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 변화 회의론에 대한 고찰과 기후 변화 교육의 함의

        김남수(Kim, Namso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1

        Climate change skepticism has been influential in various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climate change solutions by challenging the climate change advocacy which is more dominant position in the climate change debate. This paper compares climate change skepticism with climate change advocacy and then reviews the impacts that the former has made on climate change policy and public perception. The climate change skepticism could be in fact categorized into various positions in a spectrum according to its focus on trend, attribution, impact, solution, personal behavior, and social change. Such understanding implie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th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skepticism per se need to be considered rather than climate change skepticism is generally discussed. Meanwhile, climate change skepticism also shares many features with a nonchalent position in general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paper sugges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cluding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science, integration into energy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articipatory competency and understanding about learners through qualitative means to evaluation.

      • KCI등재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진단 및 차기 교육과정 개선안 제안

        김남수(Namsoo Kim),주형선(Hyungson Ju),이선경(Sun-Kyung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의 총론과 2019 누리과정을 분석하고, 이후 개정될 차기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2015개정 국가교육과정 총론 문서는 ‘환경’과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을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2) 차기 국가교육과정에는 환경과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이 어떤 방식으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한가? 환경 문제와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의제이자 공동의 해법이 필요한 문제 영역이며, 학습자들의 환경권 차원에서도 반드시 다루어야 할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 총론 문서에는 가시적으로 반영되어 있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2019 누리과정 문서에서는 더불어 사는 삶, 추구하는 인간상 등에 환경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이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교육이념, 추구하는 인간상, 핵심역량,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학교급별 교육 목표,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등 각 항목에 환경교육을 반영하기 위한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19 Nuri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rie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to be revis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al with interest in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what extent? 2) How is it appropriate to include contents of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climate change are not visible i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they are major agendas around the world and areas that require a common solution, which must be addressed, are in terms of learners rights. In contrast, in the 2019 Nuri curriculum document,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more actively reflected in the concept of ‘life of co-existence’ and ‘the human image pursu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to integrat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to the next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provided for each item, such as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e human image to be pursued, core competencies, the empha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for each school level, and standard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by school level.

      • KCI등재

        환경교육 용어 사전 편찬 기획 연구

        김남수(Namsoo Kim),조성화(Seonghoa Cho),황세영(Seyoung Hwang),현명주(Myeongju Hye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1

        이 연구는 2009년에 실시된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환경교육 용어 사전의 편찬을 위한 실행 계획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1) 기초 연구에 대한 검토와 보완, 2) 용어 목록 업데이트, 3) 유사 사전 검토, 4) 의견 수렴과 결과 반영, 5) 견본 원고 작성과 검토 및 절차 계획 및 시범 진행, 6) 용어 사전 집필 요령과 편찬 절차 계획 작성 및 제안 등으로 구성되었다. 우선 2009년 기획연구(2009)의 원칙들을 재확인하고, 이 연구에서는 의견 수렴과 용어 목록 업데이트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최근 환경교육 분야 연구물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143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의견 수렴 결과를 반영하여 128개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각 과정에 대한 소개와 결과를 기술하고, 각 단계에서 제시된 여러 쟁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action plan for the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lexicon, based on previous work conducted in 2009. The project proceeded as follows: (1) a baseline study of the list of key words and principles for writing, (2) an update of the list of key words, (3) an actual opinion-gathering process, (4) a review of the opinions and a revision based on the review, (5) samples of writing, and (6) a final decision regarding the procedures for publication and dissemination. In the process, the principles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for Korean EE lexicon were reaffirmed, and the current project focused on opinion-gathering and an updated list of the key words. Initially, 143 key words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n the number was reduced to 128 after expert consultation. The current paper reports these processes in detail and seeks the consultation of the scholarship in this field.

      • KCI등재

        초등학교 전문학습공동체의 환경 수업 공동 설계와 실행 사례 연구

        김남수(Kim, Namso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3

        This study described the meanings and processes about a joint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within an elementary school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an environment class. After discussing professionality of teaching environment,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for understanding this case, the processes of a joint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were described in its order of the timeline. 6th grade teachers in this case restructured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curriculum integrating its topics into environment. They jointly planned, implemented and reflected a class, dealing with three topics from the process of restructured curricular contents. They were also resolving a variety of dilemmas and choices for designing an environment class by sharing them with their cohorts. At the same time, the practice of teaching were changed by implementing the jointly planned lesson within each classroom, watching each videotaped class together, and having reflective dialogues with their cohorts. These 6th grade teachers were able to gain knowledge for teaching by contemplating over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o topic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their students.

