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지역 저소득층 여성의 비만 및 영양소 섭취 부족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

        황지윤(Hwang Ji-Yun),류성엽(Ru Sung Yeap),유한경(Ryu Han Kyoung),박희정(Park Hee Jung),김화영(Kim Wha You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도시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및 영양소 섭취 부족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대상자는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한 무료건강검진 센터를 방문한 여성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41~87세 125명의 여성이었다. 대상자들의 72%가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 70%가 50만원 미만의 수입, 68%가 집을 소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을 65세 미만, 이상으로 나누어 봤을 때 65세 미만군의 비만유병율은 BMI (≥ 25 ㎏/㎡) 기준으로 44%, WHR (≥ 0.85) 기준으로 48%, 허리둘레 (≥ 80 ㎝) 기준으로 50%이었다. 65세 이상군에서는 이보다 높아 BMI (≥ 25 ㎏/㎡) 기준 57%, WHR (≥ 0.85) 기준 81%, 허리둘레 (≥ 80 ㎝) 기준으로 79%였다. 대상자는 주로 채소류, 곡류, 과일류를 많이 섭취했다. 모든 대상자에서 열량 및 영양소 섭취 상태는 대체적으로 불량했고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더욱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여자노인에서 EAR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비율은 철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50% 이상이었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량은 RI 수준에 미치지 못했고 그러한 사람의 비율은 65세 미만의 경우 단백질과 Vitamin B6 제외한 65세 이상에서는 모든 영양소에서 50% 이상이었다. 65세 미만에서는 비만 및 영양불량과 사회경제적 지표와의 관련성이 없었다. 그러나 65세 이상에서 비만의 경우 수입과 영양불량의 경우 학력과 집소유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65세 이상에서 연령을 보정한 후에,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만 및 영양부족의 위험도를 살펴본 결과, BMI 기준 비만의 위험도 (OR = 12.601; 95% CI = 2.338-67.911)와 WC 기준 복부 비만의 위험도(OR = 4.778; 95% CI = 1.103-20.696)는 월평균 가구 수입 50만원 미만인군에서 그 이상인 군보다 높았다. 영양섭취불량의 경우,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 (무학)에게서 Vitamin A (OR = 4.555; 95% CI = 1.491-13.914)를 EAR보다 적게 섭취할 위험이 높았고 자기 집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단백질 (OR = 3.660; 95% CI = 1.118-11.981), 인 (OR = 3.428; 95% CI = 1.157-10.158), 철분 (OR = 3.765; 95% CI = 1.205-11.766)섭취가 EAR보다 부족할 위험이 집을 소유한 사람들보다 높았다. 저소득층 노인여성에서 사회경제적 수준은 비만 (소득수준) 및 영양불량 [교육수준(Vitamin A), 자가집 소유 여부(단백질, 인, 철)] 위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여성들의 비만 및 영양불량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ocioeconomic factors relating to obesity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 in women in low income families residing in Seoul. The subjects were 125 women (aged 41-87 y) recruited from the local health center for free health examination for low income families. The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educational level, income level, and housing condition were poor. For subjects aged less than 65 year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44% based on BMI (≥ 25 ㎏/㎡), 48% based on WHR (≥ 0.85), and 50% based on waist circumference (≥ 80 ㎝) and for those more than 65 years, these were greater and 57%, 81%, and 79%, respectively. The main food sources of daily diet were vegetables, grains, and fruits. Energy and other nutrient intake was not adequate for all subjects and the inadequacy was more profound in the elderly, showing percentages of subjects whose intake was less than EAR were greater than 50% for all nutrients except for iron and below RI were also greater than 50% for all nutrients.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nutrient inadequacy were not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status in subjects aged less than 65 years, however, obesity was associated with household income and nutrient inadequacy was related to education (vitamin A) and housing status (protein, phosphate, and iron) in the elderly. After adjustment for ages, in the elderly, OR for obesity (BMI ≥ 25, OR = 12.601; 95% CI = 2.338-67.911) and central obesity (WC ≥ 80 ㎝, OR = 4.778; 95% CI = 1.103-20.696) were greater in subjects who earned less than 500 thousand Won per month than who earned more. For inadequate nutrient intake, the OR for inadequate intake of Vitamin A (OR = 4.555; 95% CI = 1.491-13.914) was greater in subjects with no education than those educated. Subjects without her own house had greater risk for inadequate intake for protein (OR = 3.660; 95% CI = 1.118-11.981), phosphate (OR = 3.428; 95% CI = 1.157-10.158), and iron (OR = 3.765; 95% CI = 1.205-11.766) than subjects possessing her house. In elderly females in low income families, the socioeconomic status was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obesity (income level)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 (education level and housing status). More attention on these groups should be given for prevention of obesity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

