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사진-텍스트의 교호 작용에 대하여 -『매일신보』 게재 사진들과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임형택 ( Hyeong Taek Im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5

        사진이 미디어로서 한국 문화의 저변을 형성하기 시작한 때는 한글이 글쓰기의 중심 미디어로 등장한 시기와 맞물린다. 엄밀히 표명하자면 사진이 앞선다. 사진은 회화에서 확립된 3차원 투시도법(원근법)이 기계화한 것으로서,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체계, 즉 감각-지각-인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져왔다. 더욱이 그러한 체계는 동양의 전통과는 사뭇 다른 것이어서, 서양의 회화와 사진에 대한 당대의 반응은 충격과 거부감이 주를 이뤘다. 사진에 대한 유언비어가 난무했고 임오군란 때의 성난 군중은 사진관을 부수기도 했던 것이다. 서양의 미디어 및 문화사에서는 사진의 미디어적 변별점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뚜렷한 시점(始點이자 視點)을 갖고 이뤄질 수 있지만, 한국(동양)에서의 사정은 그렇지 않다. 특히 글쓰기 및 문학사와 관련짓고자 할 경우에는 사정이 더 복잡해진다. 한국의 사진사(寫眞史)는 한문과 한글문의 교체기에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문자 미디어로서 완숙해 있었던 것은 한문이어서 사진과의 미디어적 변별성을 논의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지만, 그 문화 자체가 개화에 소극적이거나 저항적이었으며 퇴로에 놓여 있었던 까닭에 논의의 시작 전부터 한계가 노정된다. 한문 텍스트와 사진을 직접적인 교호 작용으로 분석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한글문[국문]의 적극적 사용을 주장하였던 이들은 사진의 활용과 확대에도 적극적이었다. 그들은 직접적 견문으로 외부와 타자를 인식하기도 했지만 서책과 사진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견문을 확장 및 증해 갔던 것이다. 하지만 한글문자체가 형성기에 놓여 있었던 까닭에 사진이라는 기계-미디어와의 관련 논의를 하고자 할 때 양자의 위상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그러한 난점들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한국 문화ㆍ문학사에서 텍스트와 사진의 교호 작용이 대단히 중요한 논제임을 부정할 수 없는 까닭에 미흡한 대로 논의를 시작해보고자 했다. 사진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던 대중매체는 『매일신보』이었다. 그에 앞서 간행되었던 민족지들은 자본과 기술력의 한계 때문에 그러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1910년대의 『매일신보』는 한국 문화ㆍ문학사에서 텍스트와 사진의 미디어적 교호 작용의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거의 독보적인 자료원이다. 이 글은 『매일신보』의 사진을 분류하면서 아울러 사진이라는 미디어의 특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진과 텍스트가 교호 작용을 통해 생성해 낸 서사들을 여섯 가지로 대별하였다. 그 결과로 이 글은 문학(사) 연구에 새로운 시각의 도입 내지 추가를 주장하였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time when photography began to evolve into a form of culture in the field of media coincides with the period of the time that the Korean alphabet began to emerge to the main stream in the art of composition. photography which applied the mechanism of 3 dimensional perspective representation(far and near perspective) adopted from drawings, brought about changes on sense, perception, and cognition of human being; that is, the change of ways that human beings recognize the world and express it. The way of accepting the change in the Eas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 Unlike the latter, the response of the former to the photography was shock, and it refused roundly. Wild rumors on photography were so rampant that the angry mobs broke down photo studios at the time of the Im-O Military Revolt. In the history of media and culture in the West, the point of distinguishing photography as media can be discussed with comparable starting time(beginning point and viewpoint), but it does not apply to Korea(the East). If one attempts to relate photography to the history of writing and literature, he or she may have harder time to explain it. The reason is why the history of photography in Korea began with the transitional period that Chinese character in writing was replaced to Korean alphabets. It may be possible to discuss on how Chinese text was distinguished from photography because at the time Chinese character was prevalently used as a medium for letter, but the discussion itself could be prevented from the very beginning due to the reason that the atmosphere of the society was very passive to civilization, or even too resistant to be withdrawn. This is why it is difficult to analyze how photography was directly alternated with Chinese text. Those who aggressively insist to use Korean alphabets(Korean text)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use of photography. While some of them had direct experience on outside and others had expanded knowledge by their second experience on books and photography. However, the use of Korean text was at the beginning stage as a form of media that it was not easy to balance the order of its importance when discussing photography as machine-media. Despite such difficulties, this paper tries to discuss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xt and photography in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because it is believed to be significant in that there are only few attempts to explain the interactions. It was the Maeilshinbo among other mass media that used photography with full implementation. It is believed that ethnic newspapers which was published before the Maeilshinbo could not use photography because of limited capital and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Maeilshinbo in the 1910s will be the most exclusive data to begin discussion on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xt and photography to explain the role of media in the history of Korea culture as well a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dissertation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y as a form of medium, classifying photography published in the Maeilshinbo. This dissertation also will divide into six categories the transcripts produced by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xt and photography.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will suggest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literature(or the history of literature) along with several implications.

