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의 철학과 철학실천

        김석수(Kim, Suk-s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40 No.-

        이 글은 우리 철학의 빈곤과 위기의 극복을 칸트, 헤겔 및 오늘날 현대철학자들이 ‘철학’ 혹은 ‘철학실천’에 대해 주장한 내용과 연계하여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 현대사를 살아온 우리의 철학자들은 국민국가와 시민국가의 과정을 거치면서 철학의 빈곤과 위기를 경험해야 했으며, 지금도 그런 과정 속에 놓여 있다. 이런 빈곤과 위기는 부당한 정치적-경제적 체계에서 비롯되기도 하지만, 이론과 실천, 사유와 현실을 매개하는 철학하기, 이른바 ‘학문으로서의 철학’과 ‘생활로서의 철학’을 종합하는 ‘철학실천’ 작업을 우리의 철학자들이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 데서 연유하기도 한다. 그동안 철학실천가들이 자신들의 철학의 빈곤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철학실천’ 활동을 전개해왔듯이, 우리의 철학자들도 근자에 정치적-경제적 체계에 의해 식민화되는 생활인들의 아픔에 참여하는 ‘철학실천’ 활동, 그 중에서도 특히 철학상담 활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 활동에서조차 우리의 ‘철학실천’은 이론과 실천을 매개하는 사례연구보다는 이론연구에 더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철학실천’은 ‘치유’에 더 치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철학의 본래적 활동인 ‘비판’ 활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또한 미래를 새롭게 모색하는 ‘창조’ 활동도 제대로 펼치지 못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우리의 철학의 빈곤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이론과 실천, 사유와 현실, 치유와 비판을 제대로 매개해야 하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창조적 활동을 수행하는 철학하기, 즉 진정한 ‘철학실천’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I will deal with the problem overcoming the poverty and crisis of our philosophy in conjunction with the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practice” of Kant, Hegel, and contemporary philosophers. Our philosophers had to experience the poverty and crisis of the philosophy with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civic state, and are still experiencing it. On the one hand, this poverty and crisis stems from the unjust political and economical systems. But on the other hand, they stem from the thing which our philosophers have not performed the ‘philosophical practice’ which mediates and harmonizes theory and practice, thinking and reality. That is to say, such a poverty and crisis stems from what our philosophers did not synthesize the ‘philosophy as a life’ and the ‘philosophy as a science.’ Just as Today’s philosophical practicers have tried to do the ‘philosophical practice’ in order to overcome the poverty and crisis of their philosophy, our philosophers are also trying to do the ‘philosophical practice’ participating in the pains of our living world colonized by the (political-economical) system. However, our ‘philosophical practice’ activities are more concentrating on the theory studies rather than the case studies.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our practical philosophers have also the possibility to weaken the critical activity of the philosophy because they tend to focus on the healing. Our practical philosophers can’t also go towards ‘creation’ activities that explore the future positively owing to this. We have to proceed towards the ‘philosophical practice’ which mediates theory and practice, thinking and reality, healing and criticism in order to overcome the poverty and crisis of our philosophy.

      • KCI등재후보

        구체적 보편성과 지방, 그리고 창조학으로서의 인문학

        김석수(Kim Suk-So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4 사회와 철학 Vol.0 No.8

        지금 우리는 ‘인문학의 위기’와 ‘지방의 위기’를 동시에 겪고 있다. 이 위기는 중앙 중심의 권력주의에 기인하고 있다. 현실 속에서 자본을 획득할 수 있는 힘 있는 학문은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학문은 죽게 되는 오늘날의 학문 권력 구조는 인문학과 지역학을 총체적으로 말살하는 상황이 되도록 만들고 있다. 그러나 원래 인문학이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근원적 가치를 반성하는 학문이어야 하는 이상, 인문학 본래의 사명도 버려진 주변부를 살려내는 작업이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인문학은 지역학을 길러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문학은 추상적 보편성과 구체적 개별성을 상생相生 관계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구체적 보편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역의 것을 세계화시켜야 하는 오늘날 더 이상 획일적인 중앙주의는 지탱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인문학 역시 세계 중심 권력의 학문을 수입하여 시비나 걸면서 권력을 연명하는 차원을 넘어 우리 지역의 역사와 전통 속에 묻혀져 있는 것을 발굴 · 재창조하여 세계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자생학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통의 복원과 세계학의 마련은 지역 인문학의 자산을 배제하여 마련될 수 없다. 나아가 인문학이 창조학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 소외된 지역성과 그 속에 묻혀져 있는 전통성을 새롭게 길러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We are suffering 'the crisis of humane studies' and 'the crisis of local society' now. These crises are caused by the central power which discriminate against its outskirts. Today only the powerful science which makes money survives. In this conditions the humane studies and the local science cannot maintain their existence. But the original humane studies must be the science which reflect on the dignity of person and the fundamental value of life. Therefore the humane studies must take care of the around-world. In this sense the humane studies must go with the local science. In order to do this the humane studies must make development the particular universal which helps each other between the abstract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individual. We must local things into worldly things. Therefore now the uniformal centralism is no more sustained. The humane studies must also free itself from the science which imports the powerful science and quarrels about it. Now the humane studies must find out and create newly the things which have existed in our local history and tradition. It is not possible without developing the local humane studies to remake our tradition and prepare the worldly science. Futhermore if the humane studies playes the role of creative science, it must take care of the alienated local tradition.

