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actions among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Water Use Efficiency and Nitrogen Nutrition in Wheat and Barley

        Young Kil, Kang,Richard A., Richards,Anthony G., Condon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3

        밀과 보리에 있어서 종자크기와 질소영양이 수분리용효율과 탄소동위원소차별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여 탄소동위원소차별, 수분이용효율, 질소영양간의 상호작용를 구명하고저 종자크기가 영과당 각각 44mg과 22mg인 춘파형 밀과 보리 한 품종을 직경이 15.3cm인 폿트에서 2본씩 재식, m$^2$당 질소 10g과 32g 비율로 시용하여 수분이용효율에 관련된 형질과 탄소동위원소차별을 조사하였다. 두 종자크기와 두 질소 시비량을 평균한 건물중은 절간신장기에는 보리가 밀보다 105% 컸던 반면 개화기에는 보리보다 출수가 3일 늦은 밀이 보리보다 16% 많았다. 절간신장기과 개화기에 있어서 보리에 비하여 밀에서 건물중에 미치는 대립종자의 영향이 컸었다. 다질소구가 소질소구에 비하여 개화기에 있어서 밀과 보리의 건물중이 각각 40%와 31% 높았다. 절간신장기와 개화기에 있어서 수분이용효율은 보리가 밀보다 각각 35%와 20% 많았고, 지상부의 탄소동위원소차별은 밀보다 보리가 생육기와 식물체 부위에 따라 2.0~3.6% 적었다. 종자크기가 수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경향이 없었고 탄소동위원소차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절간신장기에 있어서 수분이용효율은 질소영양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개화기에 있어서는 소질소구에 비하여 다질소구에서 밀과 보리가 각각 2%와 7% 컸었다. 두 맥종과 두 종자크기를 평균한 탄소동위원소차별은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다질소구에서 소질소구보다 약 2.5% 낮았다. 탄소동위원소차별은 절간신장기에는 수분이용효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개화기에 있어서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Large and small seeds (44 and 22 mg per caryopsis) of a spring wheat (cv. Kulin) and a spring barley (cv. Skiff) were sown at two nitrogen rates (equivalent to 10 and 32 g m$^{-2}$ ) in well-watered pots under outdoor condition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 size and nitrogen (N) nutrition on water use efficiency (WUE) and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Delta$) and to evaluate interaction among $\Delta$, WUE and N nutrition in wheat and barley. Barley produced, on average, 105% more biomass (root+shoot dry weight) than wheat at stem elongation because of early vigor. By anthesis this difference had disappeared as wheat had 16% more biomass than barley which headed 3 days earlier. Compared to plants grown from small seed, plants grown from large seed had much greater biomass in wheat than in barley at stem elongation and anthesis. Higher N nutrition increased average biomass of wheat and barley by 40 and 31%, respectively, at anthesis. Barley had 35 and 20% greater WUE (biomass gained/transpiration) than wheat at stem elongation and anthesis, respectively, and 2.0 to 3.6% lower $\Delta$ in aboveground shoots depending on growth stages and plant parts than wheat which had a greater stomatal conductance than barley. Seed size had a variable effect on WUE and did not affected $\Delta$ values. Water use efficiency was not affected by N rate at stem elongation in wheat and barley whereas WUE was increased 2 and 7%, respectively, in wheat and barley at anthesis with increasing N from 10 to 32 g m$^{-2}$ . High N plants had about 2.5% lower $\Delta$ values regardless of growth stages than low N plants across species and seed sizes.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UE at anthesis but not at stem elongation.

      • KCI등재

        밀과 보리에 있어서 탄소동위원소차별, 수분이용효율, 질소영양간의 상호작용

        Young Kil Kang,Richard A. Richards,Anthony G. Condon 韓國作物學會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3