      • KCI등재

        문학미디어론과 고전문학 연구의 지평 -실존적인 문학상, 운동하는 문학사를 위하여-

        임형택 ( Hyeong Taek Im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5 No.-

        이 글은 필자가 최근에 제출한, 문학의 변환에 관한 연구이론인 문학미디어론을 고전문학 연구의 방법론으로 적용해본 것이다. 먼저 다음과같은 문학미디어의 개념과 주요 논리를 해설적으로 제시하였다(1~2장). (1)형식개념: 문학미디어=문학의 미디어+문학이라는 미디어, (2)중심적문학미디어의 전환: 세계←구술←문자←영상, (3)미디어의 작동: 표현-저장-소통. 그러고서 세 가지 측면에서 고전문학 연구에 적용해 보았다(3장). 첫째, 문학미디어론에 의해 현장성 재구의 합리적 근거가 제시될 수 있음이 주장되었다. 오늘날 전해지는 고전문학은 문자화를 거치면서 본래의 현장성은 상실된 상태이다. 하지만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해, 똑같을 수는 없지만 현장의 원리와 미학을 되살릴 수는 있을 것이다. 이때 문학미디어론을 통해 분석되는 미디어 시학과 미학이 적절한 지침을 제공해주리라 기대된다. 둘째, 오늘날 고전문학은 현재화 및 세계화 요청을 강하게 받고 있다.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해 지구는 하나가 됐으며 그 환경에서 개별 민족의 독특한 문학 및 예술.문화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글로컬 콘텐츠로서의 고전문학 갱신이 필요한 것이다. 그것은 서사와 시각적 요소를 한국(적)인 것으로 취한다고 달성되는 게 아니다. 그 장르, 그 양식의 핵심적 기제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정한 글로컬 콘텐츠로서의 의의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문학미디어론은 이와 같은 변환의 본질적 지점을 파고들게 된다. 그것은 결국 미디어 변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셋째 문학미디어론을 통하여 , 그 목적에 더욱 충실한 학교(초중고) 고전문학 교육의 지침과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 고전문학 텍스트들에는 아주 다양한 미디어 변환 지점들과 요소들이 망라돼있다. 적실한 교육효과를 기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내용들이 분석되고 전달되어야 한다. 내용을 해제하는 정도로는 교육적 효과가 크게 기대될 수 없는 것이다. 오늘날과 상이한 미디어들과 그 변환의 국면과 양상을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은 내용상의 미학에도 좀 더 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이상은 고전문학 텍스트에 실존적 기운을 불어넣는 일이며, 미디어라는 일관된 시각과 방법으로 문학사를 관통하는 일이다. 문학미디어(론)은 계속 다듬어져야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문학사 서술과 구성의 논리로 우선 제안되고 토론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is the application of Literature.media theory that the present writer have submitted lately as a method of study on classical literature. Firstly this paper explained the concept and primary logics of Literature.media theory(chapter 1~2).: (1)formal concept: literature.media=media of literature+literature as media, (2)the conversion of the central literature.media: the world←orality ←letter←technical picture, (3)the operation of media: expression. storage.communication. And then this paper applied them to study on classical literature in three aspects(chapter3). The First, it was insisted that the reasonable base to reconstitute the fields can be submitted by literature.media theory. The classical literature passed down today had lost the original traits of fields because of literation. But we can revive the principles and aesthetics of the fields by media.technology. Then literature.media theory can submit proper guidelines to the process of revival. The Second, today classical literature is requested its present and globalization strongly. Now earth has been one by media. technology. In the condition, each national literature, art andculture are being magnified. Therefore classical literature need to renew as glocal contents. It cannot be achieved simply by taking Korean narrative or visual elements. Something influencing the main mechanism of the genres and the styles can acquire the meaning of true glocal contents. Literature .media theory penetrates the essence points of the changes. Because they are the matter of changing media after all. The third, the purposeful principles and methods of educating classical literature can be groped through literature.media theory. There are very diverse points and elements of changing media in the texts of classical literature. They must be analyzed and educated for the purposeful effects. Because the powerful education effects cannot be expected in the level of releasing contents. By understanding the situations and aspects of changing media, students may approach actively the aesthetics of contents also. All this, it``s the works to inspire existent vitality, go through literary history by the consistent standpoints and methods named media. Literature.media theory must be refined continuously, but first of all suggested and discussed as the description and constituent logic of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문학-미디어적 성격(1) -< 옥중화 >에 한정된 방법론적 시론