      • KCI등재

        인도와 중국의 영역권, 연결성 그리고 세력권 경쟁

        김석수 ( Suk-soo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6 No.2

        중국이 적극적으로 해양 진출을 추구함에 따라서 인도양에서의 인도와 중국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017년에는 또한 인도가 중국의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구상에 대해 명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자, 중국은 인도가 추구하는 미국, 일본 그리고 호주와의 전략적 협력을 중국 봉쇄정책으로 인식하면서 양국 사이에 여러 가지 경쟁의 측면들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진 인도와 중국의 경쟁 관계를 어떻게 포괄적으로 파악할 것인가? 인도양에서의 양국의 대립은 육상 대립의 연장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더 나아가 국경 문제와 해양에서 양국의 대립은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인가? China is aggressively seeking to enter the ocean. Therefore, Indian and Chinese competition in the Indian Ocean is intensifying. In 2017, As India expressed a clear opposition to China’s ‘One belt, One road,’ China recognized India’s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as China’s containment policy, Various aspects of competition are complicated. So how do these factors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mplex intertwined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China? Can the conflict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Indian Ocean be explained by the continuation of conflict in the land? Furthermore, is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border and at sea possible to be seen as mutually independent?

      • KCI등재

        21세기 사회,‘소통’인문학의 길을 찾아

        김석수 (Kim, Suk-Soo)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오늘날 인문학의 위기는 현실과의 소통 부재에 있다. 근대 이후 인문학이 인문과학이 되려고 하면서 인문학은 현실과 소통하는 길을 상실해왔다. 인문학이 소통의 학문으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수사학의 정신을 되살려내야 할 것이며, 이론과 현실이 제대로 호흡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은 적용, 비판, 창조의 과정을 충실히 이행하지 못함으로써 현실과 소통하는 인문학을 마련하지 못했다. 산 존재를 복제하고, 가상공간이 현실공간을 압도하고, 탈영토화와 탈경계화가 진행되는 오늘날의 복합적인 현실과 소통할 수 있는 인문학이 되기 위해서는 학제적 연구를 활성화하고, 매체와 텍스트의 관계, 변화된 장소와 시간 그리고 주체의 자리를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이 땅의 인문학은 수입학의 차원을 넘어 창조학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며, 엘리트 중심의 인문학에서 소수자, 약자들의 고통에 참여하는 인문학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lies in the fact that it did not enter into connection with the realities of our lives. Since modern times, the humanities have made efforts in order to be the human science. And so, the humanities has lost the way to communicate with the actual life. We must revive the spirit of rhetoric, and establish the communication of theory and realities. In our doing so, the human sciences can be the communication humanities. Our scholars didn't devote themselves to the process of application, critic, and creation in studies and educations of the humanities.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which copies living things. And we are living in the network society. Here the real world is overwhelmed by the cyber world, and territory and boundary disappears and falls down. Today's humanities must study in the interdisciplinary way, reestablish the relation of media and texts, and treat the changed place, time and subject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se complex situations. Particularly, those who study the humanities in Korea have to proceed from the introducing humanities to the creative humanities, and from the humanities of the elite to the humanities of the outsider.

      • KCI등재

        일반논문 : 미국의 스포츠 세계화전략: 월드베이스볼클래식(World Baseball Classic)대회를 중심으로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0 글로벌정치연구 Vol.3 No.1