      • KCI등재

        질적 연구를 통한 삶의 맥락적 관점에서의 노인의 도시락 및 밑반찬 배달 서비스에 대한 수용 태도 및 적응에 대한 이해

        황지윤(Ji Yun Hwang),김보경(Bok Young Kim),김기랑(Ki Rang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the elderly, to identify reasons for recipients to getstarted with the services and to evaluate the attitude, acceptability and adaptation ofrecipients to the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context.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eenlow-income elderly recipients of home-delivered meals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research method. Results: The results were deduced as four themes which comprised of long-termvulnerable socioeconomic contexts resulted in entry to the services, conflicting acceptabilityto the services, passive adaptation to taking the services, and positive practices to copewith supplement free meals or other services. The service participation was initiatedbecause of a combination of prolonged, vulnerable socioeconomic contexts, includingpoverty and unexpected life events such as diseases, disability, living alone, aging andunemployment. With regard to taking the services, conflicting acceptability wasobserved: positive aspects including saving living cost and good quality of meals, andnegative aspects including lack of a tailored service and feeling of stigma. Although therecipients needed an individualized service, they did not express their needs anddemands for the services and they accepted the unavailability as an accustomed,prolonged vulnerable socioeconomic context. With regard to lack of tailored services,either self-solution such as modification of eating patterns or community-based networkand services were used. Conclusions: We suggest that a system to concretely identify recipients’ attitude,acceptability and adaptation for home-delivered meal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inthe establishment of a tailored nutrition support system for the low-income elderl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구통계학적 요인 및 나트륨 섭취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 경주지역 성인을 중심으로

        이승우,황지윤,김인선,이수진,정경식,고광필,백영화,Lee, Seung-Woo,Hwang, Ji-Yun,Kim, In Seon,Lee, Sujin,Jeong, Kyungsik,Ko, Kwang-Pil,Beak, Younghwa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6 No.1

        Sodium intake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This study examined the 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HRQoL and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sodium intake and HRQoL in adults residing in rural areas. A total of 1,980 adults (aged ≥20 years) were selected from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13 and February 2014 in Gyeongju, South Korea. The sodium intake and HRQoL were measured using a validat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EuroQol Five-Dimension (EQ-5D)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respectively. The education levels (<5 year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all five dimensions of HRQoL. Men had better EQ-5D scores for each of the five components examined. Adults living with spouses had better scores related to usual activities and anxiety/depression, whereas widowers had decreased scores of mobility and self-care. Unlike older adults aged 70-79 years, adults aged <60 years were more likely to have greater scores related to mobility, usual activities, and pain/discomfort. The income levels were also inversely related to the scores for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Sodium intak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HRQoL related to self-care, usual activities, and pain/discomfort, but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nxiety/depress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mographic factors and sodium intake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RQoL.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provide tailored, targeted policies and interventions that conside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to improve the overall HRQoL in adults residing in rural areas.

      • KCI등재

        만 40세 성인의 우울기분과 생활습관과의 관계

        추지은(Ji Eun Chu),이희진(Heejin Lee),윤청하(Chung Ha Yoon),조한익(Han-Ik Cho),황지윤(Ji-Yun Hwang),박윤정(Yoon J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5

        본 연구는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에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수검한 만 40세 중년기의 성인 27,684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인구집단 연구로서, 우울한 기분상태와 흡연, 음주, 신체활동 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6.4%는 우울기분군으로 분류되었고 우울기분의 분포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비우울군에 비해 우울기분군에서 현재 흡연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 흡연자와 현재 흡연자에서 우울기분의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또한 현재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이 21개피 이상일 경우 우울기분과의 교차비가 증가하여 흡연과 우울기분의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1주 평균 음주일수가 3일 이상인 경우 보정 후 우울기분의 교차비가 비음주군에 비해 높았으며 우울기분군에서 알코올남용 및 알코올의존이 더 높아 부적절한 음주행태와 우울기분이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울군에서는 고강도 운동을 5일 이상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낮았고 1주 평균 고강도 운동 횟수가 2∼4일로 적당할 경우, 우울기분의 교차비가 낮아져 고강도 신체활동과 우울기분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운동에서만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운동 강도, 빈도와 우울기분과의 관련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애전환기를 지나고 있는 대한민국 만 40세 성인의 우울기분이 흡연, 음주, 신체활동의 생활습관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도의 우울기분 유무를 파악하고, 심리적?정신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지원을 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우울기분의 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교육,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아우르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ed mood and life style patterns, including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inactivity in Koreans aged 40 years, which is a critical life transition period. Based on the Life Transition Period Health Examination at th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conducted in 2011 (n=27,684),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a depressed mood group and a non-depressed mood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imary Mental Health Questionnaire. The depressed mood group showed higher tendency for smoking compared to the non-depressed mood group. Current and ex-smokers were about twice as likely to have a depressed mood as the non-smokers. The prevalence of nicotine depend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ressed mood group. The number of days and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ed mood. The prevalence of alcohol dependence and alcohol abuse was higher in the depressed mood group than in the non-depressed mood group. The frequency of high-intensity exercise per week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eople with a depressed mood. This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ed mood and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in adults during an important life transition period. This implies that the development of proper lifestyle intervention or education may be needed to prevent depressed moods in this age group.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영양플러스 수혜 여부에 따른 영양지식 및 식습관, 식사섭취상태 비교