        임형택 ( Hyeong Taek Im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40 No.-

        이 글의 목적은 미디어 변환에 입각하여,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刪正)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지니는 문학사적 성격과 의의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해보려는 데에 있다. 이해조의 산정이, 판소리를 근대 문자미디어[문자+책+인쇄]로 변환한 작업이라는 사실은, 우선 그 텍스트들이 『매일신보』에 최초 게재될 때 명시돼있었던 산정과 관련한 사실적 정보[(春香歌 講演)-名唱 朴起弘 調-解觀子 刪正: <옥중화>의 경우]에 근거한다. 이 정보는 단행본에서도 축소된 형태[(春香歌演訂): 『옥중화』의 경우]이지만 명시됐었다. 더욱이 단행본화 과정에서 이뤄진 작업은 통상적인 수준의 교정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애초 산정의 기조는 그대로 유지됐던 것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이 글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 작업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미디어 변환에 입각한 고찰이 시도돼본 일이 없었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을 일반적인 개작으로 간주하고, 선별된 이본과의 내용 비교를 통하여, 산정된 텍스트들에 문학사적 평가를 내리는 데 주력해왔다. 다만 최근의 연구들 중에는 근대 신문 또는 출판을 콘텍스트 차원에서 논급한 경우가 더러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논점 및 논거들이 미디어 변환으로서의 산정을 해명해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해조의 산정 텍스트들이 각 계열에서 중심을 차지했다는 기존논지의 반복적 강화에 다소 기여할 수 있을 뿐이라고 판단되는 까닭에서다. 이 글은 선행연구들에서 소상하게 이뤄졌던바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준하는 내용 분석의 기반 위에서, 미디어 변환 자체의 효과를 탐색하는 데 주력하였다. 어쨌든 선행연구들은 미디어 변환의 이전-이후 텍스트 간 비교를 수행했던 셈인데, 그 논의들을 살펴볼 때 결과물로서의 양 텍스트 간에서는 유의미한 미디어적 차이가 거의 발생되지 않음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미상불 선행연구들이 상호미디어성(intermediacy)을 취하지 않은 또는 못한 이유는 바로 결과물들 간의 미디어적 상등성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구술성 대 문자성’의 미디어 비교관점을 간과하지는 않되, 그보다는 미디어 변환 자체의 효과에 주목하기 위해 재매개론(Remediation)에 입각한 텍스트 분석 및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효과와 미학은, 비매개된(mediated transparently) ‘현장’(←판소리←명창)에 하이퍼매개성(hypermediacy)을 띤 작가(→텍스트→현장)가 출입함으로써 고취된 ‘현장성’이라고 정리되었으며,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문학-미디어적 성격은 ‘현장(성)의 재매개’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기존 연구들에 비해 그다지 새롭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논의가 동일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미디어 변환을 연구하는 유효한 시각과 방법론이라는 점은 더 확장된 사례들을 통해 보완 및 지지될 필요가 있다. 즉 이 글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 텍스트들 중에서 <옥중화>의 분석 결과에만 의존한 것이므로, 시론(試論)으로서 두 갈래의 후속 연구를 예비하게 된다. 하나는 이해조의 다른 산정 텍스트들[<강상련>, <연의각>, <토의간>] 분석을 통한 이 글 논지의 확장-일반화이며, 다른 하나는 비슷한 시기에 <춘향전>을 재매개했던 한국문학사의 다른 두 거물의 텍스트[<고본춘향전>(최남선), <일설춘향전>(이광수)]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 근대 초기 서사[소설]문학사의 보완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new perspectives on the literature.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that Pansori Sanjeong by Lee Haejo has as literature, by analyzing it in terms of media transformation. It has been proved that the Sanjeong of Lee Haejo is a work of transforming Pansori into modern literature media(letter+book+press)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Maeilshinbo which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 scripts, or the texts of Sanjeong. Even though such information can be found in an abstract volume, the necessary information was clearly stated in Maeilshinbo. Furthermore, the process of publishing a separated volume prevented it from going beyond the simple proofreading, which in turn helps the original contexts of Sanjeong remained unchanged. Given the proposition above, a question seems to arise that there have not had any attempts to investigate media transform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which do research on Lee Haejo’s Pansori Sanjeong. The previous studies seem to focus more on how to evaluate the historic value of texts of Sanjeong as a literature by comparing the contents selected from different versions. This is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consider Lee Haejo’s Pansori Sanjeong as an ordinary adaptation. There are some of studies in recent years that discuss the modern newspapers or publications in the light of its contexts. However, such a perspective or discussion seems to fail to fully explain Sanjeong in terms of media transformation. The only contribution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made is more or less to strengthen the repetitive viewpoints that the text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took the central position in each branch. This article tries to focus on exploring the effects themselves of media transformation by means of the content analysis which is parallel to intertextuality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us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previous studies simply compared the media transformation which occurred in previous literature to which occurred later. This type of studies can only help to conclude that there we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and later literature in terms of texts. The reason that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or could not consider intermediality in their studies is because of mediacy superiority among research results. In this sense, this article performed text analysis as well as text comparison in terms of remediation in order to emphasize the effects of media transformation. It also di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perspectives of orality and literacy. This articl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effects and aesthetic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are the result of on-site characteristics which is empowered by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author (text-the onsite) with hypermediacy to on-site which was transparently mediated. It also concluded that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is on-site remediation. The article depends to a great degree upon the analytical results of Okjooghwa among other text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so that it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need to examine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one is to generalize this article by means of analyzing Lee Haejo’s other Pansori Sanjeong texts Kangsangryun, Eunyeokgak, and Toyeogan. The other is to compare the points of this article with the ChunHyang.jeon texts remediated by two great novelists, Gobon ChunHyang-jeon by Choi Namsun and Ilseol ChunHyang-jeon by Lee Gwangsoo.

