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추출방법이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유래 단세포유지 지방질과 아라키돈산 추출 수율에 미치는 영향

        김선기(Sun-Ki Kim),정국훈(Guk-Hoon Chung),한정준(Jeong-Jun Han),조상우(Sang Woo Cho),윤석후(Suk Hoo Yoon)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3

        아라키돈산(AA)은 포유동물에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필수지방산으로써 동물조직에서 추출되어 이용되어 왔다. 경제적으로 AA를 생산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AA를 다량으로 생산하는 모르티에렐라 종으로 확인된 M-12균주를 선발하였다. 균체로부터 지방질과 AA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공정, 공정순서, 추출 용매, 추출 방식, 입자 크기 등을 달리하여 추출 효율을 분석하였다. M-12를 GY배지로 25℃에서 7일 배양하여 동결건조한 시료를 사용하였을 때 지질방 중 47% 이상의 AA를 함유하고 있었다. 지방질 추출 효율은 균체의 젖은 상태와 건조 상태로 나눈 전처리 공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클로로폼과 메탄올(2:1) 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으며 헥세인이나 아이소헥세인도 우수한 추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균체를 분쇄하기 위하여 blending, ultrasonication, Ultra-turrex homogenization 등 기계적 분쇄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추출 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균체 입자가 고울수록 유지의 추출 효율은 높게 나타났고 추출 시간보다는 추출 시 입자크기가 추출 효율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출된 유지를 분획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neutral lipids내에 AA의 함량이 65.3-6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n oleaginous fungus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as Mortierella sp. (M-12) for producing arachidonic acid (AA). Cell disruption methods, extraction methods, and particle sizes of freeze-dried biomass were tested to achieve maximum extraction of total lipids and AA. M-12 grown in glucose yeast media at 25℃ for 7 days contained 35.5% total lipid, and 47% of the total lipid was AA. Lipid extraction yield from wet biomass was shown to be similar to that in a dry state. Maximum lipid extraction was achieved using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2:1) as an extraction solvent. Different mechanical cell disruption methods did not affect lipid extraction yields.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biomass, the better the lipid extraction yield was observed. Particle size of biomass was shown to more strongly affect lipid extraction than extraction time. The highest AA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lass of neutral lipids.

      • SCOPUSKCI등재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유래 단세포유지로부터 추출한 지방질의 탈색

        김선기(Sun-Ki Kim),정국훈(Guk-Hoon Chung),한정준(Jeong-Jun Han),조상우(Sang Woo Cho),윤석후(Suk Hoo Yoon)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3

        아라키돈산을 고농도로 함유한 유지를 생산하는 Mortierella sp. M-12로부터 얻은 균체 지방질을 식용에 적합하도록 정제하기 위하여 탈색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동결건조한 균체로부터 Folch’s solvent를 사용하여 균체 지방질 조유를 얻은 후 탈검과 탈산을 거쳐 얻은 탈산유를 50-100 ㎜Hg 진공 하에서 탈색을 진행하였다. 활성백토를 1% 수준으로 첨가하여 90℃에서 20분간 수행하였을 때 식용유지 규격에 적합한 색상을 갖는 탈색유를 얻을 수 있었다. 탈색 공정 중에 부수적으로 일어난 탈검과 탈산 작용으로 인하여 탈색유의 인 함량은 31.7% 감소하였으며, 산값은 0.5로 감소하여 식용유지의 규격에 적합한 수준이 되었다. 모르티에렐라 단세포유지는 일반적인 유지의 탈색공정을 통하여 식용급 동식물 유지와 같은 수준의 탈색유를 얻을 수 있었다. The deacidified oil obtained from the oleaginous fungus, Mortierella sp. (M-12) was bleached, after degumming, using activated clay under a 50-100 mmHg vacuum. The bleaching conditions were partially optimized as follows: activated clay, 1%, bleaching temperature 90oC, and treatment time 20 min. After bleaching, the color of bleached oil as determined by the Lovibond Tintometer, satisfied the specification for edible fats and oils. The bleaching process also decreased the contents of free fatty acids and phosphorus in the deacidified oil. The acid value of the bleached oil also satisfied the specification for edible fats and oils. It was early shown that the normal bleaching process can be used for the bleaching of heavily-colored microbial lipids for human consumption.

