizes his problem in which two opposite parties insist on their own opinions. Particularly, Lancelot's soliloquy, predicting the court room scene in Act 4, consists of two pairs of opposites, that is, ‘good’ and ‘honest’ and devil and conscience. Through a complicated crisscross match of these two contrasting pairs, Shakespeare shows how deeply Lancelot falls into the abyss of ambivalence between good and evil and ultimately demonstrates the impasse of judgment between them. Lancelot's comical wondering in his soliloquy challenges the complacency of simplistic moral divisions, drives the audience into a complete cul-de-sac of judgment, and continuously engenders a myriad of almost unanswerable questions just as the play itself does.

      • KCI등재

        Shakespearean Illustrations in Print before the Victorian Age

        Jang-Hyun Nam(남장현)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3 셰익스피어 비평 Vol.49 No.1

        이 논문은 빅토리아조 이전의 셰익스피어 작품에 대한 삽화의 유형들과 특징들을 살펴보는 가운데 20세기 말과 21세기 초에 봇물처럼 출간되는 셰익스피어의 만화의 특징들을 원형적으로 내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셰익스피어의 삽화는 1709년 니콜라스 로우(Nicholas Rowe)가 편집한 셰익스피어 전집의 각 작품마다 권두 삽화를 넣으면서 그 전통이 형성되었다고 말하여진다. 물론 로우 이전에도 마틴 드로샤우트(Martin Droeshout)의 셰익스피어의 초상화가 목판화로 만들어지고, 『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의 삽화 같은 초기 셰익스피어의 작품이나 작가에 대한 삽화가 존재하지만 현대에 이르기까지 셰익스피어의 인쇄 판본에 삽화가 들어가는 전통은 로우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전통은 18세기와 19세기에 불란서의 바로크 미술과 로코코 미술 전통을 따르는 일군의 삽화가에 의하여 크게 발전하였다. 본 논문은 전반부에서 빅토리아조 이전에 다양하게 생산된 셰익스피어의 삽화의 유형과 양상들을 개괄적으로 먼저 살펴본다. 소재에 따라 인물 중심의 삽화와 장면 중심의 삽화로 그 유형을 나누어 각 유형의 특징을 간단히 서술한다. 구성에 있어서도 전체 공간을 배경과 인물로 가득 채우는 유형과, 인물이 부각되고 배경은 장식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 그리고 인물의 표정만 강조되고 배경이 없는 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색과 시대적인 맥락 관계를 되짚어본다. 전반부에서 셰익스피어 삽화의 유형을 살펴본 후, 본고는 18세기와 19세기 초의 대표적인 삽화들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유화의 전통을 따르던 삽화에서 만화의 미학이 도입되는 삽화로의 발전과정을 정리한다. 이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로우, 헤이만, 그레이브롯의 섬세하고 풍부한 질감의 삽화가 당대의 미술 전통을 따르고 있다면 존 서스톤의 삽화는 구성, 기교 및 틀에 있어서 현대 만화의 원시적인 특징들을 담아내고 있음을 밝힌다. 서스톤의 삽화에서 한 페이지를 6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그 공간에서 이야기의 구성을 만들어내는 역학적인 틀을 현대 만화의 공간 사용기법과 이야기 구성 방식과 연결시킨다. 더불어 삽화들이 지닌 인용 문구가 지닌 대화적인 속성에서 현대 만화의 말풍선의 원형을 찾아본다. 이렇게 통시적인 발전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본 고는 빅토리아조 이전의 셰익스피어 삽화에서 현대 만화 미학의 태동을 감지하고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셰익스피어의 만화화 작업

        남장현(Jang-Hyun Nam)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2 셰익스피어 비평 Vol.48 No.2