      • KCI등재

        고전소설 영화화의 정도: 원작 중심의 미디어 번역 - 구술성의 동영상화와 테크놀로지·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임형택 ( Im Hyeong-taek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1 No.-

        고전소설 영화화에서 원작을 전면적으로 변형한 유형은 21세기에 들어서 일반화됐다. 20세기까지의 고전소설 영화화는 원작에 변형을 거의 가하지 않은 유형이 일반적이었다. 서사 구조나 인물 형상 등 원작의 핵심 인자를 그대로 따른 영화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고전소설 영화화에 있어서 20세기를 ‘그대로 쓰기’로, 21세기를 ‘새로 쓰기’로 구분할 수 있겠는데 이 글은 ‘새로 쓰기’의 문제점과 대안에 대해서 논했다. 60편에 달하는 20세기의 고전소설 원작 영화들 거의 모두가 ‘그대로 쓰기’ 유형이라는 사실을 단순히 제작(자) 요인으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탈선춘향전>(1960)은 연극(소설)의 영화화 사례로서 20세기 고전소설 영화화가 ‘그대로 쓰기’로 일관했던 원인을 다각도로 파악할 여지를 준다. 현실 비판적인 인물 형상과 주제의식을 지닌 연극이었으나 영화에서는 그러한 특성이 소거되고 원형 콘텐츠(고전소설 춘향전)로 회귀했다. 연극은 구술(음성 연기)이, 영화는 테크놀로지 영상이 주도적인 표현 미디어(수단·방법)이자 미학의 요체이므로 연극에서 영화로의 미디어 번역은 본래 까다로운 일이다. 특히 연극 탈선춘향전의 인물·주제가 드러나는 구술 부분을 영화에서 살리기 위해서는 디지털 수준의 테크놀로지와 기법이 요구된다. 이는 구술 서사와 그 미학을 따르는 다수의 고전소설에도 적용되는 요건이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와 제작 기법이 일반화된 21세기에야 고전소설 영화화의 조건이 제대로 갖춰졌다고 할 수 있겠는데 이때 원작을 크게 변형하는 ‘새로 쓰기’가 주요 유형으로 부상했다. 이것은 새로운 해석이나 현대적 의미의 창출 같은 나름의 의의를 지닐 수 있겠지만, 구술성의 동영상화를 위시한 원작 중심의 충실한 미디어 번역으로서의 ‘그대로 쓰기’ 및 ‘다시 쓰기’가 간과 내지 생략됐다는 아쉬움이 크다. 이는 고전소설을 현대인에게 쉽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정도로서 ‘고전소설을 영상으로 읽는 즐거움’도 제공해줄 것이므로 새로 쓰기에 우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the filmization of classic novels, the type that completely transformed the original work became common in the 21st century. Classical fiction films up to the 20th century were generally a type that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original work. Most of the films followed the core factors of the original work, such as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 shape. Therefore, in the filmization of classic novels, the 20th century can be classified as ‘write as it is’ and the 21st century as ‘new writing’. This article discussed ‘new writing’. The fact that almost all of the 60 films based on the classic 20th century novels are of the ‘write as is’ type cannot simply be regarded as a factor of producers. The life of deviated chun-hyang(1960) is an example of the filmization of a play(novel), which provided a space for grasping the cause of the aspect that the filmization of the classic novel of the 20th century was consistent with ‘writing as it is’. The film the life of deviated chun-hyang broke away from the theme consciousness and character shape of the play the life of deviated chun-hyang and returned to original contents (classical novel Chunhyangjeon). Play is oral (voice acting), and movies are technology Video is the central expression medium (means and methods) and the essence of aesthetics, and digital-level image technology and techniques that were not possible at the time are required to translate plays into films. And since most of the classic novels follow oral narratives and their aesthetics, digital technology becomes a basic requirement in the filmization of faithful classic novels. Therefore, it was only in the 21st century that it was possible to properly convert classic novels into films, but now films that are largely transformed from the original have emerged as the main type. This type of ‘new writing’ may have significance such as new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work or creation of modern meaning, but the ‘rewriting’ stage, which complements the detailed and detailed narrative development and description that rarely appears in the oral narrative, is overlooked or omitted. I am very sorry that it is done. This is because it is a desirable way to make a film of a classic novel that easily and clearly conveys the meaning and value of a classic novel by providing “the pleasure of reading classic novels in video” to modern people.

      • KCI등재

        문학미디어와 한국문학의 세계화 전략 연구 -현대판소리, 한국창작발레, 케이팝의 대비를 중심으로 -

        임형택 ( Im Hyeong-tae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2

        이 연구는 `몸`이 한국문학의 세계화 전략에 있어서 핵심적인 `문학미디어`가 되리라는 전망에 기초하고 있다. 오늘날의 신속하고 원활한 동영상 미디어-테크 놀로지는 몸의 즉시적이고 직접적인 표현과 소통을 가능케 하는 까닭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현대판소리, 한국창작발레, 케이팝을 대비하면서 한국문학의 세계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몸`의 표현은 `소리`와 `동작`으로 대별되며, 양자는 `리듬`의 지배를 받는다. 특히 예술문화 현장에서 활동하는 판소리 명창과 케이팝 전문가와의 대담은 언어가 어떤 집단이나 사회의 특성이 온축돼있는 리듬의 결정적 요소가 됨을 일러주었다. 따라서 `몸`을 통한 한국문학의 세계화 전략의 모색에서 리듬의 결정적 요소로서의 언어는 다름 아닌 `현대한국어`가 된다. 결국 이 연구는 몸-리듬-현대한국어를 한국문학의 세계화 전략을 강구하는 문학 미디어로 도입하여 논의한 것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연구와 전략은 학교교육을 포함한 교육과 교양에 우선 적용됨으로써 한국 문학 및 예술·문화의 현재화와 세계화를 견인하고 지속하는 `재매개 생태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음을 설파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body” will become a key literature-media in the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literature. The current fast and seamless video media-technology enables immediate and direct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of the body. Toward this end, the study aims to find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literature in preparation for contemporary Pansori, Korean creative ballet, and K-POP. The expression of the body is divided into “sound” and “motion”, and both are controlled by “rhythm”. In particular, the dialogue between Pansori and K-POP expert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has revealed that language becomes a decisive element of rhyth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groups and societies. Therefore, in the search for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body, the language as a crucial element of rhythm becomes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Finally, this study introduces the body-rhythm-contemporary Korean language as a literature-media for the strateg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presents a suitable direction and guidelines for it. The studies and strategies herein are applied to education and culture, including school educa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mediation ecosystem” that will lead and sustain present Korean literature, arts, and culture, as well as their globalization.

