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5-2019

        이효림 ( Lee¸ Hyor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5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학 분야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유아교육학 분야 주요 학술지인 유아교육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유아교육학논집의 게재된 논문 총 4,653편의 제목과 주제어를 수집하였으며, 키워드 분석, 토픽모델링(LDA), Mann-Kendall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학 분야의 연구주제는 “교사” 관련 5개 토픽, “유아” 관련 7개 토픽, “교육” 관련 6개 토픽의 총 18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각 연구주제별 비율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그러나 연구주제별 추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과 부모’, ‘교사 직무’, ‘예술과 창의인성’, ‘다양성과 권리존중’은 유아교육 연구에서 점차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학적 탐구’, ‘교육 보육 정책’, ‘언어와 리터러시’, ‘교육실행과 변화’, ‘기관 운영 관리’, ‘과학적 탐구’는 점차 그 비율이 낮아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대한 서지 정보를 토대로 유아교육학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를 밝히고, 통계적 검증을 통해 주요 연구주제의 추세를 밝혔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titles and keywords were reviewed from a total of 4,653 papers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9 in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which are major academic jour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eyword analysis, topic modeling (LDA), and Mann - Kendall trend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18 topics centered on the keywords of “teacher,” “child,” and “education.” Second, the proportions of each research topic were evenly distributed. However, the proportions of “family and parents,” “teacher duties,” “art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diversity and respect for rights” gradually increa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Whereas, the proportions of “mathematical inquiry,”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y,”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practice and chang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cientific inquiry” gradually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es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y reveal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extensive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reveal trends in research topics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내용교수지식(PCK)향상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수업 모형 개발

        이효림(Lee, Hyorim),이지연(Lee, Ji-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내용교수지식(PCK) 향상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대학교재 분석 및 현장의 요구조사를 기초로 수업 모형(안)을 구성하고, 유아교육과 교수 8인으로부터 내용적합성을 검증받았다. 개발된 수업 모형(안)은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적용을 실시하고 수정 보완하여 최종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형의 목표는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내용교수지식을 형성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이다. 교육내용은 유아사회교육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학습자 이해, 상황 이해에 관한 지식이다. 수업 모형은 총 15주, 45시간으로 운영되며, 교수학습방법으로 강의, 토의, 시청각 교육, 발표, 모의수업, 시청각수업과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과제제출 및 공유를 활용한다. 평가는 교육내용에 관한 이론시험인 형식적 평가와 수업활동 자료, 개별 및 조별 과제, 수업계획안, 모의수업 등을 통한 비형식적 평가로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lecture model of social studie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teaching model (draft) was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alysis of university textbooks, and field needs surveys.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8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plan) was applied to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a 3 - year college, and the final instruction model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m. The goal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to the field by forming knowledge teaching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is knowledge about purpose and goal, content of education, teaching - learning metho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understanding of learner, and understanding of situation. Lessons are held for 45 hours over 15 weeks and lectures, discussions, audiovisual education, presentations, mock classes, audiovisual classes, and submissions and shared assignments on internet cafes are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evaluation consists of formal evaluation, testing on the theoretical contents of education, and informal evaluation through class activity data, individual and group tasks, lesson plans, and mock lessons.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효림 ( Lee Hyorim ),이지연 ( Lee Ji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양육태도, 결혼만족도 및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취업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총 302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의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 취업 여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ir spouse’s child-rearing attitudes,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participants were 302 pairs of mothers and fathers who have 3-5 year-old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marital satisfaction, and subscal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additio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marital satisfaction show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others’ parenting stress. Second, mari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satisfaction had statistically effects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but mothers’ employment status did not have the moderating effec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이효림(Lee, Hyorim),김순환(Kim, Soonhwa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 실행에 대해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참여자는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임하는 교사 9명이며,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교사의 인식은 의사소통 부재의 원인으로 바라보기, 적응을 목적으로 이중언어 배제하기, 이중언어 발현을 수용하기, 미래의 자산으로 바라보기, 성장의 가능성을 인식하기로 분류되었다. 이는 교사가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잠재된 언어의 지위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적 정체성이 우세한 언어에 압도되는것을 주의하며 개방적으로 인식을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는 다문화가정을 위해 정서적 지지하기, 자립하도록 일과를 배치하기, 상호문화경험 계획하기, 의사소통 확장하기, 가정과 연계하기로 교육적 실행을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교사는 다문화가정의 유아에게 기관에 적응이나 권리향상을 위한 교육보다 미래적 인식을 가지고, 유아의 언어, 인지, 정서발달까지 고려하며 교육적 실행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변화하는 우리 사회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이중언어환경을 개방적으로 인식하고,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위한 교육적 전략을 확장하여, 미래의 다문화 정체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practices for the bilingual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nine teachers who worked with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Gyeonggi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collect data. The research results categorized by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bilingual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seeing as the cause of lack of communication,” “excluding bilingualism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embracing the manifestation of bilingualism,” “seeing as a future asset,” and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growth.” This means that teachers need to be sensitive about the potential status of language for the bilingual environment, to note that the dual ident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is overwhelmed by the prevailing language, and to expand and open their minds. Second, the educational practices for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consisted of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rranging routines for children’s self-reliance,”“planning intercultural experiences,” “expanding communication,” and “connecting with families.” Through this, the teachers are able to carry out educational practic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linguistic,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 future awareness going beyond providing education for coping with the problem of the bilingual environment or improving righ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lication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have an open mind to the bilingual environment while our society is rapidly becoming more multicultural and to promote educa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foster future talents with a multicultural ident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인식

