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화학 I 수업이 자연계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윤희숙,홍훈기,Yoo, Mi-Hyun,Yoon, Hee-Sook,Hong, Hun-Gi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mall-Scale Chemistry(SSC) lab program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11th grade science-majored students. For this study, a SSC lab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textbook of high school chemistry I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SSC experiment lessons(SSC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received traditional experiment lessons. After students were grouped high and low level according to the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sc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using 2-way ANCOVA.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SSC lab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arge-Scale lab program based on the textbook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cores of interest toward science-related careers and creativity for the SSC group, which are subcategories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comparison group. In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SC lab program, majority of students thought that the SSC lab program was convenient, effective and interesting. 이 연구의 목적은 Small-Scale Chemistry 실험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를 분석하여 SSC 화학 실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실험집단은 SSC 실험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사전 과학성취도 점수를 이용하여 상하 수준으로 나눈 후 이를 구획변인으 로 하는 이원 공변량(2-way ANCOVA) 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SSC 실험 프 로그램은 전통적 Large-Scale 실험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과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중에서 과학에 대한 직업적 흥미와 창의성 등에서 SSC 실험 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SSC 실험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SSC 실험이 편리하 고, 효과적이며 흥미로운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 KCI등재

        기원론적 접근법에 따라 개발한 과학사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입자론적 물질관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여상인,홍훈기,Yoo, Mi-Hyun,Yeo, Sang-Ihn,Hong, Hun-Gi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2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입자론적 물질관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과학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의 구성' 단원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개발된 과학사 프로그램은 기원론적 접근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자들로부터 아보가드로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처치 전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고, 이전 학년의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 중학교의 2개 학급(실험 집단 1학급, 비교 집단 1학급)에서 총 24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 집단은 과학사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업을 받았고 비교 집단은 교과서를 이용한 전통적 수업을 받았다. 처치 후 과학 개념 검사,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실험 집단의 과학 개념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p<.01). 이는 실험 집단의 학생들이 비교 집단에 비해 입자적 물질관을 더 많이 갖고 있으며 오개념은 더 적게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점수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In this study, science history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student's concepts toward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was investigated in the lesson of ‘Composition of Matter'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This science history program was based on genetic approach and included the contents from the old Greek natural philosophers to Avogadro. Before instruction, the test of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science was administered, and the science scores of the previous course were obtained, which were used as covariates. During 24 class hou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classes(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in a middle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lessons by science history programs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received traditional lessons. After instruction, the scientific concept test, the test of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science were administer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cientific concep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parison group at p <.01 level of significance. It means that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has more sound conceptions about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less mis conceptions about matter than the students in comparis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score of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 KCI등재

        "영화공작소" 과학,예술 융합형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 진로인식 및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교신저자) ( Mi Hyun Yoo ),박기수 ( Gi Su Park ),장우진 ( Woo Jin Chang ),석혜정 ( Hae Jung Suk ),김성환 ( Sung Hwan Kim ),박문숙 ( Mun Sook Park ),이진아 ( Jin A Lee ),이종섭 ( Chong Sup Lee ),진숙희 ( Suk Hee Jin ),유화수 ( Hw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공작소” 과학-예술 융합형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82명이 참여하였다. 43명은 실험집단으로, 39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과학진로지향도, 진로인식, 창의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 중 과학 학습 선호도, 과학 진로선호도와 과학 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05). 둘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진로인식 전체 점수와 4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05). 셋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창의적성향 전체 점수와 독립심, 개방성의 2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05). 넷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 학생의 인식을 조사한결과 프로그램이 흥미로웠고, 수준은 약간 쉬웠으며 또 다시 공부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vie Production Project” Science-Arts convergence STEAM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career aware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Participants were 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s total score of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Among sub-areas, science learning preference, science career preference and perception on science career wor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s career awareness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including all sub-areas. Third, experimental group``s creative personality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including 2 sub-areas, independence, openness. Finally,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erception on the program showed that it was interesting, a little easy and they hoped to study again.

      • KCI등재

        `실버케어 전문가`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 ( Mi Hyun Yoo ),최정진 ( Jung Jin Choi ),박문숙 ( Mun Sook Park ),채수진 ( Su Jin Chae ),김보라 ( Bo Ra Kim ),손미현 ( Mi Hyun Son ),임은경 ( Eun- Kyong Lim ),유화수 ( Hwasoo Yu ),서종원 ( Jong Won Seo ),김주미 ( Ju Mi Kim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실버케어 전문가` STEAM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110명이 참여하였다. 54명은 실험 집단으로, 56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케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전체 점수와 2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진로인식 전체 점수와 4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와 7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넷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 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나는 과학기술 분야와 관련된 직업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라는 항목에서 가장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ilver Care Expert`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reative thinking ac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leadership. Participants were 1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the test about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awareness and scientific attitud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all 2 sub-domains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p<.05). Second,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career awareness and all 4 sub-domai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after the STEAM program(p<.05). Third,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scientific attitude and all 7 sub-domai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p<.05). Fourth, according to students` post-program opinions,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perception like that science class was very interesting and they became interested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clusion, `Silver Care Expert` STEAM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awareness, scientific attitudes.

      • KCI등재

        교사 - 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학업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학교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미현 ( Yoo Mi-hyun ),이경님 ( Lee Kyung-n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하여 교사 - 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학업능력 및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 중 1,137명 유아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교사 - 유아 상호작용은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아의 학업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학업능력은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하여 학업능력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학업능력 함양과 긍정적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지도 방안 및 교사 상호작용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춘 교사교육이 유아의 학교준비도 증진을 위하여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acher-child interaction, young children’s academic skills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school readiness. For this study, 6th years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s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The sample for this study were 1,137 young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cademic skills and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young children’s academic skills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readiness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peer play interaction. Third, young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school readiness. Additionally young children’s academic skill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school readin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mproving young children’s academic skills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teacher’s positive interaction could help facilitate children’s school readiness.