      • KCI등재

        디지털계 인간에게 필요한 문학공부와 그 효용 - 미디어 습득과 그 수행으로서의 문학행위 -

        임형택 ( Hyeong-taek Im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9 국제어문 Vol.0 No.80

        이 글은 디지털계라고 하는 비실재 중심의 존재 환경에서의 인간들에게 필요한 실재(성)의 추구와 지향을 문학공부의 방법론으로 수립 및 제시한 연구이다. 문학은 언어에 의한 예술적 표현과 소통 행위이다. 그런데 테크놀로지가 발달해감에 따라 언어의 변주와 확장형인 미디어들을 통한 새로운 문학 역시 증대되었다. 그리고 현대의 인간들은 이러한 미디어-테크놀로지 환경에서 삶이 조직되고 영위돼왔으니, 디지털 시대에 이르러 미디어-테크놀로지의 대 인간 지배력은 절대화되었다. 이 조건에서 인간의 거의 모든 것들은 비실재적인 것으로 대체되거나 변화하게 된다. 이 글은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으로 미디어 습득과 그 수행으로서의 문학행위를 수립하여 제시하였으며 더불어 그 효용에 관해서도 논하였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suggests a pursuit of the reality necessary for human beings in the non-existencecenteredenvironmentcalleddigital systems, as the methodology of the literature study. Literature covers artistic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languag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new variations of language and expanding forms of media have emerged. Moreover, modern human shave been organized and operated in this media-technology environment, and thus, the dominant power of media-technology has become absolute in the digital age. In such a condition, almost all humans are replaced or changed by non-existent powers.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and establishes literary activities as media acquisitions, their performance as a solution, and their utility.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적인 문학 공부와 교육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 개발 방법론으로서-

        임형택 ( Im Hyeong-tae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0

        이 글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로 일컬어지는 오늘날에, 인간에게 요구되는 자질인 창의력이 문학 공부와 교육을 통하여 배양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그 방법론을 설파하려는 목적에서 쓰였다. 오늘날 인간은 고도로 발달한 테크놀로지 문화의 영향을 광범위한 부분에서 강력하게 받고 있다. 테크놀로지는 발달할수록 그 자동화 범위와 수준이 증대된다. 따라서 테크놀로지 사용 비율이 증가할수록 인간이 직접 수행할 때 생성되는 감각 및 사고의 운동성과, 이를 기반으로 발달하는 인간 창의력은 감소하게 마련이다. 더욱이 테크놀로지로 인해 기존 인간 ‘일’의 상당수가 사라져가는 상황에서 요구되는 창의력은 인간의 입지를 진퇴양난의 처지로 몰아가고 있다. 이미 생활의 거의 모든 부분과 연동되는 테크놀로지에서 이탈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마냥 사용할 수도 없는 노릇에서다. 이와 같은 창의력 감소는 현실 문학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여전히 언어문학이 존재하나 대다수의 현실적인 문학 행위는 영화, 드라마, 웹툰, 게임 등 대단히 정밀하고 유려한 시청각 정보로 빽빽하게 채워진 디지털 텍스트로 이뤄진다. 그러므로 구술이나 문자텍스트에 대한 문학적 행위에서 요청되는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인간 감각과 사고의 작동은, 그것들이 고도로 자동화된 디지털 텍스트에서는 오히려 장애가 된다. 하지만 모든 요소의 통합체인 디지털은 새로운 가능성과 방법의 보고(寶庫)이기도 하다. 창의력 계발에 필요한 요소를 선별하고 재구성하여 부족해진 부분을 보충할 길이 디지털에는 또한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창의력을 강화할 수 있는 문학적 행위를 셋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그것들은 모든 요소가 충만한 텍스트를 주어진 대로만 수용하는 데서 그치는게 아니라 미디어-감각 요소들을 목적에 따라 가감(加減)하는 재생산 행위를 통해 인간의 감각과 사고가 활발하게 발휘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미디어를 빈번하게 횡단하고 전환하는 행위들이기에 트랜스미디어적인 문학 행위로 묶인다. 그리고 이상은 발전을 도모하는 의식적 노력의 과정이므로 다시 ‘트랜스미디어적 문학 공부와 교육’으로 개념화되었다.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asserting that creativity, a quality required for human beings,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study and education of literatur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or examining and suggesting the proper methodology. Humans today are strongly influenced by a wide range of highly developed technological cultures. As technology develops, its scope and level of automation increase as well. Therefore, as the rate of using technology increases, the motility of sensations and thoughts generated when humans directly perform, and human creativity developed based on this, decreases. Moreover, the creativity required in a situation where many of the existing human ‘work’ are disappearing due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driving the position of human beings into a difficult situation. Now, it is virtually impossible either to break away from technology that has already been linked to almost all parts of daily life, or to use it as if it were. This decrease in creativity also occurs in actual literature. Although language and literature still exist, the majority of literary activities in real life are made up of digital texts that are densely filled with highly precise and elegant audio-visual information such as movies, dramas, webtoons, and games. Therefore, the active and continuous operation of human senses and thoughts requested in literary activities on oral or written texts becomes a hindrance to the digital texts where they are highly automated. However, digital, the integration of all elements, is also a treasure trove of new possibilities and methods. Digital also can make up for what is lacking by selecting and reorganiz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is paper has divided the literary activities that can promote creativity into three discussions. They do not only remain in accepting texts that are full of all elements as given, but show that human senses and thoughts can be actively employed through the reproductive action of adding and subtracting media sensation elem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Besides, because it is an activity that frequently crosses and converts the media, it is tied to a transmedia-based literary activity. And since the ideal is a process of conscious effort to promote development, it was again conceptualized as “transmedia-based literature study and education”.

