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 Learning (로봇기반교육)이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원의 인식

        황해익 ( Hae Ik Hwang ),최혜진 ( Hye Jin Choi ),손원경 ( Won Kyoung Son ),강신영 ( Shin Young Kang ),조은래 ( Eun Lae Cho ),김미진 ( Mi Jin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R-Learning 시스템의 도입이 유아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R-Learning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 6명과 유치원교사 l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분류체계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운영에는 도움이 되고 있었으나 환경구성과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이 드러났다. 둘째, 교사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일과 운영 시 역할지원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전문성 신장 측면과 일반적인 교사 역할의 업무지원에서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셋째, 유아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한 결과, 흥미 면에서는 유아들이 친근감을 갖고 스스로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R-Learn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researchers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6 kindergarten directors and 14 kindergarten teachers who implemented R-Learning. The collected materials through this were analyzed by a classification system, the effect of the R-Learn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as detected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however, there were generally nega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composition and managemen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R-learning were generally positive on the daily management task support, but not all the teachers were positiv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eneral role support. The R-Learning on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on their interest and languag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 KCI등재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ㆍ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비교

        황해익(Hwang Hae-Ik),최혜진(Choi Hye-Ji),배인숙(Bae I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이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봄으로써,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돕고, 유치원 평가가 성공적으로 실시되기 위해 우선 파악되어야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울산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272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필요성 및 준비과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의 절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 및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본 결과,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도 교육과정영역과 종일반 운영 영역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력활동에 대한 필요성이나 평가결과의 활용면에서는 공립유치원 교사들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and find out comments to effectively participate with kindergarten assess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lsan, Busan.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wareness, the process and method,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nd make use of result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was higher.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stronger view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that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in some items. Second,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re in agreement with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in the first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is for ‘reconsideration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national-level’. Third, both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only to the evaluated kindergarten.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 the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to help teachers who effectively participate with kindergarten assessment.

      • KCI등재

        유아의 수학학습잠재력 측정도구의 개발 연구

        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역동적 평가를 통해 유아의 현재 수학능력뿐만 아니라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학습에 대한 잠재력을 측정함으로써 각 연령대별 유아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개발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방법이나 내용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화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역동적 평가를 적용한 유아의 수학학습잠재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수학학습잠재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하여 역동적 평가와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시안을 작성한 후 1차,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죄종 시안이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시안은 사전ㆍ사후 검사 24문항, 훈련검사 10문항, 전이검사 1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유아 수학학습잠재력 측정도구의 문항 양호도(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와 검사 양호도(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학습잠재력 측정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 based on dynamic assessment. The research objective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draw up a draft to assess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of young children. 2.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items of the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ools. 3.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assessment tools. The final draft was drawn up by revision and addition after the first and the second pretest with the items which were made after a literature analysis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subjects were 355 four and five year old children at four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l draft of the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 consists of 4 subtests, that is, 24 questions in the pre-latter test, and 10 questions each in the training and transfer test.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item adequacy shows that passing rate was increased by training and transfer test. The item-discrimination and item-total correlation indicated that most items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ools were fairly good. Third, the Cronbach a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ools was between .82-.91 and construct validity was between .67-.80. In conclusion, this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 turns out to to be valid and reliable.

      • KCI등재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해익(Haeik Hwang),신현정(Hyunjeong Shin),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함으로써 행복한 상태를 알게 되는 메타인지의 원리를 반영한 교사용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의 강점리터러시와 관련된 문헌 고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예비검사용 척도 44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최종 도출된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예비시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20명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04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의 2가지 하위 요인으로 10문항씩 총 20문항이 도출되었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문항반응분포, 문항변별도, 문항내적합치도, 구성타당도, 모형적합도는 적절하였다. 결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개발 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강점리터러시를 일관되게 평가하는 안정된 도구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도출된 2개의 영역 중 강점인식이 강점활용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활용적 측면에서는 본 척도의 개발이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에서 관찰 가능한 유아의 강점리터러시를 확인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유아가 자신의 대표강점을 인식하고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ng the metacognitive principle in which children know happiness by recognizing and using their strengths. Methods: The scale was developed 44 items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lated to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e final preliminary draft of scale was corre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0 children aged 5.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wo elements were strengths-recognition and strength-utilization, with a total of 20 items.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item internal consistency, construct validity, and model fit were satisfactory. Conclusions: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tool for consistently evaluating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is study will help children recognize and actively utilize their representative strengths.

