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言論의 煽情主義變遷에 관한 史的硏究 : 新聞을 中心으로

        朴許植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istorical changes in sensationalism of Korean mordern newspapers including from the Dokripshinmoon ("the Independent Newspaper" founded in 1896) to present newspapers. The Dokripshinmoon is a well Known representative first started Korean mordern type newspaper. The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are sampled among these Korean mordrn newspapers from the yeas of 1896 to pres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Sensationalism during the periods of 1896~1954, which are from after the first publications of Dokripshinmoon to till before appearing the Hankookilbo (the Korea Daily Newspaper) were appeared with noncommercial motives of political independence and therefore can be characterized as a political sensationalism. 2) On the other hand, sensationalism during the periods of 1954~1968 is motivated and based on normative or negative commercialism which is characterized as going abreast of entertainment - focusing sensationalism ristricted within content not to violate moral ethical norms and traditional political sensationalism. In the year 1954, the Hankookilbo was founded under defining a newspaper as commodities and in 1968 many sensational weekly magazines were begun to be published by various daily newspaper agencies. 3) From 1968 to present, sensationalism have been motivated by real commercialism resulted from the qualitative changes in regard to industrial socialization in one hand and the high degree of government's press control in the other. The characteristic sensationalism in this period can be marked as demoralized entertainment - focusing sensationalism which eliminate political sensationalism at maximum level. These results suggest us that follow; 1) Sensationalism can not be resulted from commercialism. In the other words, commercialism is not a unigue cause of sensationalism. 2) Under specific conditions like in case of colonical government, political sensationalism is usually evaluated by the audiences as patriotic movement. In this case, political sensationalism is used to be out of its social disfunctions. 3) In order to understand sensationalism more systematically, forming motives of sensationalism and characteristics of topics used for sensationalism should be studied in relation to various social variables.

      • KCI등재

        한국문학사 서술의 정치적 무의식

        허병식(Huh Byung-shik)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문학의 역사라는 맥락에서 사건과 텍스트를 다루는 서술성의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서술이 지니는 어떤 속성을 사건들에 부여하고자 하는 보편성에 대한 요구는 거의 모든 한국문학사가 기반으로 삼고있던 가장 강력한 정치적 무의식이다. 한국문학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서술성의 문제를 살피려는 이 글에서 가장 먼저 대면해야 하는 것이 문학사가 지닌 이러한 역사 서술의 방법론이 기반하고 있는 보편성이다. 따라서 이 보편성의 문제를 역사의 진보를 향한 직선적 서술과 연관시켜 살피고, 최근의 역사 구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함으로서 문학사 서술의 근본적인 조건을 되묻고자 하였다. 문학사 기술이 서구적 보편에 깊이 의지하고 있다는 역설은 그들이 상정하고 있는 문학사의 발전론과 관련해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시대와 사회의 변화=진보에 기반하여 서술하는 방식은 한국문학사에서 매우 뿌리깊은 방법론이다. 인류의 삶과 문화의 결과들을 진보하는 생명의 유비로 파악하는 관점은 종종 다윈주의로 불리는 불리는 사회적 진화론에 바탕하고 있다. 생명 전체의 전체적인 특성을 진보로 파악하고, 인류의 문화도 이와 마찬가지의 진보를 이룰 것이라는 관점은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에도 핵심적으로 개입해 있는 무의식과도 같다. 그러나 단일한 목소리와 진보의 이념에 기반한 ‘큰 이야기’로서의 문학사는 어쩌면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문학사의 의미망을 설정하기 위해 주체와 합리성에 의존하려는 것이 지금까지의 문학사가 보여준 관점이었다면, 이후로 가능한 문학사는 이질적인 기호들을 하나의 사건으로 인식하는 각각의 주제론들의 분열적 서술로 이루어져야 할지도 모른다.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possible meanings of descriptiveness that covers events and texts in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Demands for universality of applying certain descriptive nature to certain events indicate a strongest part of political unconsciousness on which almost all aspects of Korean literary history were based. Before examination into the issue of descriptiveness shown in historical description of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should first face the universality as a foundation for such approach of literary history to historical descrip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estions of universality in associations with linear description toward the progression of history, and was also to examine theoretical discussions on latest historical composition, so that it could find out any answer again to questions about fundamental conditions of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a paradox of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relying deeply on Western universal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theory of literary history as assumed basically by the world of Korean literary history. One of very deep-rooted approaches adopted in Korean literary history is a description about literary history development based on progression that is represented by historical and social change. The viewpoint about the outcomes of human life and culture as analogy of progressive life is often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alled Social Darwinism. The viewpoint that considers overall characteristics of life as progression and believes progression of human culture in future reflects unconsciousness intervened critically in the periodiza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However, the literary history as ‘a major narrative’ based on uniform voice and progressive ideology may have been impossible from the outset. Conventional literary history has shown its viewpoints toward dependence on subjectivity and rationality to set a semantic network of literary history, whereas future literary history should possibly consist of divisive descriptions about respective thematic theories that consider heterogeneous signs as one event.