      • KCI등재

        특집1: 문학,문화콘텐츠의 지역성과 세계화-제주를 중심으로 : 왜 춘향은 춤을 추는가(1) - 글로컬 문학미디어로서 몸-동작의 중요성과 발레<춘향전>의 지향에 관하여

        임형택 ( Hyeong Taek Im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오늘날 문학+연구의 존재 기반과 지형은 그야말로 ‘춤’추고 있다. 이 춤은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가. 문학 자체의 입장에서 보면 그 연원은 인류사와 동등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대 학문 분과로서의 문학연구 입장에서는 최근의 사태로 인식되기 쉽다. 이렇게 입장이 이원화되는 이유는 고전문학과 근현대문학이 상이한 까닭이다. 더 분명히 하자면, 근대문학-문자미디어[문자+책+인쇄]의 입장에서 ‘1차 구술성’의 고전문학도 수렴되었으며, 그렇게 수축된 문학관(文學觀)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발산인 오늘날 ‘2차 구술성’의 문학들을 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1차 구술성의 문학과 2차 구술성의 문학은 현장성이 그 실현의 본령이라는 점에서 동일성을 갖고 있으나 작금의 문학연구에서는 후자가 훨씬 더 버겁게 여겨지는 것 같다. 2차 구술성의 문학이란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해 현장성의 상당 부분이 직접적으로 저장·소통됨으로써 발생하는 텍스트 요동(搖動)의 효과이자 춤추는 세계이다. 이는 문자문학 등 현장성과는 거리가 먼 텍스트들에도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 텍스트 소통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개인적 차원의 미디어 사용 환경에서 텍스트의 고정성은 점차 약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오늘날에는 원저자나 원작품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도 절단·축약·발췌·변개 등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들을 일상의 도처에서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차 구술성의 문학 환경에 대하여 춤추는 ‘춘향’은 문학의 대유이며, 몸-동작은 그러한 문학의 주요한 한 양상이다. 따라서 이 글은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해 강화된 몸-동작의 문학적 효과와 역할에 대한 중장기적 연구를 발레<춘향전>으로부터 개시해보고자 한다. 더욱이 발레<춘향전>은 글로컬 문학의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문학·문화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성도 있다. 이 글에서는 발레<춘향전>을 분석하기 위한 상대 항으로서 판소리<춘향전>을 상정하였다. 전자가 ‘몸-동작’이라면 후자는 ‘몸-소리’이며, 전자가 글로벌리티이면 후자는 로컬리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양자의 하이브리드서의 발레<춘향전>이 명색이 글로컬 문학·문화로서의 성향을 지니기 위해서는 ‘몸’의 이쪽과 저쪽을 지배·지휘하는 원리로서의 ‘장단’에 주목하여야 하며, 거기에 한국창작발레<춘향전>의 지향점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In these days, the existing foundation and landscape for the study of literature have been ‘dancing’ indeed. It is not clear when dance was introduced to literature, but, in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itself, it can be said that it came to pass as early as the human history began. However, in the perspectives of studying literature as a part of modern research, dancing is regarded to be occurred only recently. One of the reasons that there exist two perspectives on dance is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In the perspectives of modern literature which is represented by text media including text, book, and print, if it were made clearer, the classic literature characterized by the 1st oral literature is converged so that researchers view with limited perspectives the 2nd oral literature which is rather a new paradigm. Although the 1st and 2nd oral literature ar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hat both emphasizes reality as its prime goal to accomplish, the current study on literature seems to consider 2nd to be less manageable that 1st. It may be true in that both face problems, but the main point is that both have different media environments to realize how to store texts as well as the condition of communication. In the past, text media would exercise major influence on the 1st oral literature. But there is time limitation to store body movements and communicating it later as the time passes. This is why text literature is recognized as the only way to reserve information. Of course, text also exists in the form that reality is removed. However, the 2nd oral literature can be called to be the world of dancing and text commotion because it helps to conserve to a great degree reality by directly stor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help of media technology. It influences similar effects on texts in text literature which does have little to do with reality. The degree of dependence on text is inevitably getting weaker in the environment where text communication among individuals increases. For example, without knowing original authors or works, people in these days are able to read texts transformed by cutting, abbreviating, excerpting, and modifying original literature. In regard of the 2nd oral literature as suggested above, dancing ‘Chunhyang’ is to a great extent equivalent to literature, and body-motions are important aspects in literature.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tries to make an attempt to introduce through ballet Chunhyang-jeon what effects and roles body-motions strengthened by media technology have on literature. Ballet Chunhyang-jeon has strong characteristics as global literature so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it in terms of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In this article, Pansori Chunhyang-jeon is selected as a relative genre in an attempt to analyze ballet Chunhyang-jeon. The reason is that ballet Chunhyang- jeon is about body-motion, while Pansori Chunhyang-jeon is about body-sounds; ballet Chunhyangjeon is about globality, whereas Pansori Chunhyang-jeon is about locality.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at in order for ballet Chunhyang-jeon to prove to be global literature and culture in the hybrid of both, the study should pay attention to jangdan[rhythm] as a mechanism to govern and control the movements of body; ie, move here and there, because it is claimed that the goal of Korean creative ballet Chunhyang-jeon lies in the jangdan[rhythm].

