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Antiquarian Books

        Anastasia Guryeva 중동유럽한국학회 2016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6 No.-

        한국 문학사는 한국학 교육의 불가분리한 과목으로 여겨져 있는 동시에 한국 문화의 중요한 요소인 서적 문화는 한국 외에서 교육과정에 주목을 거의 받지 않는다. 본 글은 한국 문화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는 현상으로서의 한국 고서의 특징을 다루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글의 내용은 고서를 검토함으로써 서적문화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에 대한 포괄적이고 관건적인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필자는 상트 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 동양학부에서 한국 서적 문화에 대한 교육 과목을 개발하고 교육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접근으로 이 글도 교육적인 면이 강하다. While literature is an integral part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book, i.e. the space, which comprises literature and other types of texts, which equally belongs to the intellectual culture of the nation, is rarely represented in curricula outside Korea. This paper is an attempt to br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book as a valuable source that is worth not to be neglected in the education o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is paper deals with a Korean antiquarian book not only as an object that contains own specific features, but also as a valuable source on Korean culture in general, an object that illustrates and sometimes explains some of its important features. The author acquired this approach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teaching the course on Book in intellectual culture of Korea and Book in the Far East at the M.A. course at 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Faculty of Asian and African Studies. Therefore, the paper has a distinctive educational purpose and aims at draw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Korean book in its antiquarian format and demonstrating how it may be used in academic process relating to Korean studies.

      • Over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Anastasia A. Guryeva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5 국제한국어교육 Vol.1 No.2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current situation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KLE) in Russia. It was prepared by considering a wide scope of materials, and bases at the classification level, analysis of the related studies, Internet materials, objects (manuals, educational programs, advertisements) and situations the author faced, as well a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ors and students. After introduc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paper considers various spheres where the Korean language is taugh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niversity programs (B.A., M.A., Ph.D.), foreign language schools as well as KLE in non-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ases vary from the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to Korean studies with over 30 related subjects taught. For each field, problematic spheres are traced, and in the conclusion, an attempt is made to determine the main problems general for the KLE in Russia and to suggest some methods to solve them. In the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Russia-Korean relations and growing interest to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Korean language specialists should put their efforts to not just develop KL education but to develop it successfully and in a right way. The paper shows, that the current changes in the field demonstrate a definitely positive character, and the related problems have been steadily solved.

      • Dissemination of Traditional Korean Poetry in Vernacular in Colonial Korea : using the example of Namhun taepyeong-ga anthology

        Anastasia A. Guryeva 중동유럽한국학회 2013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4 No.-