      • KCI등재

        분단 디아스포라와 재일조선인 간첩의 표상

        허병식(Huh, Byung Shik)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3 No.-

        간첩이 분단 디아스포라를 상징하는 존재라고 한다면, 북한과 남한 사이에 끼인 존재로 일본이라는 타자의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재일조선인의 위치는 그 분단 디아스포라의 가장 깊은 모순을 드러내는 자리에 서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반공주의를 통해 대중들의 감수성을 규율하고 장악하려 했던 남한 정권의 전략이 간첩과 관련된 여러 표상과 서사를 생산하고 있었다면, 그 간첩의 표상 중에서도 가장 상징적인 존재로 떠오른 대상들은 재일조선인이라는 이방인들이었다. 재일조선인 간첩의 이야기는 분단 디아스포라의 표상인 간첩이라는 혐의가 재일조선인에게 벗어날 수 없는 질곡이라는 점을 알게 해 준다. 본래 간첩이 사이를 들여다보는 존재를 의미했다면, 재일조선인이야말로 냉전기 남한의 극우반공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남과 북의 틈새에 끼인 존재가 되어 버린 것이다. 그들은 대한민국이라는 반공국가 구성의 과정에서 버려진 존재들이었고,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소속을 상실하여 간첩의 협의를 지니게 된 자들이었다. 80년대 이후의 한국문학은 재일조선인 간첩만들기에 대한 이데올로기 비판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행보를 보여주었다. 윤정모의 『님』은 당대에 만연한 반공주의가 재일조선인의 표상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명하게 제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이 재일조선인과 관련된 두 개의 국가, 남과 북의 존재를 인정하려 하면 할수록, 그들이 살고 있는 나라인 일본에 대한 적대는 더 심각해진다. 은희경의 『마이너리그』는 유신세대의 성장기와 인생유전을 조명하며 재일조선인 간첩단 사건을 냉소적으로 첨부한다. 반공주의와 더불어 성장기를 보낸 인물들의 삶의 조건 속에서 재일조선인 간첩단 사건의 에피소드는 시대에 대한 풍자와 더불어 인간 삶의 한없는 초라함을 조명하는 도구로 작동하고 있다. 조해진의 「사물과의 작별」은 반공주의라는 이데올로기 비판을 수행하면서도 80년대 소설인『님』이 보여주고 있는 완강한 민족주의 정서를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The spy is a symbol of the diaspora. It can be said that the position of the Korean-Japanese residing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living in the land of other nations, both South and North, stands at the position of revealing the deepest contradiction of the division diaspora. If the South Korean regime`s strategy to regulate and control the sensibility of the masses through anticommunism was producing various representations and narratives related to spies, the most symbolic of the spies were the Koreans who wer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story of a Korean spy in Japan makes us realize that the accusation of being a spy who is representative of the diaspora in Korea can not be escaped to the Koreans in Japan. Originally, if a spy meant to look into the gap, Koreans in Japan would have become trapped in the ga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atmosphere of the Cold War anti-communist society of South Korea. They were abandoned beings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 of the anti-communist state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the 1980s, Korean literature has shown meaningful progress in that it has criticized ideology for the creation of a Korean spy in Korea. Yoon Jung-mo`s 『You』 clearly shows how anti-communism prevalent in the present day is acting o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s in Japan. However, the more they try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two nations, the South and the North, related to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more hostile the country they live in, Japan. Eun Hee Kyung`s 『Minor League』 cynically attaches to the case of the Korean reporter in Japan, illuminating the growing period and the hereditary heritage of the Yu-shin gen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lives of the characters who have grown up with anti - communism, the episode of the Korean reporter"s case in Japan is working as a tool to illuminate the infinite chaos of human life along with the satire of the times. Cho Hae-jin`s “farewell to things” shows an important change in that he is escaping the stubborn nationalist sentiments of the 80s novel, 『You』, while criticizing the ideology of anti-communism.

