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상류계층 공고화에 있어서의 상류계층 여성과 문화자본

        최샛별(Choi SetByol)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1

        이 논문은 부르디외(Bourdieu)의 사회학적 임무에 대한 믿음을 근거로 주요 연구를 분석하여 결국 그의 이론적 틀에서 중요한 것은 각각의 사회와 역사적 맥락에서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어떤 ‘숨겨진 루트’를 찾아내는 것이며, 계속적으로 명료성의 논쟁이 계속 되고 있는 개념인 문화자본은 이러한 숨겨진 루트를 구성하고 있는 좀 더 포괄적이고 적응성 있는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특수한 ‘숨겨진 루트’로서 계층 공고화에 있어서의 여성의 역할과 서양 고전음악분야에 주목하였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이론적인 개념을 연구하는데 있어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인 인터뷰 자료를 통합하는 예시적인 모델을 시도한다. 한국사회에서 서양고전음악을 전공한 여성들에 대한 303부의 설문조사와 36사례의 심층면접자료들은 80퍼센트 이상의 응답자들이 상류계층 출신으로 사회이동이 광범위하게 개방되어 있는 기간동안에도 결혼을 통해 자신들의 계층적 배경을 성공적으로, 거의 완벽하게 재생산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부모의 경제적인 자본에 근거한 체화된 문화자본이 서양고전음악의 특수성을 통하여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제도화된 문화자본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이렇게 전환된 제도화 된 자본이 그들의 계층 재생산을 사회적인 지위가 아닌 결혼에 의존하게 작용하는가를 분석함으로서 급격한 사회변동 하에서 한국의 상류계층이 형성되고 입지가 강화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여성의 역할을 문화자본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Pierre Bourdieu’s concepts of cultural capital and social reproduction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Women’s use of Western classical music to attain and/or reproduce economic status. The survey data about females majoring music in Korea (303 questionnaires and 36 in-depth interviews) made assured it that the females majoring in music constitute a very prestigious and selective group in the Korean society which reproduce their high-class status successfully through their marriage and established their own culture based on their exclusive life pattern. Through the study, I highlight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social class, how for women, the attainment of cultural economic capital can be more complex process than is frequently assumed in the sociological literature. I also draw attention to the circular(rather than hierarchical/linear) routes available to women in the pursuit of upward mobility, and in the process I alert how different economic and cultural resources both structure and are constrained by broader cultural more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자본 지수의 개념화와 측정

        최샛별(SetByol Choi),이명진(Myoung-Jin Lee)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 사회에 적합한 문화자본 지표 및 척도의 부재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문화자본의 양적연구의 방법론적 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 사회에 적합한 문화자본 지수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이론에 근거해 개발되었고, 이후 많은 후속 연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져 온 디마지오의 문화자본 지수 체계를 중심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문화자본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전국규모의 조사인 ?2011년 문화자본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자료에 적용하여 문화자본 지수를 구성하였다. 문화자본 지수는 클래식 음악, 미술, 문학이라는 세 가지 고급예술장르에 대한 태도, 활동, 정보 점수로 구성 되었으며, 지수의 모형 적합도, 타당도와 신뢰도는 확인요인분석과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문화자본 지수는 모형 적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주요 사회경제적 변수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While the importance of an index of cultural capital is widely recognized, the literature lacks a comprehensive measure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extent and of ranges of cultural capital in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gap by proposing measurement modes and an index of cultural capital. The index is a multi-dimensional index that captures information on various dimensions of culture: attitude, activities, and knowledge of music, arts, and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index extends and modifies DiMaggio’s framework of cultural capital which was also developed on the basis of Bourdieu’s theory and widely used in the field. The index relies on data from 2011 the nation-wide survey of cultural capital. Initial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theories. Using a series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data and indexes, we find that the measures developed are highly reliable and valid. Not only the index of cultural capital but also its sub-component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 KCI등재