        20세기 초기는 이른바 근대문학이 형성된 시기로 그동안 국문학계에서 적극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시기에는 또한 당대의 어지러운 정치적 상황 속에서 정통적인 자국어 시가문학의 역할이 적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남훈태평가’(이하 남태)를 중심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다루어진 양상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시가문학에 대한 일본인들의 관심. 예컨대, 국내에서 ‘남태’를 처음에 소개한 것은 ‘조선’이라는 이름을 가진 일본인들을 위한 잡지에서였다. 여기에는 시조 32편의 번역문과 더불어 해제가 실려 있었다. 通俗朝鮮文庫에도 ‘남태’에 실린 12편의 시조에 대한 번역문이 있다. 이는 자국어 시가(vernacular poetry)를 통해 ‘민족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개념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본래 일본인들에게는 한문으로 지은 저서가 더 인기가 있었으나 20세기 초에 관심사의 변견이 일어났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식민지 정책의 앞뒤에서 일본인들이 한국민족의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던 노력과 관련이 있다. ‘조선’ 잡지에서 실린 시조는 ‘분권’의 하권에 실린 시조를 순서대로 번역한 것이다. ‘남태’의 시조가 다룬 주제의 폭을 소개하면 남녀관계에 대한 시조가 많은 편이다. 시조를 통해서 한국인의 삶에 관련된 주제를 일본인들에게 소개하는 것은 새로운 점이 있었다. 2. 20세기 초 한국학계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연구의 출발. 도남 조윤제의 활동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예컨대 ‘가사’란 명칭의 독립화 등, 가사문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현대 한국어문학의 기반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조선어문’에서의 글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남태’에 대한 한국인의 최초의 언급이다. 3. 20세기 초에는 잡가집을 비롯한 수많은 시가집이 출판된다. 대중에게 인기 많은 딱지본이 발달된다. 또, 19세기의 목판을 이용해 전통시가를 재간한다. 이 활동의 대표로서 한남서림이 한 예가 된다. 한남서림의 주인인 백두용은 독립을 추구하는 한국민족의 정신을 고취할 만한 작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이 소설을 택하였던 데 비하여 가집인 ‘남태’를 여러 번 재간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한국학자들이 강조하는 ‘남태’의 자유로운 성격, 세상의 문제를 피하려는 분위기 덕분이다. 다음으로 한국전통문화에서 텍스트, 특히 시의 텍스트를 우주질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단으로 보는 개념을 고려하면 ‘남훈태평가’란 주제와 무관하지 않기도 하다. 즉. 태평의 상징 중에 하나인 순(舜)의 남풍에 대한 노래를 의미하는 주제이므로 혼란스러운 시기 때 태평과 관련된 가집을 연속적으로 재간함으로써 태평을 도와주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을 것이다. 4. 조선문학을 대중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사서 많이 읽을 수 있도록 문학작품을 출판했던 계몽운동의 일환으로서의 활동을 살펴본다. 그 중에 신문관의 프로젝트 중에서 하나인 ‘육전소설’ 시리즈에 소설뿐만 아니라 ‘남태’도 출간한 사실이 주목을 받을 만하다. 5. 시 텍스트의 향유분야 중에 하나는 노래로서 시를 즐기는 정취자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20세기 초 노래의 전통을 보전하고 발전하는 데 한몫을 담당하였던 활동을 살펴 본다. 권번에서 기생들의 학습, 창부의 교사활동 등, 기녀들의 상경에 따라 기녀집단의 수가 증가된다. 식민지 정부에서 전통을 보전할 자가 교사로서 임명되었다. 이 활동 덕분에 오늘날까지 가사(歌詞)가 보전되었고 1974년에 유네스코에 등재되었다. 지금은 이양교 선생에 의해 이어지고 있다. 또 미국과 일본 회사에서 이루어진 음반 출반 활동도 고전시가를 널리 알리고자 하는 한국인의 노력과 관련된 것으로 이는 대중음악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양상들을 살펴보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혼란한 시대 당시에 부각되는 시의 역할과 국가의 질서를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서 시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AHCISCOPUSKCI등재

        ISSUES IN TRANSLATING KOREAN VERNACULAR POETRY : BASED ON TRANSLATING THE NAMHUN T'AEP'YONG-GA ANTHOLOGY INTO RUSSIAN

        ANASTASIA A. GURYEVA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8 Acta Koreana Vol.11 No.1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some issues to consider while working on Korean vernacular poetry translation in relation to the 110-year tradition of Korean studies in Russia. Examples will be taken from the Namhun t’aep’yŏng-ga 南薰太平歌 (Songs of the Great Peace at South Wind) poetry anthology (1863) by an unknown compiler. I. 1). Borrowed Classical Chinese Images: Korean vernacular poetry is full of images borrowed from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some of them being phrases organized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rules of classical Chines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a text as symbols of literary expression requiring a number of specific textual features to be transmitted in a translation. This presents a difficult task in the case of a languag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directly (e.g. a western language such as Russian). The issues are: a) The dual-language character of the text: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and b) metric features as a result of laconic Chinese expressions. 2. Compositional and literary modes: a) inversion; b) parallelism etc. Most of the modes are based on Korean syntax which differs from that of western languages, therefore, a way of conveying these modes is suggested. 3. The necessity for commentary: There are numerous methods for showing the beauty and particular compositional quality of the original in translation, but in many cases extra comments are necessary: a) symbols; b) allusions; c) traditional images; d) geographical and historical names or terms etc. II. Some of the features to be considered when translating vernacular poetry correlate with those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For instance: a) borrowed Western images; and b) compositional and literary modes. This will be shown through the example of poems by Chŏng Hyŏn-jong. A conclusion is drawn concerning the similarity of issues to consider when translating poetry from both periods, especially a similar tendency in the functioning of borrowed images which occurs in both classical and contemporary poetry. The former was based on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as a source to enrich the poem’s expressive world and to participate in this tradition, the latter appeals to the western and the world cultural tradition in order to become a part of it as well as to enhance its expressiveness. Similar compositional and literary modes which need to be reflected in translation may be found in classical and contemporary poetical texts, but their purposes may differ, and they increase in variety in the case of contemporary poems.