      • KCI등재

        식민지 청년의 심경과 근대도시의 보행법 : 박태원의 『청춘송』을 중심으로

        허병식(Huh, Byung Shik) 동악어문학회 2019 동악어문학 Vol.78 No.-

        박태원의 첫 장편인 『청춘송』은 1935년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되다가 중단되어 미완으로 남은 작품이다. 이 작품의 연재가 중단된 것은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항의로 인한 것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청춘송』이 독자에게 흥미를 주지 못했다면, 그것은 자못 흥미로울 수도 있었을 여러 청년들의 연애담이 오히려 그 전개의 지지부진함과 정념의 어긋남으로 인해 서사에 긴장감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어긋나고 지연되는 연애로 인하여 고립되고 고독감을 느끼는 인물들의 이야기는, 박태원 소설의 본령과도 같은 것이다. 『청춘송』의 주인공들은 일본 상권의 핵심이던 미쓰코시와 미나카이의 내부로 거침없이 진입한다. 이들은 이 혼부라를 근대적 청년의 조건과도 같이 생각하였다. 청계천을 경계로 하여 조선인들이 거주하는 북촌과 일본인들이 활동하는 남촌으로 나뉘어져 있던 당시 경성의 도시구획에서 미쓰코시, 미나카이, 조지야 백화점 등이 모여 있던 남촌은 근대 자본주의의 화려함을 보여주는 진열장과도 같았다. 명숙과 향훈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은 이 본정통의 중심으로 자유롭게 활보하고 미쓰코시와 미나카이와 조지야의 상품들과 옥상정원을 드나들며 연애를 탐색하기 시작한다. 『청춘송』은 박태원 작품의 특징인 사소설적인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박태원의 단편들에 나타났던 작가와 주변인물들의 맨얼굴에 대한 차용은 이 작품에서도 엿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의 신장과 자아의 발양이 그대로 인류의 의지와 통한다고 사고하는 주체의 대담한 자기표백적 문학’인 사소설 양식의 영향을 드러내는 것이다. 여기에는 또한 식민지 청년의 일상을 옥죄고 있던 당대 식민권력의 규율의 작동이 유감없이 제시되고 있다. Park Tae-won"s first feature, “Song of youth”, is an unfinished work that was suspended in 1935 in The Chosun Joongang Ilbo. It is known that the interruption of this work was due to protests by readers about the work. If the youth song Song did not interest the reader, it might be because the love stories of the young people who might have been interesting might not be able to give tension to the narrative because of the lack of support of the unfolding and the deviation of the mind. However, the story of characters who are isolated and lonely because of delayed and delayed love is the same as that of Park Taewon Novel. The main characters of the “Song of youth” enter the inside of Mitsukoshi and Minakai which were the core of the Japanese commercial area. They thought of this walk(Honbura) as the condition of a modern youth. Namchon, Minakai, and Georgetown Department Stores, which were divided into Bukchon where the Koreans reside and Namchon where the Japanese are active, were divided into Cheonggyecheon as a boundary, and it was like a showcase showing the splendor of modern capitalism . The characters including Myeong Sook and Jonghoon walk freely at the center of this orthodoxy and begin to explore love through the products of Mitsukoshi, Minakai and Georgian, and rooftop gardens. “Song of youth” regretfully show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Park Tae-won"s work. The borrowing of the face of the writer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that appeared in the fragments of Park Taewon is also praised in this work. This tendency is to reveal the influence of the "self-bleaching literature", which is the bold, self-bleaching literature of the subject who think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are the same as the will of mankind. There is also a resurgence of discipline in the colonial power of the day, which was condemning the daily life of the colonial youth.