        음악장르, 여가활동, TV프로그램 선호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도

        최샛별(SetByol Choi),이명진(Myoung-Jin Lee)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위계와 이에 상응하는 상이한 문화취향 및 실천들의 분포를 그려내어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 구조를 시각화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구별짓기의 경계들을 밝히는 작업을 통해 부르디외 이론의 한국적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7년도 KGSS자료 중 선호하는 음악장르, 여가활동, 그리고 TV프로그램에 대한 문항들을 부르디외가 『구별짓기』(1984)에서 계급과 문화취향 간 상응성을 발견하는데 사용했던 대응분석의 발전된 기법인 중다대응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문화 영역에 대한 문화취향은 한 축으로 연령이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20대 이하의 문화취향과 40대의 문화취향으로 구분되고, 또 다른 축으로는 계급으로 포괄될 수 있는 소득, 학력, 그리고 직업이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각각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자본을 많이 보유한 사회적 범주들의 문화취향과 그렇지 못한 사회적 범주들의 문화취향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령, 소득, 학력, 직업이라는 사회적 위계와 문화취향 간에 강한 상응성이 존재함을 발견한 본 연구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 문화 지형도의 상징적 경계가 ‘세대’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청년세대문화와 기성세대문화로, 그리고 ‘계급’이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상층문화와 하층문화로 구획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적 맥락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져 간과되어 온 계급이라는 축이 연령과 더불어 한국 사회의 문화적 분화를 설명해 줄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을 밝혀내고, 이로써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도를 그리는 데 핵심이 되는 큰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visualizes the cultural topography of the Korean society by providing the distribution of social hierarchy and different cultural taste which is contrast to it. Moreover, the verification of the Bourdieu’s theory within the Korean society is done by revealing the boundary of distinction appropriate for the Korean situation. This study is done as a part of the ‘Study on the Cultural Capital of the Korean Grammar and Topographic’ which is being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With such purposes,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is done in this study to show the compatibility between class and cultural taste shown in Bourdieu’s Distinction (1984) by using the questionnaires from KGSS 2007 dataset on preference analysis of music genre, leisure, and TV program. As a result, cultural tastes toward the three cultural sphere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social boundary of age with the distintion between the below 20’s and the 40’s. On the other hand, distinction between the cultural tastes of the privileged group with more economic capital and the non-privileged group is made according to the incom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which are embraced as class. The strong correspondence between social hierarchy composed of age, incom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and cultural taste is shown through this study. The symbolic boundary of the cultural topography of the Korean society is drawn with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having ‘generation’ as the axis and also with the upper class culture and the lower class culture having ‘class’ as the dividing line. This study reveals that class and age are the key factors in explaining the cultural division within the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ignor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general framework of the cultural topography of the Korean society.

      •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최샛별(Choi SetByol)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특수성을 근거로 문화 자본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의에 대해, 한국 사회의 보다 심층적인 구조와 재생산 메커니즘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문화 자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반론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미국 문화사회학에서의 부르디외 문화 자본론 관련 연구들을 한국사회 연구에 있어서의 함의점이라는 측면에서 문화 자본론의 적용성, 문화자본과 계급의 상응성, 그리고 문화 자본의 생성과 제도화라는 세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이 세 가지 주제는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확장 발전시켜 문화사회학의 주요 분야로 자리잡은 대표적인 예들이다. 다음으로 그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어온 문화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이 세 주제의 맥락에서 개괄하고 보다 활발하고 풍부한 문화 자본 논의와 경험적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 문화 자본을 좀 더 광범위하고 적응성 있는 개념으로 재개념화하고 좀 더 폭넓은 시각에서 문화 자본론을 해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작용하고 있는 문화 자본의 형태와 그 작동 방식을 밝혀내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 자본의 실증적 연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문화 활동 및 취향 전반에 관한 광범위한 실태 파악과 지속적인 조사 자료의 집적이 중요하다. 셋째, 서구의 고급문화, 대중문화, 그리고 생활양식들이 어떻게 한국 사회에 스며들어 제도화되어왔는가에 대한 사회사적인 시각을 가진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Some sociologists argue cultural capital does not exist in Korea because of historical and social uniqueness of the society. I raise a counterargument by contending that in-depth study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is essent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structure and the reproduction mechanism of Korean society. In an attempt to find implications on Korean society, I address American studies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ree subjects: applicability of his theory; correspondency between class and cultural capital; and gene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ese three subjects, Bourdieu’s theory has critically expanded and become a major part of sociology of culture in America. Then, I summarize Korean studies on cultural capital in the light of the three subjects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the pertinence of researches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For more active discussions on cultural capital and more appropriate empirical studies, I make three suggestions. First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forms of cultural capital and their operating mechanism in Korea. In order to do that,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to make it more extensive and more adaptive. Also, we should interpret the theory of cultural capital in broader context. Secondly, for active empirical studies on cultural capital, we should collect and accumulate data on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tastes. Thirdly, with socio-historical perspective, we should perform systematic studies to reveal how western high culture, popular culture, and life style have permeated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become institutionalized.