        The comic adaptation of Shakespeare is one aspect of Bardbiz, which has recently flourished in England and America. Particularly, a great range of Shakespeare comic versions have been released on the market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and are becoming popular among ordinary young readers and even in the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Most of the recent comics have in common a few conspicuous features which distinguish them from most previous attempts. First, their comic writers and publishers appropriate Japanese comic tradition and even label their works as manga, following the original Japanese name. The second trait is the scope and size of publications, which is targeting the global market. Another characteristic of Shakespeare comic publications is the emphasis on its educational intent, which claims that Shakespeare comic books will expand the range of Bard readership and eventually lead young readers to the world of original Shakespeare texts and productions. Due to the complexity of both cultural icons -Shakespeare and manga-the comic adaptation of Shakespeare raises a great number of cultural and political questions. First, manga is a peculiar cultural product utilizing two different semiotic symbols, text and images, simultaneously in the same space. The first appeals to human reason while the other to human senses. Text and image, which were separated and developed respectively for two different cultural and social sectors, have contributed to the division of high and low cultures. Shakespeare has been, and will always be a representative symbol of high culture in the West while he has been widely popularized through a lot of different formats since his life time. In addition, recent Shakespeare manga is drawn in a real Japanese style by the comic illustrators who were born or educat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later learned the Japanese manga tradition. In this article, the cultural term ‘hybridity’ is used to define the multi-layered cultural phenomenon of Shakespeare manga industry. In myriad strata of cultural appropriations, one politico-cultural icon is merged with another and creates a new form which in the end breeds hybridity. This hybridity requires us to rethink the globalization of Shakespear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academic consideration of manga. Furthermore, it problematizes the traditional distinction between text and image, high and low cultures, Japanese and Western traditions in comics and so on. Consequently, the disintegration of such binary oppositions leads to the questions of national identity based on geography as well as one’s own cultural independence in globalized society.

      • KCI등재

        『십이야』 : 언어와 신분관계

        남장현(Jang Hyun Nam)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8 셰익스피어 비평 Vol.44 No.1

        Twelfth Night is well-known as one of Shakespeare's works fraughted with class consciousness, whence much criticism was given to the problematics of hierarchy and social movements in early modem England. In the midst of such abundant critical attention, this study instigates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nd class represented in the work. In particular, writing and eloquence as a means of social advancement are highlighted in relation to both successful and failed marriages among the characters, which resulted in class movability during Shakespeare's era. The significance of writing and eloquence in social advancement has close ties with changes in the culture and paradigm of language in the age. The invention of printing and the emphasis of eloquence in Renaissance humanist education boosted the importance of such language skills. Therefore, some of the historical discourses that circulated the government ideology to educate reading and writing skills should be preliminarily examine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skills required to scale up the ladder of hierarchy. The teaching of reading and writing was a strategy employed by the government to consolidate its regime while the skills were under surveillance and control. As historical discourses reveal the existence of double standards within writing and reading, Twelfth Night also exhibits two sets of language skills used by a few characters of the lower class which refers to a social entity to provide service for a certain group of people. Viola and Maria prove their outstanding ability of speaking and writing and succeed in their social advancement by appropriating their masters' authority - either writing a Messiah-like poem using her master's voice or writing an epistle of love in her mistress's handwriting. On the other hand, the lack of such language skills is portrayed by Sir Andrew who often fails in his basic communication with other characters, even through letters, and also by Malvolio who possesses only a superficial skill of literal reading. Their ambitions to improve their state through marriage are frustrated because their language skills are either flawed or controlled. Therefore, the two different results of the skills in Twelfth Night imply the dynamics between literary texts and historical discourses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language abilities in early modem England.

      • KCI등재

        『두 사촌 귀족』에서 좌절과 상충의 생성 역학

        남장현(Jang Hyun Nam)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6 셰익스피어 비평 Vol.52 No.3

        This essay explores the widespread sense of frustration represented by a broad range of opposing images within The Two Noble Kinsmen and attempts to interpret how repeated human will to overcome it sets up an atmosphere of new creative dynamics. Such a sense of frustration dominates the entire play. At the beginning, the hymen is full of contrary images that possibly taint the symbolic meaning of marriage as new life. When the three queens of Thebes appear onstage to appeal to Theseus, thereby interrupting his marriage to Hippolyta, that sense realizes as a solid fact within the domain of the play. In the scenes that follow, main characters reveal their wills and desires that are to be frustrated by an incomprehensible power of reality. Arcite and Palamon wish to escape from Thebes, detesting its corruption, but the imminent war saps their will. The Jailor’s Daughter feels entirely frustrated due to the unrewarded love from Palamon and Emilia cannot uphold her faith in chastity when she becomes the main prize for the tournament in which Arcite and Palamon fight for their beloved lady. Under the duress of all this vexation, Arcite, Palamon, the Jailor’s Daughter and even Emilia become mad, or reach near a state of madness in the course of their desperate attempts to overcome the power of forces beyond their control. Their respective endeavors ultimately generate a circular structure in which they mirror each other. Such circularity manifests the reality that repeats and differs with its singularity. The reality is also an arena of clashing, fighting and coexisting contrarieties that cannot be grasped by reason alone. Indeed, it is a world of reason and unreason, of life and death, and of tragedy and comedy. In such a chaotic coexistence of opposing elements, the creative dynamics appear as the primary propelling force in the play, in the same manner the two playwrights exhibited their artistic rivalry.