      • KCI등재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도구의 타당화 연구

        황해익(Hwang Hae-Ik),김선형(Kim Sun-Hyoung),조은래(Cho Eun-L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역동적 평가를 통하여 유아의 현재 수학능력뿐 아니라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학습에 대한 잠재력을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개별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방법이나 내용 선정에 도움을 주는 양적, 질적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도구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유아수학학습잠재력의 역동적 평가도구의 문항 양호도(문항 통과율, 문항변별도)와 검사 양호도(신뢰도,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학습 능력 및 잠재력을 측정하는 역동적 평가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 과정에서 나타난 연령 간 발달경향을 알아본 결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 교수효과를 살펴본 결과 역동적 평가과정의 교수단계인 훈련검사와 전이검사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받은 집단의 유아들의 수학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함으로써 교수효과성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develop a dynamic assessment tool for the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of preschoolers by applying tasks about four areas of mathematics including number counting, pattern, geometry and measurement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current mathematical ability and learning potentiality of preschoolers. The selected research tasks were as follows: First, examine the item adequacy of the dynamic assessment tool for pre-school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developed in this study. Second, investigate the test adequacy of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ird, validate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e final draft consisted of three segments: pretest/posttest with 26 items, training test with 13 and transfer test with 13. When the assessment tool was checked in terms of item adequacy and test adequacy, it was turned out to be one of appropriate dynamic assessment tools.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황해익 ( Hwang Hae-ik ),이강훈 ( Lee Kang-h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조직몰입,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서번트 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광역시 및 G도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담임교사 178명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 AMOS 21.0을 활용하여 Holmbeck(1997)이 제안한 매개효과 4단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행복플로리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과 조직몰입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위한 방안마련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ing f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lourish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path from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to kindergarten teacher`s flourishing with mediating teaching flow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8 homeroom teachers of 3- to 5-year-old classe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teaching f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lourishing.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kindergarten teacher`s flourishing, indicating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when teaching flow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put into SEM as a mediator variabl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kindergarten teacher`s flourishing.

      • KCI등재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방안 탐색

        황해익(Hwang Haelk),남미경(Nam Mi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지능검사와 같은 정척평가가 갖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Vygotsky (1978)의 근접발달영역(ZPD)과 Feuerstein 등(1979)의 중재학습경험(MLE)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연구 되어온 역동적 평가(Dynamic Assessment)를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몇 가지 역동적 평가방법에 대한 검토에 이어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역동적 평가도구의 개발 및 관련연구를 통해 역동적 평가가 유아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역동적 평가를 취학 전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는 데 적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n dynamic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reviewed on dynamic assessment approaches and dynamic assessment instruments of young children. Several implication and strategies suggested which to apply dynamic assessment on assessment about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Suggest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it should be assessed through error pattern analysi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specially, story problem process and ability. Second, it should be extend the dynamic assessment to varied non-intelligence factor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s motivation, attitude etc. Third it should be accepted integrated approaches, as complement of standard approaches and clinical approaches of dynamic assessment.

      • KCI등재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연구

        황해익(Hwang Hae-lk),송연숙(Song Yeon Sook),송원경(Son Won-Ky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계획, 운영, 평가의 전반적인 측면에 대한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평가척도의 영역별 점수분포, 문항양호도 및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문가협의회, 예비조사, 문항수정의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3개 영역, 11개 소영역, 80개 문항으로 구성된 개발된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척도(시안)가 완성되었으며 이를 전국의 396개 유치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영역별 점수분포, 문항반응분포, 문항변별도(x²) 및 척도의 신뢰도(cronbach ?)를 알아본 결과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s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cale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The instrument include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areas(plan, operation, and assessment), 11-subareas, 80-item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core distribution of the areas and sub-areas. Second, what are the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item discrimination of the scale. Third, what i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Mean, SD, %, X², Cramer's V and Cronbach's ?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score distribution of the plan-area was 3.41-5.79, those of the operation-area was 3.59-3.74, and those of the assessment area was 3.04-3.39. Second, in terms of the item response distribution, there was no ceiling effect item. And in terms of the item discrimin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1)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X² analysis.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high(Cronbach's ?=.98), including internal reliability of sub-areas.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행복 개념 연구

        황해익 ( Hwang Hae-ik ),김선형 ( Kim Sun-hyoung ),이강훈 ( Lee Kang-h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어머니의 행복 개념에 대한 실제적 개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활용하여 어머니 행복과 관련된 웹 데이터를 수집한 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어머니의 행복 개념과 관련하여 자녀, 의사소통, 사랑, 하느님, 아버지 등의 키워드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둘째, 전체 네트워크 상 연결중심성은 ‘자녀’, 근접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은 ‘아버지’, 위세 중심성은 ‘하나님’의 키워드가 데이터 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행복 개념과 다른 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위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본 결과, K-core 분석에서 ‘자녀’, ‘사람’, ‘하나님’, ‘아버지’ 등이 어머니의 행복과 관련하여 연결정도가 강하게 응집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에고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자녀’와 ‘아버지’ 모두 ‘하나님’과 연결강도가 가장 높았고, ‘하나님’은 ‘교회’와 연결 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적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드러난 어머니의 행복과 관련된 개념들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으며, 어머니의 행복 지원을 위한 실증적 연구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ncept of happiness and actual concepts through network analysis in big data. Data were collected 15,946 keywords in web data related to mothers’ happiness, and analyzed using the Textom network analysis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cepts of children, communication, love, God, and father keywords were mentioned most frequently. And Marco-network analyzing results showed that most concepts were strongly connected base on conceptual similarity. The micro-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thers’ happiness concept in detail; it was found that K-core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 ‘people’, ‘God’, and ‘father’. Those were strong cohesion in connection with mothers’ happiness. And the ego network analysis, there were strong connections between ‘child’ and ‘God’, ‘father’ and ‘God’, and ‘God’ and ‘church’.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which related to mothers’ happiness revealed in the actual data network. This research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al research for mothers’ happiness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