      • KCI등재

        한국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최샛별(SetByol Choi),이명진(Myoung-Jin Lee),김재온(Jae-On Kim)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5

        이 연구는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계량적인 문화간 연구의 대표격인 ACT그룹의 기본적인 틀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다음의 세 가지 목적하에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정체성, 그 중에서도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 (affective meaning)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 이 연구는 한국 문화에 대한 양적인 연구의 첫걸음으로, 특히 사회정체성과 사회적 행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한국의 상황에서 사회정체성에 대한 국제적 비교연구가 가능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다. 둘째,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도 단순한 기초 자료의 수집을 넘어서, ACT가 아무런 의문 없이 받아들였던 EPA의 범문화성이라는 기본가정에 대한 재조사를 통해 이 연구전통에 있어서의 새로운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에 따라 주요 차원들이 바뀌거나 부가될 수 있으며, 사회정체성의 경우는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EPA의 세 차원 중 평가(E)의 차원이 사회학의 고전들이 구분한 집단의 특성들에 맞게 분리되어 나타났다는 것을 보여준다. 각각의 차원은 그 특성에 맞춰, 각각 ‘친밀성’ ‘책임성’ ‘활동성’ ‘권력성’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정체성 연구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문화와 그 변화 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전반적으로 친밀성과 책임성, 권력성 측면에서의 감정적 의미는 연령과 성을 기준으로 하는 위계관계와 역할분할이 뚜렷한 한국가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사회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가족은 아직까지도 이러한 전통적인 가족의 질서와 모습을 많은 부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각 정체성들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의 분산값을 통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면, 분산값이 높은 아버지, 장인, 장모, 이혼녀 등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들이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많은 측면들을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challenges one of the fundamental assumption of an active and productive research program in Sociology-the Affect Control Theory. The assumption to be examined and tested is that the three dimensions identified by Osgood et al, namely EPA dimensions -Evaluation, Potency, and Activity can be used to represent affective meanings associated with social ident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first four dominant factors include ‘power’ and ‘activity’ dimensions, while the original ‘evaluation’ dimension is now split into two - one dealing with the degree of intimacy (‘sociability’) and the other dealing with general competence and dependability (‘responsibility’). The analysis of affective meaning on family-related social identities suggests that despite the rapid change in Korean society, Korean family still have a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based on hierarchy of age and division of gender. But the high variance of several identities including father, parents-in-law, the divorced person reflects the change in Korean family.

      • KCI등재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유정 ( Yu Jung Choi ),최미라 ( Meera Choi ),최샛별 ( Setbyol Cho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1

        본 연구는 맞벌이 상태의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부부간의 역할분담이 그들의 삶에서 의미하는 바를 다각적으로 규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역할분담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우울’을 최종적인 종속 변인으로 삼아 부부간의 ‘역할분담’과 ‘일가정갈등’, ‘가정생활만족도’와 우울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우울에 예측력을 갖는 변인들 간의 인과 경로를 파악하도록 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 변수로,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일가정 갈등’은 가정 내 역할을 ‘내가 해야 할 일보다 더 많이 한다’고 느낄수록, 본인 근로시간이 길수록, 동거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중학교 졸업 미만의 학력자보다는 고졸 학력자가, 일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본인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커졌다. ‘가정생활만족도’는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졸에 비해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졸업자가, 본인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이 길고, 자신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짧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해 부부의 역할분담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자,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는 우울에 있어 부부간의 역할분담 관련 변인들을 압도하는 영향력을 보였다. 일가정 갈등이 클수록, 가정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감이 증가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동거 미취학 자녀 수’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영향도 컸다.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우울도 커졌다.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했을 때도 우울에 유의미한 변수로, 우울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가정 내 역할을 자신이 해야 할 일보다 더 적게 하고 있다는 주관적 평가’나 ‘본인의 근로시간’,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중 어떤 변인을 분석에 포함하느냐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졌다. 셋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각각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우울에 대한 강력한 예측 변인인 ‘주관적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매개로 동시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동거 미취학 자녀 수’는 우울에 직접 작용하거나, ‘일가정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효과를 미쳤다. 역할분담 관련 변수 중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이나 ‘가정생활만족도’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우울을 감소시켰으며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만족도’를 통한 간접적 방식으로만 우울에 영향을 주었다. ‘본인의 근로시간’은 ‘가정생활만족도’가 매개 변인으로 포함된 모형에서만 우울에 대한 직접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인의 근로시간이나 일에 대한 만족도 같은 고용시장 관련 조건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부정적 효과를 사회적으로 해결하는 한편, 가정 내에서는 부부가 합의 하에 서로의 적절한 역할 수행 목표를 설정하고 협력해나가야만 맞벌이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불균형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dual earner couple’s role assignment affect their lives multi-dimensionally. Using a sample of 342 dual earner men/women from 2012 KGSS data, this research examined 1) the effect of ‘objective’ and ‘subjective’ role assignment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2) the effect of aforementioned variables on depression, and finally 3) the causal path among variables that predict depression.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ey’s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and respondent’s work hour was significant factor on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hereas other variables had different effects respectively. Overburden evaluation, longer work hour, high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lower job satisfaction, lower subjective health, and longer care labor time was responsible for severer work-family conflict. On the other hand, higher job satisfaction, longer work hour, higher subjective health, spouse’s longer care labor time, and respondent’s shorter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effect on greater family life satisfaction. Second,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outstanding effect on depression compared to role assignment related variables; that is severer work-family conflict and lower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to do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negative evaluation of their health, the great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the greater the depression. Moreover, spouse’s housework and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even whe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Third, ‘subjective health’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with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and indirectly through ‘family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only throug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Spouse’s care labor time only had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respondent’s work hour had effect on depress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 This result suggests that employment condition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Moreover, it implies that marital adjustment such as setting appropriate role assignment and cooperating can minimize various imbalance and strain of dual-earner couple.