        이효림 ( Lee Hyorim ),박영신 ( Park Youngsh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사회교육의 본질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지역 3년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대학중인 예비유아교사 465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여 사회과 본질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사회교육의 본질에 대하여 반성적 탐구,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의 순서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1학년보다 3학년이 사회과학으로서의 유아사회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사회교육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사회교육 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유아사회교육의 3가지 전통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강경험이 유아사회교육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유아사회교육의 본질에 대한 고려가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46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year junior college in Daegu-Kyungpook area. They responded to the survey on cultural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flective Inquiry, Citizenship Transmission, and Social Science were most appreciated in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Secon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is most appreciated by 3rd grade students.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with practicum experiences. Fourth, three traditions of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most appreciat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n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at the experience of taking a course has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of a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educa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ourse.

      • KCI등재

        유아사회교육 실제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이효림(hyorim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실행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현직 유치원교사 및 전문가 총 12명이며,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vivo 1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82개의 개념, 33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유아사회교육 실행의 어려움’이 중심현상으로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유아사회교육의 특성’과 ‘교사양성과정에서의 경험’이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유아교육기관의 환경’과 ‘국가 수준 유아사회교육의 방향’이, 중재적 조건으로는 ‘교사의 특성’과 ‘교사의 경험’이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지금, 여기의 문제다루기’,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지도하기’,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통합적으로 계획하기’,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기’가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로는 ‘기본생활습관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기초교육’이 도출되었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내용지식의 부족을 교수학습방법으로 극복하여 교육하기’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사회교육 실행에 대한 구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on practice of social studies for early children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Participants were twelve kindergarten teachers and experts who had rich experience o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a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ollowing grounded theory method using an Nvivo 11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82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discovered in open coding. And after paradigm analysis in axial coding,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social studies education’ was found as a phenomenon. Casual conditions for the phenomenon wer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training course’. In addition, teachers’ difficulties could b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national curriculum’ (context).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eachers used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dealing with problems here and now’, ‘teaching naturally in a daily routine’, ‘making an integrated plan based on Nuri curriculum’, and ‘home- and community-institution collaboration’. These strategies were influenced by ‘teachers’ trait’ and ‘teachers’ experiences’(intervening condition). Consequentially, practic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early children was founded as ‘basic education which focused on life habits and relation’(result). Finally, results found ‘overcoming lack of contents knowledge of teaching-learning method’ as a core category in selective coding.

      • KCI등재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시험이 메타인지적 판단과 학습시간 및 학습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하효림(Hyorim Ha),이희승(Hee Seu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시험이 후속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참가자에게 화가의 그림 양식을 학습하는 과제를 주고, 실험 1에서는 중간시험 이후 동일한 자료를 반복해서 학습할 때, 실험 2에서는 중간시험 이후 새로운 자료를 학습할 때 시험이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판단, 후속 학습시간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 학습자들은 12명의 화가를 하나의 섹션을 통해 학습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12명을 6명씩 두 개의 섹션(A, B)으로 나누어 학습하였다. 학습자들은 중간 활동의 조건에 따라 시험을 보거나 재학습을 진행했으며, 학습 단계가 끝날 때마다 방금 배운 화가의 그림을 얼마나 잘 배웠는지에 대해 메타인지적 판단을 했다. 실험 1, 2 모두 중간 활동 이후의 학습은 학습자가 원하는 만큼 공부할 수 있도록 시간제한 없이 진행되었다. 최종 시험에서는 새로운 그림을 보고 어느 화가의 작품인지를 맞혀야 하는 전이 과제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실험 1에서는 재학습 집단이 시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자신감을 보였으나, 학습시간과 수행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이와 달리, 실험 2에서 새로운 자료를 학습할 때는 집단 간 전체 학습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간시험 집단이 재학습 집단보다 학습 초반에 유의하게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고 이는 섹션 B에서의 유의하게 높은 학습 수행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 학습상황에서 시험이 학습시간을 늘리지 않으면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임을 보였고, 이는 시험이 평가가 아닌 효과적인 학습전략으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esting on subsequent study in concept and category learning. We examined how interim testing affected learners’ metacognitive judgments, study time, and learning performance, when studying old (Experiment 1) and new materials (Experiment 2) following an interim test. University students studied the painting styles of various artist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studied 12 artists within one section, whereas in Experiment 2, the 12 artists were split into two sections (Section A, B) of six artists. After the learning phase, participants made metacognitive judgments on how well they learned the painting styles. Then, they either took an interim-test or did an interim-restudy on the previously learned materials. In both experiments, after the interim activities,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study at their own pace. In the final test, they had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artists of the new paintings that were created by the learned artist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restudying the same materials (Experiment 1), the interim-re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judgments of learning than the interim-test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tudy time and learning performance. In contrast, when studying new materials (Experiment 2), the interim-test group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in the early phase of learning than the restudy group. Further, they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in the final test of Section B,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otal study tim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urrent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testing could be an effective learning tool, while it does not necessarily increase the study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