        야구는 미국인의 경기이고 미국의 국기라고 알려져 있다. 야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미국의 영향력이 강했거나 강한 지역에서 유행하는 경기이다. 야구가 발전하고 세계인의 스포츠인 축구의 인기를 넘어서고 있는 지역은 미국, 한국, 쿠바, 일본, 캐나다, 대만, 멕시코 일부 지역 그리고 미국의 보호국, 식민지였거나 미국의 영향력이 강하게 남아있는 지역과 국가들이다. 그래서 야구는 자연스럽게 미국이 종주국이라는 인식이 뿌리내렸다. 한편, 국제축구연맹(FIFA)에 가입한 208개국이 치열한 지역예선을 거쳐 겨우 32개국만이 본선에 진출해 지역의 대표로서 경기하는 하는 것이 축구 월드컵이다. 그러나 미국은 양대 리그인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리그의 우승팀이 경기를 벌이는 것을 월드시리즈(World Series)라고 부르고 있다. 미국 야구의 월드시리즈는 미국인들과 미국프로야구(MLB: Major League Baseball)가 보여주는 오만함의 극치이다. 축구는 1930년에 제1회 월드컵을 우루과이에서 개최했다. 2006년에 야구는 미프로야구협회(Office of Commissioner of Baseball)가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World Baseball Classic) 대회를 개최해 16개국이 참가하면서 겨우 세계적 스포츠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The `globalization of Major League Baseball` is critically assessed through its most visible effort in that direction. The World Baseball Classic debuted in 2006 to stellar reviews, but in examining how this tournament was structured Major League Baseball reveals its view of what globalization means for the industry. This tournament is further examined against a backdrop of globalization as a continuum. The two ends of that continuum, `Testicular Globalization` and `Tough Love Globalization` represent two poles that differ in terms of how much power is centralized or decentralized. By this standard, Major League Baseball is not only far behind sports such as football (soccer) and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but we now have more sophisticated criteria to assess globalization.

      • KCI등재

        일본 난민정책과 국익의 연계

        김석수 ( Kim Suk-soo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日本硏究 Vol.0 No.73

        The refugee problem of the 21st century is being challenged by a sovereign system based on the three requirements of territory, people, and government, or referred to as the crisis of the sovereign system. It is also a refugee issue that includes arguments that contest the legitimacy of artificially delimited borders by the Western imperialist powers and is challenging the Westphalian system based on strict border control. In Japan,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legally recognize refugees is limited to dozens each year, but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refugees has surged to over 10,000. The problem surrounding refugees in Japan is a response strategy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refugee applicants is soaring in Korea even though the number of people is too small even on international standards. The refugee problem in Japan is perceived as not being included in human security. So, in Japan`s refugee policy, the word "human security" does not appear. For example, o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omepage, there is posted an article on refugee problems and Japan in parallel with human security as part of foreign policy. However, if we look at the policies against Japan`s refugee problems, we will not be aware of human security.

      • KCI등재후보

        국가, 시민사회 그리고 공공영역으로서의 복지 - 복지와 국가의 관계에서 본 우리사회

        김석수(Kim Suk-So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5 사회와 철학 Vol.0 No.10

        근대 이후 국가와 시민사회가 분화되면서 국가가 부르주아지들의 사적 이익의 도구로 전락하는 경향이 강하게 등장하였다. 그로 인하여 공공영역으로서의 복지가 시장에 예속됨으로써 인간의 삶에 위기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다시 국가가 시장에 개입하여 복지를 재정립하려고 하면서 복지국가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이 복지국가도 그동안 과다하게 시장과 개인의 삶에 개입함으로써 국가의 과중한 부담과 전문가 집단에 의한 복지의 관료주의화를 낳았다. 이로 인해 오히려 복지국가는 위기에 처하게 되었고, 마침내 신자유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신자유주의도 고전적 자유주의와 마찬가지로 공공영역으로서의 복지를 민영화함으로써 인간이 기본적으로 누려야 할 삶의 조건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영역으로서의 복지는 국가나 시장 어느 한 쪽에 일방적으로 내맡겨져서는 안 된다. 그런데 ‘저항 민족주의’와 ‘건설 민족주의’ 아래서 그동안 봉건적 근대화를 수행해왔던 우리 사회는 서구사회와는 달리 여전히 빈부의 격차가 심하게 자리하고 있고 복지의 조건이 열악한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는 국가가 제도적으로 복지 영역에 일정 정도 관여하는 형태를 취하면서 서구의 복지국가가 안고 있었던 복지의 관료주의화와 국가의 과중한 부담을 점진적으로 벗어나야 할 것이다. 국가 중심의 복지도 시장 중심의 복지도 인간의 삶의 바람직한 조건을 마련할 수 없다. 더 이상 복지가 국가의 전유물이 되거나 시장의 공격대상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복지는 우리의 생활세계를 살려내는 소중한 터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의 시민사회도 체계가 생활세계를 식민화하는 것에 대한 감시활동과 저항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state and civil society was separated, and state was transformed into the instrument of bourgeoise's private interests. Welfare as public sector was subjected to market, and the condition of life came to crisis. From this situation, welfare state which intervened in the market appeared. But this welfare state has intervened too much in the market and individual life, and state beared a heavy burden and from there emerged the bureaucracy of welfare by experts. With the consequence welfare state carne to crisis,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neo-liberalism appeared. But this neo-liberalism privatizes welfare as public sector and market subjugates our lives. Hence welfare as public sector must not be subjected to either state or market one-sidedly. However in our society which has modernized feudally our situations under 'resistance nationalism' and 'developing/building nationalism' still remains the gulf between rich and poor, and the conditions of our welfare is poorer than those of western society. Therefore in our society state must participate in welfare institutionally. And then we must overcome the welfare bureaucracy and state burden which the western european society bears. We cannot pursue the state-oriented welfare and the market-oriented welfare any more. Welfare must be foundation of our ordinary lives(Lebenswelt). Our civil society must watch closely and resist constantly the colonialization of our ordinary lives(Lebenswelt) by (political and economical) system.