      • KCI등재

        가정 내 역할 수행 및 돌봄 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최유정 ( Yu Jung Choi ),최미라 ( Meera Choi ),최샛별 ( Setbyol Choi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論集 Vol.50 No.1

        본 연구는 기혼 남녀가 가정 내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특히 자녀 양육 및 부모 돌봄, 배우자 돌봄 등을 포괄하는 ‘가족 돌봄’이라는 영역에서 그러한 차이가 어떻게 발현되는 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조사 대상 중 기혼 남녀 73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 및 가족 돌봄을 포함한 전반적인 ‘가정 내 역할 수행’과 그 하위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돌봄 노동’ 영역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 수행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시간 가용성 관련 변수들이 가장 큰 예측력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 전반적인 가정 내 역할 수행과 돌봄 노동 모두에서 시간가용성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이 두드러진다. 자신의 근로시간이 짧을수록, 배우자의 돌봄 시간이 길수록, 배우자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여성의 가정 내 역할 수행 시간이 증가한다. 반면 남성은 배우자의 돌봄 노동시간이 길수록 가사와 돌봄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경향을 보여, 부부의 가정 내 역할 수행이 두 사람 사이의 ‘분담’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보다 필요 노동량에 따라 함께 ‘연동’해 움직이는 관계에 놓여있음이 확인 된다. 둘째, 가족 생활주기 역시 남성과 여성 모두의 전체 가사 역할 수행과 돌봄 노동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였다. 특히 ‘자녀학령기’라는 생활주기는 여성에게 있어 가정 내 역할 수행, 그중에서도 특히 돌봄 노동을 증가시켰다. 그런데 생활주기가 가정 내 시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은 성별에 따라 달라서, 남성은 생활주기 상 자녀가 커갈수록 가족 형성기와 비교해 가정 내 역할수행과 돌봄 노동이 줄어드는 ‘부적인’ 영향력이, 여성의 경우 반대로 자녀 학령기와 미취학기에 노동시간이 늘어나는 ‘정적인’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셋째, 부부간 상대적 자원과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력은 미비했다. 남성의 경우 전체 가정 내 역할 수행에 ‘배우자의 절대적 소득 수준’이 영향을 주고, 여성은 돌봄 노동에 있어 ‘본인의 상대적 소득 수준’이 남편보다 많을 때 오히려 돌봄 노동시간이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 두 경우 모두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크지 않다. 특히 남성이 부인의 근로 시간 같은 가족 외 여건과 무관하게 부인이 벌어오는 절대적 소득의 영향만을 받는다든지, 부인이 남편보다 소득이 더 높은 경우에 오히려 더 많은 돌봄 노동을 하는 현상은 부인의 자원이나 시간 부족이 가사노동을 피할 수 있는 이유가 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여성들은 남편보다 소득이 많을 때 오히려 더 많은 돌봄 노동을 함으로써 젠더 수행의 차원에서 사회가 주입한 성역할 이념을 실천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married men and women’s mechanisms in playing their family role, especially on explaining how such differences are manifested in the area of ‘care’. This study use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from 734 sample of married men and wom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various factors, time availability had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in both men and women’s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For women, a great diversity of variables related to time availability was prominent in both the overall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Women spent more time on the family role when their working hours were shorter and the spouse’s care labor time and working hours were longer. On the other hand, men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and care labor when their spouse’s care labor time were longer. This revealed that the family role performance of men was “interconnected” rather than “divided.” Secondly, the life course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overall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for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children of school age” increased women’s role in the family especially care labor. On the contrary, for men, their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time decreased as children grew bigger. Thirdly, the relative resources couple possess had insignificant influence on family role performance. While for men, ‘wife’s objective level of income’ was a significant factor, women tend to spend more time on care labor when their ‘relative income level’ is greater than their husbands. However, in both cases, the relative influence was not that significant. Nonetheless, this suggests that the wife’s economic resource and a shortage of time does not provide a legitimate reason to avoid their housework. In addition, women who earn more income than their husbands tend to practice gender role ideology by spending more time on care labor.