      • KCI등재

        오징어 유래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의 in vitro 항염 효과

        염미정(Mijung Yeom),박현정(Hyun-Jung Park),심현수(Hyun-Soo Shim),심인섭(Insop Shim),한정준(Jeong-Jun Han),정국훈(Guk Hoon Chung),허송욱(Song Her),정동명(Dong-Myong Jeong),함대현(Dae-Hyun Hah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Raw264.7 대식 세포주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와 interleukin-1 beta (IL-1β)의 분비에 대한 오징어 유래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Raw264.7 대식 세포주에서 PS의 세포독성 효과는 MTT 분석으로 조사하였으며, TNF-α와 IL-1β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 정도는 각각 RT-PCR 및 ELISA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PS는 100μg/ml 농도까지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IL-1β와 특히 TNF-α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염증성 질환을 위한 유용한 물질로써 PS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squid-derived phosphatidylserine (PS) have been evaluated o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releas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and interleukin-1 beta (IL-1β) in the macrophage Raw 264.7 cells. The cytotoxicity of PS in Raw 264.7 macrophages was measured by MTT-based cytotoxicity assay.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 (IL)-1β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reverse-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pectively. Cytotoxic effects of PS in Raw 264.7 macrophages were not observed at concentration up to 100 μg/ml. Squid PS inhibit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TNF-α but not IL-1β.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quid-originated PS exhibited a significant activity of anti-inflammation in vitro and might be a useful candidate for treating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Korean J Str Res 2011;19:89∼95)

      • KCI등재

        효과적인 항암효능측정을 위한 발광 전립선 세포의 개발 및 평가

        Mi Sook Lee(이미숙),Jae-In Jung(정재인),Seung-Hae Kwon(권승해),In-sop Shim(심인섭),Dae-Hyun Hahm(함대현),Jeong-Jun Han(한정준),Daeseok Han(한대석),Jung Han Yoon Park(윤정한),Song Her(허송욱)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1

        기존의 동물모델에서 암의 성장은 caliper를 이용하여 고형암 부피를 측정으로써 조사하였으나, 암 조직 속의 괴사와 부종으로 인하여 부피측정에 신뢰성이 결여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광 암세포를 이용하여 광학생체영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개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 발광 암세포를 제조하여 고형암 동물모델에서 B16 발광 암세포와 암 성장을 비교 측정하여 신규발광 암세포를 평가하였다. In vitro에서 세포 수와 발광강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R²=0.99), 고형암 동물모델에서 암 성장 측정은 괴사에 의한 오차를 줄였다. 이러한 발광신호를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은 caliper의 부피 측정에 비하여 높은 항암효과를 보임으로써 기존의 발광 암세포보다 신규 발광전립선 암세포의 유용성을 증명하였다. Caliper measurements of tumor volume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assessment of tumors in animal models. However, experiments based on caliper data have resulted in unreliable estimates of tumor growth, due to necrotic areas of tumor mass. To overcome this systematic bias, we engineered a new luciferase-expressing rat prostate cancer cell line (MLL-Luc) that produces bioluminescence from viable cancer cells. MLL-Luc cell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bioluminescence intensity and cell number (R²=0.99) and also accurately quantified tumor growth, with reduced bioluminescence signals caused by necrotic cells in a subcutaneous MLL-Luc xenograft model. The accurate quantification of tumor growth with bioluminescence imaging (BLI) was confirmed by a better antitumor effect of combination chemotherapy, compared to that based on caliper measurements with a correlation between the bioluminescence signal and tumor volume (R²=0.84). These data suggest that bioluminescent MLL xenografts are a powerful and quantitative tool for monitoring tumor growth and are useful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anticancer drugs, with less systematic bi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