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교사의 신념과 읽기 수업 실행 양상

        백혜선 ( Paik¸ Hyesun ),방상호 ( Pang¸ Sangho ) 한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 Vol.- No.174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constructivist beliefs of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eliefs and classroom practices in teaching reading. A survey on teacher beliefs and practices in the teaching of reading was conducted on 216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To measure teacher beliefs, the Literacy Orientation Survey (LOS) was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and valida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ean score on the LOS for the participants was 3.39, indicating that their constructivist orientation was relatively moderate. Among their beliefs about the content of reading instruction, “cultivating a positive attitude” and “reading in daily lif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LOS. “Textbooks” were most often selected as reading material, but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OS. The extent to which they believ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were important for evaluation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were using “multiple-choice tests” were both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onstructivist belief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beliefs were mostly congruent with their practices. But they were often engaged with the practices that they reported they did not suppor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subtl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for teaching reading.

      • KCI등재
      • KCI등재

        중등 국어 교과서의 매체 영역 반영 양상 연구

        백혜선 ( Hyesun Paik ),김지연 ( Jiyeo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이 연구는 매체와 관련된 성취기준이 교과서에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중학년군 교육과정에서 매체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두 성취기준을 선정하여 3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3종 교과서의 단원구성과 학습활동을 정리하여 교과서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연구진의 협의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먼저 매체 교육에 대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이론, 그리고 실천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교과서에 구현된 활동의 실제성과 구체성이 부족하여 매체 영역의 교육 내용에 따른 교수 모형이나 전략 등이 더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매체 교육 내용의 전이성을 높이기 위해 학습해야 할 중심 개념을 도출하고 전이력이 높은 활동으로 구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provide insigh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role of media education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he researchers analyzed three kinds of Korean textbooks on media education from the 2009-revised curriculum. They explo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textbook, and drew conclusion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media education compon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lacking.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knowledge, theory, and strategies required to better educate students using media content. Activities in these textbooks were not concrete and authentic. A divergent teaching-learning model and strategy for media education needs to be furtherdeveloped.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textbooks need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transition activities.

      • KCI등재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백혜선(Paik, Hyesun),류보라(Ryu, Bo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이 연구는 국어과 예비교사들이 교육 실습 중 사용하는 수업 화법의 특징과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참여자는 3개 중등학교에서 실습한 4명의 교생으로 각 2회씩 총 8차시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녹음 자료를 전사하여 주자료로 활용하였고, 현장 노트,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면담 자료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수업 화법의 유형은 발화, 발문, 응답으로 분류하고 이를 수업에서의 기능에 따라 수업 내용 화법, 수업 진행 화법으로 세분화하여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빈도를 조사하고 유형별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가 수업 화법에서 많이 사용한 화법 유형은 수업 내용 발화였고 수업 진행 화법을 어려워하였다. 참여자별로 발문과 응답의 사용량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문과 응답의 수는 교실 내 의사소통의 활발함과 관련이 있었다. 모둠 수업, 학생 활동 수업 등 다양한 방식의 수업 운영을 위해서도 수업 진행 화법의 적절한 사용이 요구되었고, 수업의 주를 이루는 수업 내용 발화의 효과적인 사용도 성공적인 수업을 위해서 중요한 요소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facilitated by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four trainee teachers who were placed at three schools for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audio recordings from two classes per each trainee teacher for a total of eight classes, in addition to supplementary materials consisting of class obervation records and records of consultation between trainee teachers and supervising teachers. The various typ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voicing, questioning, and responding. By subdividing each category into communication related to lesson content and communication related to class progression, a total of six different types were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 as communication related to lesson content, and trainee teachers showed difficulty in using class progression communication.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forms of class managements, such as small group- based classes and student-led class activities, required the appropriate use of class progression communication, while the effective use of lesson content communication, which comprises most of the class, was also a key factor in leading a successful class.