      • KCI등재

        소비의 계급적 지형과 그 함의 : 식생활 및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최유정(Choi, Yu Jung),최샛별(Choi, SetByo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2

        This research includes attempt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pattern among classes based on the consumption symbolism that has developed through consumption research, and the cognizance of class influenc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andscape of consumption among classes and their sociological implications in the two realms of dietary and clothing lifestyle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P. Bourdieu's hierarchical theory and its advanced form, the omnivore theory.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various domains of dietary and clothing lifesty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sumer preference and attitude according to class.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by class, the upper-middle class had an omnivore consumer preference as well as an inclusive and multifaceted consumer attitude in dietary and clothing lifestyles, rather than a limited consumer preference that is perceived as so-called "high class." The consumer preference of the middle class can be categorized distinctly into two groups: the old and new. The new middle class's attribute usually follows that of the upper-middle class and shows a level similar to it, but holds characteristics of flaunting, having other-directed attitudes, and pursuing refinement. As for the old middle class, they come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new middle class in some dietary and clothing lifestyles,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more conservative than the working class and show a more practical preference. The working class has a unique taste for objects and pursues newness in dietary lifestyle, and shows their courage and wisdom by surpassing the old middle class in clothing consumption preference. The lower class in the city generally shows the characteristic of no specific preference in dietary and clothing lifestyles, but a distinguishing fact is that they have a consumer preference similar to that of the upper-middle class in health-oriented food. 본 연구는 소비 연구의 흐름 속에서 발전된 소비의 계급적 의미에 대한 인식을 근거로 계급별 소비 패턴과 차이의 양상들을 파악해보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계급 논의와 그 발전된 형태인 옴니보어 가설을 이론적 자원으로 삼아 식생활과 의생활 두 영역에서 나타나는 소비의 계급적 지형과 그 사회학적인 함의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활 및 의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계급에 따른 소비 취향과 태도의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계급별 특성을 살펴보자면 중상계급은 식생활과 의생활 모두에서 소위 '고급'이라고 인식되는 제한된 소비 취향을 가지고 있기 보다는 옴니보어적인 소비 취향과 포괄적이고 다면적인 소비 태도를 보였다. 중간계급의 소비 취향은 신, 구 두 집단으로 명확히 분류된다. 그 중 신중간계급의 취향은 주로 중상계급을 추종하는, 그에 가까운 수준을 보이나 다소 과시적이고 타인지향적인 태도를 보이며 세련됨을 추구하는 특징이 있다. 구중간계급의 경우 식생활 및 의생활 영역 일부에서 신중간계급에 버금가는 위치를 차지하는가 하면, 그와 동시에 근로계급보다도 한층 보수적이고 실용적인 취향을 보여주기도 한다. 근로계급의 경우에는 독특한 선호의 대상들과 취향을 내면화하고 있는 가운데, 식생활에서 새로움을 추구하는 부분이나 의류 소비 취향에서 구중간계급을 능가하는 취향의 담지자로서의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도시하류계급은 대체적으로 식생활과 의생활 모두에서 무취향적 특성이 두드러지나 건강 지향적인 음식 소비 취향만큼은 중상계급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높은 것이 특징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