      • KCI등재후보

        식민지 지식인과 그로데스크한 교양주의

        허병식(Huh Byung Shik)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2 No.-

        이효석의 『화분』과 『벽공무한』은 1940년대 식민지 엘리트의 교양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텍스트이다. 이효석은 조선문학이 지방성을 토대로 한 국민문학이 아니라 세계문학으로 나아갈 것을 역설하고, 이같은 견해를 그의 두 장편 속에 재현된 지식인의 행위와 욕망 속에 투사하고 있다. 『화분』과 『벽공무한』에 나타나는 심미주의적 국경 넘어서기의 서사는 식민주의자들의 거짓된 기대와 환상의 창조, 바로 그것의 거울상이다. 제국주의는 단순한 축적과 획득의 행위와 그 결과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와 지식이라는 형태에 의해 지원되고 추인되는 행위이다. 이 때 문화와 지식이 가장 강력한 제국주의의 동력학으로 작동한다. 이효석의 장편은 그러한 제국과 문화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이효석의 소설에는 서양숭배와 엑조티시즘에 내재한 성의 위계질서가 자리잡고 있다. 이효석은 관능적인 엑조티시즘을 환기하는 공간임이 명백한 『화분』의 ‘푸른 집’을 통해 자신의 이국취미와 에로티즘의 관련을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또한 그는 『벽공무한』에서 ‘나아자’라는 미모의 러시아 여성을 등장시켜 엑조티시즘과 에로티즘이 결합된 서양숭배를 강화하고 있다. 이 서양 숭배는 철저한 성의 위계를 상정하고 있으며 그것이 또한 교양주의와 관련을 맺고 있다. 서양숭배와 엑조티시즘과 성의 위계에 기초한 이 그로데스크한 교양주의는 경성제국대학 출신의 식민지 학력엘리트 작가들의 멘탈리티와의 관련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Lee Hyo-seok's 『Hwabun(flowerpot)』 and 『Byeokgongmuhan(碧空無限)』 are the interesting texts in a sense that can observe recognition on colonial elites' culture in the 1940s. Lee Hyo-seok emphasizes that the Chosun literature will need to advance to the world literature, not the national literature based on locality, and is projecting this opinion into the intellect's behavior and desire, which were revived in his two long pieces. The aesthetic description of passing over the national boundary, which is shown in 『Hwabun』 and 『Byeokgongmuhan』, is just the mirror image of creation in colonialists' false expectation and fantasy. Imperialism is not what designates the behavior and its results in simple accumulation and acquisition, but is the behavior that is supported and ratified by the form called culture and knowledge. At this time, culture and knowledge function as the most powerful dynamics in imperialism. Lee Hyo-seok's long piece is situated in such boundary of empire and culture. In Lee Hyo-seok's novel is positioned the Western worship and the hierarchy in gender, which is immanent in exoticism. Lee Hyo-seok clearl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exotic taste and erotism through 'green house' in 『Hwabun』 that is clear in being the space of stirring up sensual exoticism. Also, he allowed a beautiful Russian woman named 'Naja' to appear in 『Byeokgongmuhan』, thereby stepping up the Western worship, in which the exoticism and the erotism are combined. This Western worship is presenting the thorough hierarchy in gender. That is also related to culturalism. This grotesque culturalism, which is based on Western worship, on exoticism, and on hierarchy in gender, needs to be grasped amidst the relationship with mentality in writers who are colonially-academic elites from Gyeongseong(Seoul) Imperial University.