        밀과 보리에 있어서 종자크기와 질소영양이 수분리용효율과 탄소동위원소차별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여 탄소동위원소차별, 수분이용효율, 질소영양간의 상호작용를 구명하고저 종자크기가 영과당 각각 44mg과 22mg인 춘파형 밀과 보리 한 품종을 직경이 15.3cm인 폿트에서 2본씩 재식, m2 당 질소 10g과 32g 비율로 시용하여 수분이용효율에 관련된 형질과 탄소동위원소차별을 조사하였다. 두 종자크기와 두 질소 시비량을 평균한 건물중은 절간신장기에는 보리가 밀보다 105% 컸던 반면 개화기에는 보리보다 출수가 3일 늦은 밀이 보리보다 16% 많았다. 절간신장기과 개화기에 있어서 보리에 비하여 밀에서 건물중에 미치는 대립종자의 영향이 컸었다. 다질소구가 소질소구에 비하여 개화기에 있어서 밀과 보리의 건물중이 각각 40%와 31% 높았다. 절간신장기와 개화기에 있어서 수분이용효율은 보리가 밀보다 각각 35%와 20% 많았고, 지상부의 탄소동위원소차별은 밀보다 보리가 생육기와 식물체 부위에 따라 2.0~3.6% 적었다. 종자크기가 수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경향이 없었고 탄소동위원소차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절간신장기에 있어서 수분이용효율은 질소영양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개화기에 있어서는 소질소구에 비하여 다질소구에서 밀과 보리가 각각 2%와 7% 컸었다. 두 맥종과 두 종자크기를 평균한 탄소동위원소차별은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다질소구에서 소질소구보다 약 2.5% 낮았다. 탄소동위원소차별은 절간신장기에는 수분이용효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개화기에 있어서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리고 질소시용량이 적을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아밀로스함량은 재배유형과 비종간에는 큰 차가 없었으나, 시비량간에 있어서는 질소시용량과 비례하여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쌀의 N, K함량은 완효성 비료가 속효성 비료보다 높고 질소시용률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Mg함량은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기계이앙에서는 속효성 비료가, 그리고 건답직파에서는 완효성 비료가 높게 함유하였고, Na함량은 완효성 비료의 시용에서 보다 높게 함유하였다. 또한 Mg/K비을은 속효성 비료가 완효성 비료보다 높았고 기계 이앙보다는 건답직파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N/K비율은 완효성 비료가 높았다. 6. 쌀의 외관상 미질은 완효성 비료보다는 속효성 비료 시용에서 그리고 질소시용량이 적을수록 우수하였으나, 밥맛 검정은 재배유형간에는 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우수하였고, 비종간에는 속효성 비료보다는 완효성 비료에서, 그리고 질소의 감비보다는 100%시용구에서 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른 분얼체계와 동신엽, 동신분얼의 수량성은 표준구와 50%증비구는 0, 1, 2, 11, 3, 21, 12, 22, 4, C의 순위였으나 100%증비구에서는 주간보다 1차분얼의 1이 무겁고 3보다 11이 무거웠다.섭취하였고, 탄수화물은 농촌지역 여고생이 대도시 지역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지역별 여고생의 에너지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섭취 비율이 대도시 60.75% : 16.4% 22.9%이며, 중소도시가 62.7% : 15.7% : 21.5%,농촌이66.8% : 14. l% : 19.1%이었다. 영양지식의 정확도나 인지도는 영양소 섭취와 Large and small seeds (44 and 22 mg per caryopsis) of a spring wheat (cv. Kulin) and a spring barley (cv. Skiff) were sown at two nitrogen rates (equivalent to 10 and 32 g m-2 ) in well-watered pots under outdoor condition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 size and nitrogen (N) nutrition on water use efficiency (WUE) and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δ ) and to evaluate interaction among δ , WUE and N nutrition in wheat and barley. Barley produced, on average, 105% more biomass (root+shoot dry weight) than wheat at stem elongation because of early vigor. By anthesis this difference had disappeared as wheat had 16% more biomass than barley which headed 3 days earlier. Compared to plants grown from small seed, plants grown from large seed had much greater biomass in wheat than in barley at stem elongation and anthesis. Higher N nutrition increased average biomass of wheat and barley by 40 and 31%, respectively, at anthesis. Barley had 35 and 20% greater WUE (biomass gained/transpiration) than wheat at stem elongation and anthesis, respectively, and 2.0 to 3.6% lower δ in aboveground shoots depending on growth stages and plant parts than wheat which had a greater stomatal conductance than barley. Seed size had a variable effect on WUE and did not affected δ values. Water use efficiency was not affected by N rate at stem elongation in wheat and barley whereas WUE was increased 2 and 7%, respectively, in wheat and barley at anthesis with increasing N from 10 to 32 g m-2 . High N plants had about 2.5% lower δ values regardless of growth stages than low N plants across species and seed sizes.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UE at anthesis but not at stem elon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