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Range-LIL: RF beamforming 무선충전을 위한 저지연 실내위치인식 기법
김창현(Changhyun Kim),김동완(Dongwa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원거리 무선충전을 위해 RF 빔포밍 무선충전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RF 빔포밍 무선충전방식은 IoT 디바이스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위치인식을 위한 연산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IoT 디바이스가 이동성을 가질 경우 에너지 효율 문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충전을 위한 저지연 실내위치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단일 Access Point(AP)를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최대지점, 최소지점을 파악하여, 두 지점의 사이를 IoT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인식한다. 기존기법대비 FLOPs가 약50% 감소하여 위치인식 소요시간이 줄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디바이스가 1m/s로 움직이는 환경에서, 제안기법을 활용한 위치인식 시 RF 빔포밍 무선충전 가능 확률이 기존기법 대비 20.4%증가함을 증명하였다. The RF beamforming WPT(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s being researched for far-field WPT. The WP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oT device, so it takes time to calculate for indoor localization. This method has a WPT efficiency problem when the IoT device has mo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d a low latency indoor localization scheme for RF beamforming WPT. The proposed scheme uses a single access point to find the maximum and minimum points that IoT devices can be located. We defined that IoT devices can be located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points. By removing AoD(Arrival of Departure) method for indoor localization, FLOPs(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 is reduced about 50%, which reducing indoor localization time. We proved that the probability of RF beamforming WPT using the proposed scheme increase by 20.4% in an environment where the device moves at 1m/s.
데이타베이스 공유 시스템에서 병렬 해쉬 조인 알고리즘의 구현
김창현(Changhyun Kim),조행래(Haengr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기존에 제안된 대부분의 병렬 조인 알고리즘들은 데이타베이스가 여러 처리 노드에 분할되어 저장되는 데이타베이스 분할 시스템을 가정하였다. 데이타베이스 분할 시스템은 다수의 노드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지리적으로 분산된 환경도 지원할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데이타베이스 공유 시스템에 비해 부하 분산이나 시스템 가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베이스 공유 시스템에서 병렬 질의 처리기를 위한 병렬 해귀 조인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타베이스 공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도록 병렬 질의 처리기를 구성하고 병렬 해쉬 조인 알고리즘의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 한다.
김창현(Changhyun Kim),이강수(Kangsoo Lee),박재인(Jaein Park),백제현(Jehyun Bae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Diesel engine injector is used for spraying the fuel into the cylinder chamber. Complex phenomenon like cavitation occurs from small scale of injector nozzle and high pressurized fast flow field. Flow inside the nozzle affects whole engine performance including combustion and exhaust proces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low inside the injector nozzle is very important. In the injector, the needle moves in vertical direction and controls the injection. Flow field inside the nozzle and nozzle outlet characteristics will be varied from the position of the needle. Because of small nozzle size and complex flow field, experimental approach is difficult. In this study, by using commercial code and mesh deformation technique, unsteady flow inside the nozzle and nozzle outlet characteristics can be analyzed. As a result, the complex flow field is placed inside the nozzle and especially, cavitation occurs at the upper side of nozzle inlet from the pressure drop below the vapor pressure. The characteristics at nozzle inside and outlet are varied as needle moves up and down. Subsequent processes, combustion and exhaust, can be predicted accurately by using the way discussed in this paper and to conclude, whole engine performance can be predicted and improved.
인젝터 노즐 형상이 노즐 내부 유동 및 출구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창현(Changhyun Kim),이강수(Kangsoo Lee),박재인(Jaein Park),백제현(Jehyun Bae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1 No.6
Diesel engine injector is used for spraying the fuel into the cylinder chamber. Complex phenomenon like cavitation occurs from small scale domain, highly pressurized condition and rapid injection. Flow inside the nozzle affects the whole engine performance including combustion and exhaust,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low inside the injector nozzle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cylindrical and convergent-divergent nozzles are suggested for nozzle types and their influences on nozzle internal flow and nozzle outlet characteristics will be analyzed by changing their outlet diameters.
김창현(ChangHyun Kim),양즈챵(ZhiQiang Yang),원덕규(DeokGyu Won),정구인(Koo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김창현(2017)이 개발한 학교체육 정서 척도의 측정동일성을 검증하고, 집단 간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체육에 참여하는 학생 550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체육 정서를 측정하였다. 활력, 배려, 흥미, 안정감, 성취, 부러움, 우울, 분노, 불안의 하위요인들에 대해 성별, 학교급(중·고)의 수준에 따라 동일한 구조적 타당도를 보이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 후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동일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및 학교급 수준 집단에서 학교체육 정서 척도의 구조 동일성(형태동일성, 측정(메트릭)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산동일성)이 검증되었다. 잠재평균 분석 결과, 성별 수준에서 여학생이 흥미, 안정감, 성취 요인이 낮고 우울, 불안요인에서 높아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급 수준에서 고등학생이 안정감 요인에서 낮고 우울, 불안 요인에서 높아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의 효과크기는 모두 작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교체육 정서 척도의 동일성검증과 잠재평균 분석의 통계적 의미와 학교체육 상황에서의 경험하는 정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emotional scale in school sports(Kim Chang Hyun, 2017). Furthermor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tent means between groups. A total of 5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It analyzed whether the sub-factors of vitality, consideration, interest, stability, achievement, envy, depression, anger and anxiety showed the same construct validity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level (middle and hig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followed by multiple group analysis.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construct invariance of the emotional scale in school sports could be generalizable across gender and school level. The latent means analysis showed girls group, in terms of gender, had significantly lower means on the interest, stability and achievement factors, but higher means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factors. In terms of school level, the highschool students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means on the stability factor, but higher means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factors. This effect was shown to be insignificant. The result from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and measure the emotional scale in school sports. And statistical meaning from the latent means analysis and the emotional aspect of the school sports situation a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