      • KCI등재

        부정적인 이름과 함께 머무는 방식에 대하여 : 해방 후 소설에 나타난 이광수 표상

        허병식(Huh, Byung-Shik)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5 No.-

        이 글에서는 김동리에서 복거일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이름으로 기억되는 이광수를 각자의 자리에서 다시 불러내는 서사들의 일단을 살펴보았다. 무엇이 그들 각자의 서사에서 이광수라는 이름을, 그 부정성을 다시금 불러내도록 만들었는가를 확인해보고자 한 것이 이 글의 목적이었다. 김동리는 친일의 부정적 이미지를 완화시키고 그 부정의 자리에 공산주의를 내세워서 민족의 이념을 새롭게 구성하고자 하는 기획에서 친일파를 동원한다. 그는 이광수라는 이름 대신 심재영이라는 가상의 이름을 내세웠는데, 친일파 처리를 적극적으로 사유하면서도 그들을 위한 변명의 논리는 제대로 내세우지 못하고 있다. 『해방』에서 친일파 처리라는 문제는 서사의 후면에서 돌출했다가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사라지고 말았다. 해방 후 20년이 지나고 일본적인 것들의 재귀가 자연스러운 것이 되었을 때, 선우휘는 이광수라는 이름을 자신의 작품에서 호명하며 그를 위한 적극적인 변호를 수행하고 있다. 다른 사람들을 대신하여 자신이 짐을 진 존재, 대속자의 표상으로 이광수를 등장시키고 있는 선우휘의 전략은, 해방 이전의 민족주의를 해방 후의 반공주의와 연계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또한 이데올로기적인 것이다. 최인훈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서 이광수를 지속적으로 호명한 작가이다. 『태풍』에서 그는 이광수라는 민족주의자이자 대일본주의자의 존재를 부정적인 지표로 삼아서 민족주의로 회귀하지 않고 다른 아시아의 식민지의 정체성을 택하여 대안적인 아시아주의로 나아가는 주체의 여로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택은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에 와서 다시금 새로운 지도의 제시로 이어지면서 거부된다. 복거일은 자신의 주인공 기노시다로 하여금 이광수적인 친일의 길을 부정하면서 잃어버린 민족의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 문제적 주인공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었는데, 이는 이전까지 자신이 지니고 있던 일본적 정체성에 대한 강한 열망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 국가라는 기표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찬 것이라는 점에서 『태풍』의 오토메나크의 길과 정면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이 네 명의 작가가 이광수라는 이름을 호명하고, 그의 친일 행적을 기억하는 방식은 서로 상이하지만, 그것을 또한 자기 자신의 이데올로기적 선택 속에서 민족을 상상하는 방식의 하나라는 점에서 중요한 공통점을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들이 이광수라는 부정적인 이름을 자신들의 작품에서 불러낸 것은 근대문학의 기원이자 텅빈 공허 속에 이광수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지만, 또한 그 이름이 민족에 대한 상상적 열망을 대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민족의 표상을 옹호하거나 부정하는 방식은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지표를 드러내면서 또다른 민족에 대한 상상을 낳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thesis examines a group of narratives that recall Lee Kwang-soo, who is remembered by a negative name, from Kim Dong-ri to Bok Geo-i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check what made the name Lee Kwang-soo, and its negativity, recalled in their respective narratives. Kim Dong-ri mobilizes the pro-Japanese faction in a project to alleviate the negative image of pro-Japanese people an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ideology by putting communism in the place of negation. He put forward the fictitious name of Shim Jae-young instead of Lee Kwang-soo, and while he actively thought about the pro-Japanese treatment, he did not properly put forward the logic of excuses for them. In Liberation, the problem of pro-Japanese treatment protruded from the back of the narrative, but disappeared without finding a solution. Twenty years after liberation, when the recursion of Japanese things became natural, Seonwoo hwi calls the name Lee Kwang-soo in his works and is actively defending him. Seonwoo hui"s strategy of making Lee Kwang-soo appear as a substitute for his burden on behalf of others is also ideological in that he links nationalism before liberation with anti-communism after liberation. Choi In-hoon is a writer who consistently called Lee Kwang-soo through his works. In Typhoon, he uses the existence of a nationalist and anti-Japaneseist named Lee Kwang-soo as a negative indicator, and presents the path of the subject moving toward alternative Asianism by choosing the identity of another Asian colony rather than returning to nationalism. This choice is rejected as it leads to the presentation of a new map in In Search of the tombstone of Bok Geo-Il. Bok Geo-il made his protagonist Ginoshida take on the role of a problematic protagonist who denies Lee Kwang-soo"s pro-Japanese path and sets off in search of a lost national identity. In that it is full of aspirations for the signifier of a nation that can be said to be fundamentally the same, it is a direct response to the path of Otomenak in Typhoon. Although these four artists have different ways of calling the name Lee Kwang-soo and remembering his pro-Japanese activities, they also reveal important commonalities in that they are also a way of imagining the nation in their own ideological choices. Above all, the reason that they called out the negative name of Lee Kwang-soo in their works is because of the origin of modern literature and Lee Kwang-soo"s place in the empty void, but it can also be judged that the name represents the imaginary aspiration for the nation. The way of defending or denying the representation of that nation has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creates the imagination of another nation while revealing their ideological indicators.