      • KCI등재

        The Precarious Balance of Desiderius Erasmus and The Praise of Folly

        Jang Hyun Nam(남장현)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9 셰익스피어 비평 Vol.45 No.1

        이 글은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이 작가의 삶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가를 읽어내고자 한다. 르네상스 유럽에서나 현대의 학자 및 학계에 있어서 인본주의자의 대표자로 여겨지고 있는 에라스무스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이 작품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의 개인적인 내면생활이 거의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작품 속에서 등장하는 몇 가지 개인적이고 전기적인 실마리들을 통해 에라스무스가 자신의 학자로서의 삶을 추구하면서 어떤 정신적인 고통을 겪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중세의 신분제도가 살아있던 시절에 서자로 태어나 경제적으로 많은 고통을 겪으며 자라난 에라스무스는 평생 동안 평온하고 고결한 학자로서의 삶을 추구한다. 하지만 그의 현실은 자신을 의도한 바와 다른 세계로 이끌며, 자신이 별로 좋아할 수 없는 수도원의 수사가 되는 상황에 놓인다. 이런 역경은 자신의 삶에 있어 이상을 설정하고 추구하는데 있어 많은 갈등과 어려움을 낳을 수밖에 없었다. 끊임없이 후견인을 찾아야 하는 입장에서 자신의 유일한 위안은 고전과 성서를 읽고 학자로서 순결한 삶을 추구하고자 노력하는 것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현실의 고통올 해결해야만 하는 자신의 모습과 이상을 추구하는 자신의 모습 사이에 괴리감을 느끼며, 계속해서 그 괴리감을 극복하고 균형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우신예찬』에서 자신과 자신이 속한 현실을 패러디하는 과정은 자신을 객관화하고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작가 에라스무스의 현실적인 수행과정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학자에 대한 풍자, 종교에 대한 풍자, 우정 및 기타 현실에 대한 여러 풍자는 자신이 현실의 딜레마에서 벗어나 초월적인 초연함을 추구하고자 한 행위의 일환으로 여겨질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이 에라스무스가 40세에 이르렀을 즈음에 쓰였다는 사실은 작품이 작가의 현실 인식 및 수용의 과정으로 쓰였을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런 가능성을 바탕으로 이 글은 『우신예찬』이 작가의 개인적인 고통이 스며든 작품이며 평생 동안 작가가 추구한 이상과 현실 간의 균형을 잡으려는 노력의 결실이었음을 밝힌다.

      • KCI등재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Nam Jang-Hyeon(남장현),Hyun Yong-Ho(용호),Han Jin-Soo(한진수)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 觀光硏究 Vol.24 No.4

        선행 연구자들이 브랜드 자산 가치, 금전적 가치, 브랜드 충성도를 연구해 왔으나 하나의 통합된 모델로 연구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금전적 가치가 브랜드 자산 가치와 브랜드 충성도를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금전적 가치에 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조절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영국에 있는 호텔과 레스토랑에 친숙한 소비자 378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브랜드 자산 가치와 브랜드 충성도간 직접적 영향관계는 없었으나 금전적 가치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 개의 브랜드 자산 가치의 구성 요인들 중, 브랜드 일체화(Brand identification)만이 브랜드 충성도에 금전적 가치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환대 산업에서의 브랜드 자산 가치와 브랜드 충성도간의 관계가 금전적 가치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금전적 가치의 조절역할과 환대산업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구축하는데 유용하였다고 판단된다. Although past researchers investigated brand equity, value for money and brand loyalty, an integration of these variables into a single model is not appar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value for mon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This research adopted Baron and Kenny's(1986) method using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value for money, and large sample of consumers(n=378) who are familiar with hotel and restaurant brands in the UK provided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brand equity on brand loyalty is not just direct but is also moderated by value for money. However, among the five dimensions of brand equity, only the "brand identification" dimensio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moderating effect of valuer for money. The key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brand equity, value for money and brand loyal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useful for identify the role of value for money an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brand for hospitality br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