      • KCI등재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1년차 서울형 혁신학교의 수업 혁신 활동의 이해

        김남수(Kim, Namsoo),이혁규(Lee, Hyugky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문화역사활동이론(CHAT)은 장기간에 걸쳐서 일어난 일련의 목표 지향적이며 인공물이 매개하는 집단적 행위로 이루어진 활동을 기본적인 분석 단위로 삼는다. 하나의 활동 체계는 주체, 목표, 인공물, 규칙, 공동체 그리고 분업 등 여섯 가지의 기본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동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딜레마들은 개별 요소 내부의, 요소 간의 혹은 각기 다른 활동 체계 간의 모순으로 설명하고 이 모순들은 변화와 개선의 실마리를 찾는 지점으로 본다. 본 논문은 문화역사활동이론이 제안하는 활동 체계를 틀로 삼아 서울형 혁신학교 사업에 참여한 지 1년차인 A 중학교의 수업 혁신 활동을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한 학기 동안 진행된 참여 관찰을 통하여 얻은 자료들을 수업 혁신 활동 체계를 시작하게 된 매개 개념과 목표, 수업 혁신 활동의 주체와 인공물, 공동체와 규칙 그리고 분업(과 협업) 등의 요소로 구분하였다. 수업에서 발견된 문제적 상황이자 개선을 위해 해법이 필요한 지점은 기존의 수업 활동과 수업 혁신 활동 체계 간의 목표와 분업의 충돌, 인공물간의 충돌 그리고 공동체와 분업의 충돌 등으로 야기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takes a collective, artifact-mediated and object-oriented activity system as the prime unit of analysis. Subject, object, artifacts, rule,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are the six elements of an activity system. The modes of relations or contradictions between these elements, within an activity system or between interacting activity systems, are central to identify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activity and seeking transform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activity system classroom innovations at a middle school, in its first year phase of Innovative Schools Project in Seoul.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we identified various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mediating concepts and object, subject, artifacts, community, rules and division of labor. We then analyzed dilemmatic situations encountered during classroom instructions in terms of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existing classroom activity system and the new innovative system in their objectives, artifact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 항공 라이다 데이터의 타일단위 지형분류와 건물 타일의 항공 이미지를 이용한 정확한 건물 외곽선 추출 기법

        김남수(NamSoo Kim),김유성(Yoo-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1B

        본 논문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건물의 외곽선을 추출하기 위해서 항공 라이다 데이터를 타일 단위지형 분류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건물 관련 타일의 항공영상으로부터 에지 정보를 추출하여 정확하게 건물 외곽선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건물 외곽선 추출 기법에서는 대부분의 연산을 타일 단위로 수행하고 항공영상의 특징 추출 범위를 건물 영역에 집중시킴으로써 건물의 외곽선을 정확하게 추출하는 과정의 처리속도를 개선하였다.

      • KCI등재

        항공 라이다 데이터의 타일단위 지형분류와 건물 타일의 항공 이미지를 이용한 정확한 건물 외곽선 추출 기법

        김남수(NamSoo Kim),김유성(Yoo-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8 No.12

        본 논문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건물의 외곽선을 추출하기 위해 타일 단위 지형 분류 기법을 이용하여 항공 라이다 데이터를 분류하고, 건물 관련 타일의 항공 영상으로부터 에지 정보를 추출하여 정확하게 건물 외곽선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건물 외곽선 추출 기법에서는 고비용의 점 단위 연산 대신에 대부분의 연산을 타일 단위로 실행하고 항공 영상의 특징 추출 연산의 적용범위를 건물관련 타일에 제한시킴으로써 건물의 외곽선을 정확하게 추출하는 과정의 처리속도를 개선하였다. In this paper, a building outline extraction scheme using tile-based topographical classification and building tile’s airborne image is proposed for extracting building outline quickly and accurately. Aerial LiDAR data is classified using the tile-based topographical classification and edge information extracted from aerial images of the tiles related to the building is used for recognizing the exact separation of adjacent buildings. Since most operations of the proposed scheme are performed by tile units and feature extraction from airborne images is restricted to the building-related tiles, execution time of the proposed scheme is improved.

      • KCI등재

        차세대 T-DMB 방송의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층적 전송방식에 대한 연구

        김민혁(Minhyuk Kim),박태두(Taedoo Park),김남수(Namsoo Kim),정지원(Jiwon Jung),이성로(Seongro Lee),최명수(Myeongsoo Choi)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12C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ureka-147 표준안 기반 지상파 DMB 방송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부가서비스를 첨가하기 위하여, UEP 방법과 계층적 변조기법을 적용하여 차세대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비균등 16QAM 방식을 사용한 차세대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 다양한 비트분리 방법과 부가서비스 스트림에 DVB-RCS 규격의 double binary turbo code와 DVB-S2 규격의 LDPC등을 적용하여 그 성능을 시뮬레이션 하여 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지상파 DMB 채널 코딩방식에 비해 double binary turbo code와 LPDC 부호가 각각 2㏈, 3.5㏈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dvanced T-DMB system which is based on Eureka-147 using UEP coding methods and hiererchical modulation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while maintaining BER performance. We simulated the proposed advanced T-DMB system using unequal 16QAM modulation scheme combined with various bit split methods and coding methods such as double binary turbo code of DVB-RCS standard and LDPC code of DVB-S2 standard. In the simulation results, double binary turbo code and LDPC code of proposed advanced T-DMB system have coding gain of 2㏈ and 3.5㏈ compared to conventional T-DMB system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