      • KCI등재

        환멸의 현실과 휴머니즘의 행방 이범선의 『흰 까마귀의 수기』를 중심으로

        허병식 ( Huh Byung-shik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이범선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향후 이어질 연구에서는 아직 조명되지 않은 장편소설에 대한 연구가 보다 면밀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그의 장편소설을 전체 작품세계의 맥락과 연결지어 논의하는 것이 이범선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 글에서는 이범선의 마지막 장편인 『흰 까마귀의 수기』를 중심으로 이소설에 나타난 이범선 문학의 세계를 중단편 소설과 연계하여 살피며 이범선 문학의 특질을 조명해 보았다. 이범선 소설에 대한 평가는 사회와 국가로부터 배반당한 경험으로 인해 인간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면서도 공동체와 인간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휴머니즘에 대한 자기 확신을 잃지 않는 것이 그의 문학의 주요한 성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범선의 마지막 장편인 『흰 까마귀의 수기』에서 사회와 인간을 향해서 문을 닫고 무관심을 유지한 채 외국인처럼 이 거리에서 살아왔다고 말하는 화자의 상태는 이범선 작품의 성취를 그 근본부터 뒤흔드는 새로운 문제의식의 제시라고 볼 수 있다. 이 휴머니즘의 행방을 추적하는 것은 『흰 까마귀의 수기』만이 아니라 이범선의 작품세계에 대한 새로운 평가의 단초가 될 것이다. 이 반휴머니즘 선언과 같은 서사의 결말은 그러나 어쩌면 이범선 자신이 스스로의 문학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면서 그것을 근본으로부터 새롭게 쇄신해 가고자 한 웅숭깊은 시선과 비범한 도전의 결과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해방 후 한국문학에 나타난 휴머니즘 담론의 맥락에서 보자면, 이범선의 문학은 공산주의의 야만성을 규탄하거나 그들로부터의 피해를 강조하는 입장을 벗어나서, 인간 사회의 근본적인 모습을 성찰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이범선 소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근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on Lee Beom-seon's literature has been mainly focused on short stories. In future studies, studies on Novels that have not yet been illuminated should be carried out more closely. In particular, discussing his novels in connection with the context of the entire world of works is a very important task in the study of Lee Beom-seon. In this article, focusing on Lee Beom-seon's last Novel, The Note of the White Crow, I examined the world of Lee Beom-seon's literature that appeared in this novel in connection with the short story,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ee Beom-seon's literature. The evaluation of Lee Beom-seon's novels is that his literature's major achievement is that he does not lose his confidence in humanism through the exploration of community and humanity while revealing distrust of human beings due to the experience of being betrayed by society and the state. However, in Lee Beom-seon's last feature, The Note of the White Crow, the state of the narrator who says that he has lived in this street like a foreigner, shutting the door toward society and humans and maintaining indifference is a new problem that shakes the achievement of Lee Beomseon's work from its roots. It can be seen as a presentation of consciousness. Tracking the whereabouts of this humanism will be the beginning of a new evaluation of the world of Lee Beom-seon's work, as well as the Note of the White Crow.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nding of the narrative such as this anti-humanism declaration may be the result of an extraordinary challenge and a daunting gaze that Lee Bum-seon himself attempted to renew his literature completely from the root. In addition,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of humanism that appeared in Korean literature after liberation, it is worth noting that Lee Bum-seon's literature reflects on the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society, rather than condemning the barbarismof communismor emphasizing damage fromthem. Understanding this correctly may be another important basis for an integrated analysis of Lee Bum-seon's novels.