      • KCI등재

        ‘이날치’의 고전 현재화와 그 참여문화의 스토리텔링 - 음악 낯설게하기가 가져온 전경화와 그 효과들 -

        임형택 ( Im Hyeong-taek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8

        ‘이날치’는 단기간에 급성장한 퓨전 판소리팀으로서 흥겹고 대중적인 춤을 일으키는 얼터너티브 팝 밴드를 지향한다. 이들은 능동적·적극적 수용행위로 발전하는 인터넷 참여문화의 기반 위에서 성장했으니 그들을 키운 것은 탈경계·탈중심의 포스트모던한 글로벌 대중의 성원과 힘이었다. 이날치는 음악 ‘낯설게하기’를 통해 다양한 ‘전경화’ 효과를 배태했다. 멜로디를 제외한 리듬 반주만으로 밴드를 구성했고 판소리 장단을 음악의 기조로 삼았다. 그 결과로 ‘희한하게 익숙하고 아름답게 낯선’ 음악이 창조됐다. 그 신이한 음악은 글로벌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다양한 전경화 효과를 유발했다. 춤의 전경화는 그 첫 번째 효과로서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는 이날치 공연의 몸-동작 즉 시각적 효과를 담당했고 그 역할을 적절히 수행했다. 글로벌 대중의 적극적 관심은 곧 다양하고 방대한 인터넷 밈들로 나타났다. 춤이 어느 정도 익숙해질 때 나타난 효과는 노래의 전경화였다. 리듬은 몸-동작뿐 아니라 몸-소리를 유발하므로 리듬의 소리 표출인 노래로의 관심 확장은 지당한 귀결이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노래의 인터넷 밈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상황은, 더 오래전부터 나왔으면서도 여전히 새로운 콘텐츠가 올라오는 춤의 인터넷 밈을 상기하면 더욱 의문스러운 것이다. 이에 관한 대중의 입장은 이날치 노래는 따라부르기에 너무 어렵다는 토로였다. 이 와중에서 예상되지 않았던 상황이 흥미롭게 전개됐다. ‘소리’를 할 줄 아는 전문가들이 이날치 노래의 재생산자로 호명된 것이다. 그들은 대중에게 판소리의 특성과 노래의 배경을 알려주고 나아가 이날치 노래를 가르쳐주었다. 대중이 노래 재생산의 주체는 아니되 판소리 명인·전공자를 호명하여 현대문화의 한마당에 세운 것은 대중이었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이야기의 전경화 효과가 발생했다. 노래를 익힌다는 것은 가사를 이해한다는 의미이며 이날치 노래는 곧 이야기[+하기]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점진적 전경화는 각 단계에서 스토리텔링을 생성하면서 판소리(고전) 현재화의 방법과 의미를 풍성하게 보여주었다. 또 이 과정은 다름 아닌 글로벌 범주에서 발생했다는 사실, 즉 처음에는 포스트모던한 글로벌 대중의 성향이 탈장르적·혼종적인 이날치를 글로벌 문화의 장에 불러냈으나, 결국 그들의 관심이 한국문화의 정체성이 분명한 이야기로까지 확장됐다는 사실 역시 강조돼야 할 것이다. 이날치가 남기는 성과를 고전 현재화의 한 전범(典範)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낯섦과 전경화가 유발하는 참여문화의 스토리텔링 효과를 적극적으로 지향할 필요가 있겠다. Inalchi' is a fusion pansori team that has grown rapid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aims to be an alternative pop band that induces dance. They grew up on the basis of a culture of participation in the Internet that develops into active and active acceptance behaviors, so it was the support and strength of the public that nurtured them. Lee Nalchi embodies the effects of various ‘Foregroundinging’ through the music ‘Defamilarization’. The band consisted of only rhythmic accompaniment excluding melody, and the rhythm of pansori was used as the keynote rhythm. As a result, “abnormally familiar and beautifully unfamiliar” music was created. The new music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global public and caused a step-by-step foregrounding effect. As the first effect, Ambiguous Dance Company was in charge of the body-movement, or visual effect, of Inalchi's performance, and played a role in that first effect. The active interest of the global public soon emerged as a wide variety of Internet memes. The effect of getting used to dancing to some extent was the foregrounding of the song. In addition, rhythm induces not only body-movements but also mother-sounds. Therefore, the expansion of interest to the Sori(sound) version of the dance rhythm was a reasonable result. Strangely, however, few Internet memes of the song appeared. This situation is even more suspicious when you recall the Internet memes of dance that have been out for a long time and are still uploading new content. The public's position on this could be confirmed in the comments posted on Inalchi content, so the song was too difficult to follow. In the process, an unexpected situation unfolded interestingly. People who knew how to speak “Sori” were called as the reproducers of Inalchi's song. They informed the public about Pansori's unique rhythm, vocalization, and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ong, and further taught the song Inalchi. The public was not the subject of song reproduction, but it was the public who called for a master or major in pansori to establish it in the midst of modern culture. And at this point, the foregrounding effect of the story occurred. Learning to sing means understanding the lyrics, and this is because this song is about Story+telling. The above gradual foregrounding painting created storytelling at each stage, showing the method and meaning of presenting pansori (classical studies) in abundance. Let's actively welcome the new defamilarization, foregrounding effect, and storytelling while accepting the achievements and effects left by Lee Nalchi as a model for the present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 KCI우수등재