      • KCI등재
      • KCI등재

        적정기술 주제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과학적 태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 ( Mi Hyun Yoo ),박기수 ( Gi-su Park ),최정진 ( Jung Jin Choi ),임미라 ( Mira Lim ),이진아 ( Jina Lee ),신민철 ( Minchul Shin ),이종섭 ( Chong-sup Lee ),이양은 ( Yang-eun Lee ),유화수 ( Hwasoo Yu ),정호근 ( Ho-keun Chu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적정기술 주제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3학년 85명이 참여하였다. 40명은 실험집단으로, 45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창의적 사고활동, 과학적 태도,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적정기술 주제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전체 점수 와 4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적정기술 주 제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와 호기심, 자진성, 끈 기성 3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적정기술 주 제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리더십 전체 점수와 개인 내 특성, 개인 간 특 성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과학적 태도,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ppropriate Technology’ theme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reative thinking ac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leadership. Participants were 3grade 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the tests about creative thinking ac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leadershi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creative thinking activity and all 4 sub-domains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p<.05). Second,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scientific attitu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p<.05). Among 7 sub-domains, curiosity, voluntariness, perseverance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Third,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after the STEAM program (p<.05). In the first factor, the score of inner and inter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 ( Mi Hyun Yoo ),박현주 ( Hyun Ju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科學敎育硏究誌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22명의 고등학교 학생들이다. 연구를 위해서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할당하였다. 실험 집단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을 3개월 동안 받았다. 연구 설계는 실험 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며, 데이터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었다. 수업에 활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의 유형은 과학 영화, 과학다큐멘터리, 과학 TV 프로그램과 학생 스스로 제작한 파워포인트 등이었다. 수업 처치 전·후에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두 집단 간의 사전검사 점수와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공변량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성별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공변량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더불어 실험 집단 학생들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에 대한 태도 사후점수가 사전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과학수업에 대한 태도, 과학교과 내용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 분석한 결과 남학생, 여학생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영역 중 과학 과학자 사회에 대한 태도 점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 81%의 학생들은 과학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여주었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으며, 69%의 학생들은 과학-기술-사회와의 관련성을 생각해보게 해주었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자료 유형은 과학 영화, 과학다큐멘터리, 과학 TV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 using the multimedia materials o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The subjects were 222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11th graders at a high school were assigned to a comparison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science class using multimedia materials for 3 months. The research design w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he types of multimedia materials used in experimental group were science fiction movies, science documentaries, TV programs, and Power Point presentations created by stude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attitude toward science tests were administered. Pre-tests and post-test score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were analyzed by ANCOVA. The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science based on gender were compar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d the perception on science class with multimedia material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toward scie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applying science classes using multimedia materials. E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core of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and attitude toward science content which were sub-area of attitude toward scienc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in total score of attitude toward science. However, the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tists and society, which was a sub-area of attitude toward science,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Third, 84% student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that the science class enhanced their interest in science. 69% the students responded that we had thought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Multimedia material types which the students prefered were science fiction movie, science documentaries, science TV programs, respectively.

      • KCI등재

        '과학사 기반 화학자 탐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박기수,유미현,Park, Gi-Su,Yoo, Mi-Hyun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ience History Based Chemist Inquiry Program' for the science-gifted in high school and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toward the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career orien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one class of 17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cience History Based Chemist Inquiry Program' was applied during 22 class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toward the nature of sc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pproximate significance probability .005). Property of the scientific model, sub-domain of the nature of science, is significantly improved (approximate significance probability .029). This result show that 'Science History Based Chemist Inquiry Program' can improve the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nature of science. Second,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wasn't changed significantly. However, the openness and creativity in the sub-domains of the scientific attitud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5). Third, science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gifted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But the value of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science career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p<.05).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특성에 맞는 '과학사 기반 화학자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교 부설 영재학급에 선발되어 교육받는 영재학생 1학급 17명이며, '과학사 기반 화학자 탐구 프로그램'은 22차시에 걸쳐 적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근사유의확률 .005). 과학의 본성 하위 요소 중에서는 '과학적 모형의 속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근사유의확률 .029). 이는 '과학사 기반 화학자 탐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적 태도의 7가지 하위 영역 중 개방성과 창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셋째, 과학영재의 과학 진로지향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 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수준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 KCI등재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민경아,유미현,고호경,Min, Kyung-A,Yoo, Mi-Hyun,Ko, Ho-Kyoung 한국학교수학회 201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2010까지의 수학영재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영재교육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수학영재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수학영재교육 학위논문 295편과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의 등재지 및 등재 후보지 총 10종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168편의 논문들을 각각 분석하였다. 연도별 논문 편수를 분석한 결과 2004년을 기점으로 수학영재교육 의 학위논문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현재까지 그러한 경향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주제별 학위논문의 분석 결과 수학영재교육의 프로그램 교육과정에 대한 개발 연구, 영 재의 특성 연구 순으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른 논문 편수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학위논문에서는 프로그램 및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학술지 논문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학영재교육의 방향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d suggested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 by looking into domestic research trends in relation with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from 2000 to 2010. 168 theses were analyzed by researching these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and the total 10 kinds of special journals that are registered or to be registered a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order to find a research trend about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ses of each year, the number of theses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largely since2004 and it is steadily being conducted until no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ses for each research theme, frequency was shown in order of development research about educational course program for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and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the talented children. For analysis result of research target, research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taken great importance. For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research about development of program and research tool was used in these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mainly used in journals and therefore a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