      • KCI등재

        ‘포스트’ 시대의 바깥과 가난의 길 : 포스트구조주의와 스피노자-마르크스주의를 중심으로

        김석수(Kim Suk-so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6 사회와 철학 Vol.0 No.12

        오늘날 현대 마르크스주의철학은 인간을 ‘사유하는 동물’로만 바라보는 주체철학을 해체하듯이, 인간을 ‘노동하는 동물’로만 바라보는 주체철학도 해체한다. 이들 모두는 거대주체를 탄생시킴으로써 중심과 주변을 가르는 폭력을 일삼아 왔다. 따라서 현대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의식학으로부터도 벗어나고자 하지만, 또한 동시에 노동경제학으로부터도 벗어나고자 한다. 바로 여기에서 인간이 사유에도 노동에도 노예가 되지 않는 제삼의 철학, 이른바 몸의 철학, 욕망의 철학, 생명의 철학이 탄생한다. 이 철학은 이원론 안에 담겨 있는 모든 억압과 구속의 공식을 거부한다. 몸은 천상과 지상, 정신(사유)과 육체(노동), 이성과 상상력, 실재와 이미지, 본질과 생성, 의식과 무의식, 보편과 개체로 가르는 그 어떤 공식도 허용하지 않으며, 안과 바깥, 위와 아래를 가르는 우열을 거부한다. 그러므로 이성 역시 몸 안에 거주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철학은 의식과 대상이 시간으로 매개되는 ‘사건’의 철학이어야 하며, 과거의 원형과 미래의 목적에 지금의 몸과 사건을 가두는 것을 거부하는 ‘생성’의 철학이어야 한다. 결국 이 철학은 의식과 자본의 감방에서 도주하여 표류하고 유목하며, 자신의 독특성을 가두는 제국에 저항하는 가난한 다중들의 해체의 철학이자 혁명의 철학이어야 한다. 바로 여기에 포스트구조주의와 마르크스의 새로운 만남, 스피노자와 마르크스의 새로운 만남이 자리하고 있다. Contemporary Marxism deconstruct the earlier “Subject- Philosophy” which looked upon human being as either ‘homo sapiens’ or ‘animal laborans’. That philosophy has committed violence with producing the huge Subjective. Hence contemporary Marxism will escape from ‘consciousness science’ (Bewußtseinsphilosophie) and labor economics. And here came into being the third philosophy which is not subjected to thinking and labor, namely the philosophy of body, life, and desire(passions). This philosophy rejects the formula of suppressing and binding which is placed in dualism. Body does not permit the formula which separates this world from that world, thinking from labor, reason from imagination, reality from image, essence from becoming, consciousness from unconsciousness, and universal from individual. This body rejects the formula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which divides inner place and outer place, high place and low place. Therefore reason, too, resides in this body. This body philosophy should be the ‘event’ philosophy, ‘becoming’ philosophy. In the end this philosophy must escape from consciousness and capital, and then drift, nomadize endlessly. And so this must be the philosophy which poor multitude raise a revolution against the empire suppressing the singularity of individuals. And here post- structuralism meets Marx, Spinoza does Marx newly.

      • KCI등재

        소말리아 해적과 알 카에다의 연계 가능성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1 중동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 connection in Somalia`s piracy and Al-Qaeda. Piracy and rising Islamist militancy have intensified US and European diplomatic interest in Somalia, while African perceptions of the establishment of US AFRICOM and the growing likelihood that the Combined Joint Task Force-Horn of Africa in Djibouti would become a long-term American base, have posed a strategic communications challenge for the United States. A deteriorating humanitarian situation in drought-plagued Somalia, precipitated by the October 2009 US suspension of food aid over fears that aid workers were diverting it to terrorists, and the prospect of unmanageable numbers of Somali refugees fleeing over comparatively stable Kenya`s border, have increased pressure on Washington to revise US policy. These factors could lead to a new approach, consonant with the evolving emphasis on nuanced counter-insurgency,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soft power, such as development aid, with less scrutiny on governance. Robust, high-profile international diplomatic or military initiatives in Somalia, however, are unlikely. Near-term developments in Somalia will probably follow the depressingly familiar pattern whereby the Transitional Federal Government and Islamist militias maintain an uneasy military stalemate, with neither building the political infrastructure and good will required to tip the balance decis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