        ‘이날치’ 수궁가와 문화콘텐츠 이상의 문학적 가치 : 범은 어떻게 이름을 남기는가?

        임형택(Im, Hyeong-Taek)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0

        얼터너티브 팝 밴드 ‘이날치’는 판소리 수궁가의 대목들을 판소리 음악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특별한 대중음악으로 재창조하였다. 이들의 노래는 현대한국인들과 세계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는데 그 출발점은 판소리가 음악이 아닌 문학이라는 깨달음이었다. 그에 따라 타악기(베이스2+드럼)만으로 밴드를 구성했으며 멜로디는 소리꾼들의 노래를 통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도록 했다. 또 창자 한 명의 ‘소리’에 청각성에다 시각성까지 집중됐던 판소리의 전통적 공연 방식을 네 명의 소리꾼과 춤 그리고 엠비규어스 댄스를 추가함으로써 직접적인 시각성으로 변환했다. 그 결과 생소함과 친숙함이 적절히 공존하는 특별한(unique) 음악과 공연 형식이 탄생했던 것이다. 이날치는 가사를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외국인도 일부만 들리는 한국인도 그 특유의 리듬과 동작에 몰입시켰으며 그 양상은 인터넷을 통해 확대 재생산되며 더 크게 퍼져나갔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처음에는 리듬과 동작에 대한 반응이었던 대중의 관심이 점차 이야기로 확장됐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방송과 공연도 수궁가의 관련 이야기를 함께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화해갔다. 이러한 발전은 판소리가 본래 문학·음악·연극의 복합양식이기에 당연한 귀결로 볼 수도 있으나 대중의 적극적 관심에서 추동됐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20세기 초에도 판소리는 일종의 유행가처럼 큰 인기를 누렸었다. 하지만 유행가처럼 흘러가지 않고 현재까지 살아남았는데 그 원인은 사설(이야기)과 음악의 결속력 때문이었다. 또 근대문화로의 편입과정에서 판소리는 이름과 제목을 얻으며 기억과 전승의 강력한 수단을 갖췄었다. 이러한 언어적·문학적 근원은 판소리의 지속성을 담보한다. 그리고 이날치와 같은 시도는 그 근원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한다. 따라서 이날치와 같은 새로운 시도는 늘 의미 있는 일이며 전통형식들과 함께 예술적 본질(‘차이 그 자체’)을 경험하는 즐거움으로 환영해야 할 것이다. 문학(이야기·이름)이 든든하게 지키며 기다리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Inalchi recreated the passages of Pansori Sugungga into special popular music through a modern transformation of pansori music. Their songs are receiving great response from modern Koreans and people around the world, and the starting point was the realization that pansori is not music but literature. Accordingly, the band was composed of only percussion instruments (bass 2 + drum), and the melody was created naturally through the songs of the singers. In addition, the traditional performance method of Pansori, which was focused on the sound of one intestine and both auditory and visual, was transformed into direct visuality by adding four singers, dance, and Ambiguous’ dance. As a result, a unique music and performance form in which unfamiliarity and familiarity coexisted appropriately was born. Inalchi immersed in the unique rhythm and movement of foreigners who couldn"t understand the lyrics at all, and Koreans who could only hear some of the lyrics, and the pattern spread even more when expand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what is peculiar is that the public"s interest, which was initially a reaction to rhythm and movement, gradually expanded into the story. Therefore, broadcasting and performances have evolved in a way that provides related stories of Sugungga. This development can be seen as a natural result because Pansori is originally a complex form of literature, music, and theater,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t was driven by active interest from the public.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pansori enjoyed great popularity as a kind of popular song. However, it did not flow like a popular song and survived to the present day because of the solidarity of editorial (story) and music.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into modern culture, Pansori acquired a name and title, and had a powerful means of memory and transmission. These linguistic and literary sources ensure the continuity of Pansori. And attempts like Inalchi reinforce the influence of its roots. Therefore, new attempts such as the Inalchi are always meaningful and should be welcomed with the pleasure of experiencing the artistic essence (“difference in itself”) with traditional forms. This is because literature (story, name) will be waiting for yo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