      • KCI등재

        대학생의 보고서 쓰기에 나타나는 시각 자료 사용 양상 - 복합양식 텍스트의 의미 구성을 중심으로

        백혜선 ( Paik Hyesun ),박소희 ( Park Sohee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9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학술적 보고서에 사용한 시각 자료의 유형과 사용 방식의 분석에 초점을 맞춰, 학술적 보고서에서 복합양식이 의미 구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사회 계열 27명, 이공 계열 27명 대학생들이 작성한 문헌 연구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보고서를 쓰기 위한 개요와 발표 자료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54명 학생 중 46명이 전체 100개의 시각 자료를 사용해, 학술적 보고서에 사용된 시각 자료는 한 편당 2.83개였으며 그래프와 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사용 방법과 관련해서 시각 자료는 대부분 논문이나 신문에 있는 자료를 차용해서 사용하고 있었으며 직접 제작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시각 자료와 글의 의미 관계는 적절한 관계가 82건으로 부적절한 관계 29건보다 세 배 정도 많았다. 적절한 의미 관계는 상보-증대(시각 자료 중심), 일치, 상보-상호증대, 상보-증대(글 중심)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 부적절한 의미 관계 유형으로 연결-불완전, 불일치, 연결-부재, 상보-불완전, 상보-정보과잉, 상충-해석오류, 연결-배치오류 등이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워드프로세서와 같이 시각 자료와 글 중심의 복합양식 텍스트 생성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각 양식의 특성을 고려해 적절한 의미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college students’ uses of visual resources in academic reports to examine multimodal meaning-making. To this end, academic reports submitted by 27 students from the humanities department and 27 students from the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outline and presentation materials they used to write their respective repor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46 out of 54 students used a total of 100 visual resources in academic reports, with 2.83 visual resources per student.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s of visual resources were tables and graphs. Regarding the ways of using visual resources, most students borrowed visual resources from academic articles or newspapers, and only a few created their own visual resources. The ideation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resources and text was divided into relevant and irrelevant. Relevant relationships included complementary-augmentation (visual-central), concurrence, complementary-mutual augmentation, and complementary-augmentation (text-central). Conversely, irrelevant relationships such as connection-imperfect, discord, connection-absence, complementary-imperfect, complementary-redundant, conflict-interpretation error, and connection-misplacement were revealed.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seeking educational methods to use multimodal texts appropriately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to better recognize that compound style text is frequently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 KCI등재

        대학생의 인터넷 자료 읽기에서 신뢰성 평가 양상

        백혜선(Hyesun Pa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evaluate the credibility Wiki sites. For this purpose, 286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on credibility-releated questions for Wikipedia and NamuWiki. Result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regarded Wikipedia as moderately credible, with an average of 3.25 for Wikipedia and 3.14 for NamuWiki. W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credibility evaluations between Wikipedia and NamuWiki, we found that Wikipedia was deemed more credible than NamuWiki for most questions, but NamuWik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easy to understand”.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dibility of wiki sites and college students' use of wiki sites, both source credibility and content credibi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We found that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credibility of wiki sites as “moderate” but used them for reasons of “newness” and “easy explan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ites and prepare educational measures on credibility evaluation in Internet reading. 이 연구는 대학생의 위키 사이트에 대한 신뢰성 평가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생 286명을대상으로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에 대한 신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은 위키백과는 평균3.25, 나무위키는 3.14로 보통 수준으로 신뢰성을 평가하고 있었다.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에 대한 신뢰성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위키백과가 나무위키보다 신뢰성이 높다고 보고 있었으나 ‘이해하기 쉬운 설명’에서는 나무위키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위키 사이트에 대한 신뢰성 평가와 대학생의 위키 사이트 이용과의 관계를 보았을 때는 출처 신뢰성과 내용 신뢰성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들은 위키 사이트의 신뢰성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나‘최신성’과 ‘쉬운 설명’의 이유로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키 사이트인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에 대한 신뢰성 평가 차이 등을 고려하여 인터넷 사이트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읽기에서 신뢰성 평가에 대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A rare case report of pseudomyopia after impacted teeth extrac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Kim, Ji Hong,Paik, Hyesun,Ku, Jeong-Kui,Chang, Na-Hee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 2022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48 No.5

        Ophthalmic complications after tooth extraction are rare but discomforting events. This paper reports the rare complications of a 20-year-old 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transient blurring of vision after surgical extraction of several teeth under general anesthesia. Additional diagnostic tests were performed to discern the reason for the pseudomyopia. A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by searching for articles published from 1936 to 2019 using the keywords "dental," "ophthalmic," "complication," "blurring of vision," and "accommodation disturbance" in PubMed. Only six patients with detailed ophthalmic symptoms similar to those of our patient have been reported. If blurred vision or a myopic shift in refraction is present, pseudomyopia should be suspected, and cycloplegic refraction is essential for diagnosis. The condition improves spontane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