      • KCI등재

        포로의 귀환과 식민지 조선청년의 아이덴티티 수행

        허병식(Huh, Byung Shik)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아시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일본 육군성은 조선인과 타이완인을 포로수용소 감시원으로 모집할 계획을 세웠다. 미영 포로들의 경계감시를 위해 조선인 및 타이완인 포로감시원을 모집한다는 광고가 신문에 대대적으로 실리자, 이에 호응하여 많은 수의 지원자가 몰려들었다. 이들 지원병들은 이후 남양으로 가서 포로감시원이 되었다가 종전후 전범으로 재판을 받게 된다. 조선인이 일본제국의 질서 하에서 다른 모든 개인과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개인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그 제국 권력에 의해 구성된 국민의 아이덴티티를 자신의 것으로 삼는 수밖에 없었다. 문화적으로 일본인이 되기 위해 제국의 신민을 자임하는 것은 조선인의 욕망충족에 불가피한 아이덴티티의 수행(遂行)이었던 것이다. 이 수행이 불러온 대가는 일본인의 전쟁 책임을 조선의 지원병과 군속들이 함께 감당해야 했다는 것이다. 일본인으로부터 분리되려는 노력과 민주주의의 소양을 갖춘 근대인이 되기 위해서 계몽에 힘쓰는 모습은 종전을 맞이한 식민지의 청년이 선택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활로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선택에 숨어 있는 근대의 모순에 대해서도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원이라는 이름 속에 강제로 전장으로 끌려온 식민지 청년들의 내면 속에 제국의 주체가 되기위한 욕망이 자리잡고 있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면, 비로소 일본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국민되기를 염원하는 청년들의 아포리아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fter the outbreak of the Asia-Pacific War, The Army Ministry of Japan planned to recruit prisoner watchmen from among Joseon people and Taiwanese people. When lots of ads were put in the newspaper to recruit Joseon and Taiwanese people to keep a watch on American and British prisoners, a lot of people applied for that position. Joseon people had no choice but to have the Japanese identity to be acknowledged as ones who were as equal as other people during Japanese occupation. Imitating Japanese people and behaving in a manner to be more like Japanese than Japanese people themselves could be said as the performativity of identity, which was unavoidable for Joseon people who desired to be treated as Japanese people. And they had to pay for that by being responsible for the war with Japanese people together. It seemed natural for contemporary young people to choose to stay away from Japanese people and to enlighten themselves to become well-cultivated democratic modern people after the war. At this point of time, however, it"s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contradiction of modern times that were behind such a choice. If it couldn"t be denied that the young people of the colony who ostensibly went to war as volunteers but actually were forced to do that had an implicit desire to succeed in life, it"s now time to speak about the aporia of the young people who yearned to keep away from Japanese people to become part of a new people.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