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umor-suppressor Protein p53 Sensitizes Human Colorectal Carcinoma HCT116 Cells to 17α-estradiol-induced Apoptosis via Augmentation of Bak/Bax Activation

        Cho Rong Han(한초롱),Ji Young Lee(이지영),Dongki Kim(김동기),Hyo Young Kim(김효영),Se Jin Kim(김세진),Seokjoon Jang(장석준),Yoon Hee Kim(김윤희),Do Youn Jun(전도연),Young Ho Kim(김영호)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10

        17α-estradiol (17α-E₂)의 에폽토시스 유도활성에 미치는 종양억제단백질 p53의 조절효과를 조사하고자, 17α-E₂에 의해 유도되는 에폽토시스 현상들을 인체 대장암 세포주 유래 클론인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에서 비교하였다.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를 17α-E₂ (2.5~10 μM)로 처리하거나 혹은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를 10 μM 17α-E₂로 시간 별로 처리한 결과, HCT116 (p53+/+)에 있어서는 세포독성과 에폽토시스-관련 sub-G₁ peak의 비율은 처리농도와 시간에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CT116 (p53-/-) 세포의 경우는 이러한 현상이 미약하게 나타났다. 17α-E₂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적 유사분열방추사 형성, 중기판 염색체 배열의 미완성, 이에 따른 유사분열정지(G₂/M arrest) 등의 현상은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17α-E₂에 의해 유도되는 Bak과 Bax의 활성화,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상실(Δψm loss), 그리고 PARP 분해 등의 현상은 HCT116 (p53-/-) 세포에 비해 HCT116 (p53+/+) 세포에서 훨씬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17α-E₂로 처리된 HCT116 (p53+/+) 세포에서 확인되는 p53 (Ser-15)의 인산화 및 p53 수준의 증가와 일치하여, 세포 내의 p21및 Bax 수준도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때 17α-E2로 처리된 HCT116 (p53-/-) 세포에서는 p21 및 Bax의 발현수준이 매우 낮았다. 한편, 에폽토시스 억제단백질인 Bcl-2 단백질수준은 HCT116 (p53-/-) 세포에 비해 HCT116 (p53+/+) 세포에서 다소 낮았으나, 이러한 Bcl-2 단백질 수준은 17α-E₂ 처리 후에도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17α-E₂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에폽토시스 유도 경로의 구성원들의 변화, 즉 비정상적 유사분열방추사 형성 및 이에 따른 유사분열정지(G2/M arrest), 뒤이은 Bak 및 Bax의 활성화,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상실,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caspase cascade 활성화 및 PARP 분해로 진행되는 에폽토시스 현상들 중에서, Bak 및 Bax의 활성화 단계가 종양억제단백질 p53의 에폽토시스 증진 활성에 의해 양성적으로 조절되는 작용 타켓임을 보여준다. The regulatory effect of the tumor-suppressor protein p53 on the apoptogenic activity of 17α-estradiol (17α-E₂) was compared between HCT116 (p53+/+) and HCT116 (p53-/-) cells. When the HCT116 (p53+/+) and HCT116 (p53-/-) cells were treated with 2.5~10 μM 17α-E₂ for 48 h or with 10 μM for various time periods, cytotoxicity and an apoptotic sub-G₁ peak were induced in the HCT116 (p53+/+)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HCT116 (p53-/-) cells were much less sensitive to the apoptotic effect of 17α-E₂. Although 17α-E₂ induced aberrant mitotic spindle organization and incomplete chromosome congregation at the equatorial plate, G₂/M arrest was induced to a similar extent in both cell types. In addition, 17α-E₂-induced activation of Bak and Bax, Δψm loss, and PARP degradation were more dominant in the HCT116 (p53+/+) than in the HCT116 (p53-/-) cells. In accordance with enhancement of p53 phosphorylation (Ser-15) and p53 levels, p21 and Bax levels were elevated in the HCT116 (p53+/+) cells treated with 17α-E₂. The HCT116 (p53-/-) cells exhibited barely or undetectable levels of p21 and Bax, regardless of 17α-E₂ treatment.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level of Bcl-2 was slightly lower in the HCT116 (p53+/+) than in the HCT116 (p53-/-) cells, it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after the 17α-E₂ treatment.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17α-E₂-induced apoptotic-signaling pathway, which proceeds through mitotic spindle defects causing mitotic arrest, subsequent activation of Bak and Bax and the mitochondria-dependent caspase cascade, leading to PARP degradation, 17α-E₂-induced activation of Bak and Bax is the upstream target of proapoptotic action of p53.

      • KCI등재

        Pro-apoptotic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Grains on 3T3-L1 Preadipocytes

        Do Youn Jun(전도연),Ji Young Lee(이지영),Cho Rong Han(한초롱),Kwan-Pil Kim(김관필),Myung Chul Seo(서명철),Min Hee Nam(남민희),Young Ho Kim(김영호)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5

        항 비만 활성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국내산 8종의 잡곡으로부터 80% 에탄올 추출물을 확보하여 마우스 3T3-L1 전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기장이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장 에탄올 추출물을 다시 메칠렌 크로라이드, 에칠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단계 추출하여 각 유기용매 추출물을 확보하고 각 추출물의 항 비만 활성소재를 3T3-L1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능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장의 부탄올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유도기간(6일) 동안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보다 중성지방 축적을 약 50.3%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강한 항비만 활성 분획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기장 부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은 지방세포 분화유도인자(C/EBPα와 PPARγ)의 초기 발현을 억제하여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나아가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aP2 와LPL)의 발현까지도 저해함을 알았다. 그리고 기장의 부탄올 추출물은 25 μg/ml 농도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저해하지만 50 μg/ml농도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Δψm)를 변화시키고, caspase-3 활성화와 PARP 분해를 유도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장이 항비만 소재를 가진 우수한 잡곡으로서 비만 관련 질환 예방에 우수한 식소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o examine the anti-obese activity of miscellaneous cereal grains, 80% ethanol extracts from eight selected miscellaneous cereal grains were compared for their cytotoxic effects on 3T3-L1 murine preadipocytes. The ethanol extract of proso millet exhibited the highest cytotoxicity. Further fractionation of the ethanol extract with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and n-butanol showed that the cytotoxic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mainly partitioned into the butanol fraction. As compared with differentiated mature adipocytes, 3T3-L1 preadipocytes were more susceptible to the cyctotoxicity of the butanol fraction. When each organic solvent fraction (25 μg/ml) was add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period for 6 days, the cell viability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except for the butanol fraction, but th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declined to a level of 81.5%~50.3% of the control. The Oil Red O staining data also demonstrated that the ethanol extract as well as the butanol fraction could inhibit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nto mature adipocytes. The presence of the butanol extract during the induced adipocytic differentiation also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ression levels of critical adipogenesis mediators (C/EBPα, PPARγ, aP2, and LPL) to a barely detectable or undetectable level and the cells retained the fibroblast-like morphology of 3T3-L1. In 3T3-L1 cells, the cytotoxicity of the butanol fraction (50-100 μg/ml) was accompanied by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Δψm) loss, caspase-3 activation, and PARP degrad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so millet grains possess pro-apoptotic and anti-adipocytic activities toward adipocytes, which can be applicable to prevention of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