      • KCI등재

        What is to Consider when Translating Korean Vernacular Poetry into a Foreign Language

        Anastasia Guryeva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한국학논집 Vol.0 No.35

        The paper aims at examining some features to consider while working on Korean vernacular poetry translation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with the 110 year tradition of Korean studies in Russia. The examples will be set from the Namhun Taepyeong-ga 南薰太平歌 (Songs of the Great Peace at South Wind) poetical anthology (1863) by an unknown compiler. Ⅰ. 1. Borrowed Classical Chinese Images. Korean vernacular poetry is full of images borrowed from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some of them being phrases organized according to grammatical rules of Classical Chines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a text as symbols of literary expression causing a number of specific textual features to be transmitted in a translation. This presents a difficult task in case of a foreign language not relating to Chinese literary tradition directly (e.g. western languages, namely Russian). The features are: a) Double-language character of the text: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b) metric features as a result of laconic Chinese expressions; 2. Compositional and literary modes. a) Inversion; b) Parallelism etc. Most of the modes are based on the Korean syntax which differs from the western languages, thus a way of conveying the modes is suggested. 3. Necessity of commentary: There are numerous methods for showing the beauty and compositional peculiarity of the original in translation, but in many cases extra comments are necessary: a) Symbols; b) Allusions; c) Traditional images; d) Geographical and historical names or terms etc. Ⅱ. Some of the features to be considered when translating in vernacular poetry correlate with those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For instance: a) Borrowed Western images; b) Compositional and literary modes. This will be shown on the example of the poems by Chong Hyon-Jong. The conclusion is made about the similarity of aspects to consider when translating in poetry of both periods, especially a similar tendency in functioning of borrowed images in classical and contemporary poetry. The former was based on Chinese literary tradition as a source to enrich the poem's expressive world and to join this tradition, the latter appeals to the western and the world cultural tradition to become a part of it as well as to grow in expression. Similar compositional and literary modes to be reflected in translation may be found in classical and contemporary poetical text, but their purpose may differ, and they grow in variety contemporary poems.

      • KCI등재

        러시아, 유럽에서의 시조 연구와 수용

        아나스타시아구리예바 ( Anastasia A. Guryeva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2 No.-

        시조문학은 20세기 초반부터 서양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번역해 온 한국문학 장르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럽과 러시아의 시조 연구 및 수용을 다루고자 한다. 각 지역에서 시조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고 연구방법론이 형성된 배경을 분석한 다음, 시조 연구의 대표적 학자와 그 업적을 소개하는 데에 목적을 두는 것이다. 서로 간 별다른 관계 없이 전개된 유럽과 러시아의 시조문학 연구 및 번역 활동을 따로 소개한 뒤, 러시아를 중심으로 교육 과정의 일부로서 시조문학을 논의하고 최종적으로 시조문학수용의 전망 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Sijo poetry has been one of the Korean literature genres that western researchers have most actively studied and translated. This paper examines Sijo literature research and translation in Russia and Europe, analyzing historical interest in the Sijo genre, providing an overview of research methods, and introducing works on Sijo by representative scholars. As Russia and Europe developed study approaches independently, the paper will first separately introduce Sijo-related activity in these regions, then touch on Sijo education in Russia, and conclude by considering perspectives from the genre`s introduction to a wider western audi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