        조미영(Mee-Young Joe),황지윤(Ji-Yun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6

        본 연구는 2012년 1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233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사항, 식습관 및 식생활 현황, 영양지식 수준, 식사섭취상태 등을 조사하고 영양플러스 수혜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혼이민여성 중 영양플러스 수혜자는 비수혜자보다 식습관, 식생활, 영양지식 점수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영양플러스 사업을 통해 더욱 바람직한 식습관과 건전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영양소 섭취에서도 영양플러스 수혜자가 비수혜자보다 섭취상태가 양호하였다. 수혜자는 철(P=0.009), 나트륨(P=0.008), 비타민 A(P=0.029), 리보플라빈(P=0.047), 비타민 C(P=0.012), 콜레스테롤(P=0.037) 등 6가지 영양소에서 비수혜자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칼슘의 경우 평균필요량 이하 섭취자 비율이 두 그룹 모두에서 50%가 넘었으며(65.9%), 영양플러스 비수혜자의 경우 엽산도 평균필요량 이하 섭취자 비율이 54.1%로 조사되었다. 영양플러스 수혜자는 비수혜자보다 비교적 규칙적인 식습관과 바람직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영양지식 수준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나타냈다. 따라서 결혼이민여성 중 영양플러스 대상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정보가 차단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영양플러스 사업을 통한 결혼이민여성 대상 영양교육의 진행은 타국 생활에 있어 순조로운 정착을 도우며, 주부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을 함양하고 나아가 다문화가정 구성원 전체의 바람직한 식생활 영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etary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s of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Nutrition-Plus program. A total of 233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were recruited from public health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and the Seoul Immigration Office.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includ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face-to-face interview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ean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of those who underwent the Nutrition-Plus program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0.002, P=0.007, respectively). Additionally, those who received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wed a more balanced diet and higher total scores on the mini dietary assessment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program (P<0.001). Furthermore, subjects who underwent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wed higher scores regarding questions about functions of cereals (P=0.010) and meat and fish (P=0.010), as well as higher overall scores (P=0.004)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ith regard to nutrient intake, those who received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wed more intake of iron (P=0.034), sodium (P=0.007), vitamin A (P=0.049), riboflavin (P=0.025), vitamin C (P=0.019), and cholesterol (P=0.063) after adjusting for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number of children and BMI. Subjects who received the Nutrition-Plus program had more balanced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s well as greater food and nutrient intake than those who did not.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married immigrant women to establish a healthy diet.

      • KCI등재

        학령기 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이정숙(Jung-Sug Lee),황지윤(Ji-Yun Hwang),권세혁(Sehyug Kwon),정해랑(Hae-Rang Chung),곽동경(Tong-Kyung Kwak),강명희(Myung-Hee Kang),최영선(Young-Sun Choi),김혜영(Hye-Young Kim)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6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학령기 아동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학령기 아동 대상의 영양섭취 및 식생활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 41문항 (식품섭취 영역: 20문항, 식행동·식습관 영역: 21문항)을 개발하였다. 학령기 아동 260명을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문항과 1일 식사섭취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별 점수와 식사섭취 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성이 높은 24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학교 유형별로 층화추출된 초등학생 1,144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0개 항목, 5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 계수를 활용하여 5개 요인별 가중치와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학령기 아동용 영양지수를 위한 5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 이었다. ‘균형’ 요인에는 과일, 흰 우유, 콩이나 콩제품, 생선류, 고기류 섭취 빈도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요인에는 끼니별 채소 반찬 섭취, 반찬 골고루 먹기, 편식의 3개 평가항목이, ‘절제’ 요인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공 음료, 가공 육류, 라면, 카페인 음료, 길거리 음식 (학교 앞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평가항목이, ‘실천’ 요인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식사 전 손 씻는 빈도, 숨이 찰 정도의 운동 빈도 3개의 평가항목이, ‘환경’ 요인에는 아침식사 빈도,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하기의 3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C) 평균 점수는 65.7점이었고, 요인별 점수는 균형 66.4점, 다양 67.0점, 절제 55.4점, 환경 75.3점, 절제 69.2점이었다. 영양지수와 각 요인별 등급은 전국단위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 to 100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50 to < 75 백분위의 경우 ‘중상’ 등급, 25 to < 50백분위의 경우 ‘중하’ 등급, 0 to < 25 백분위의 경우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 점수가 72.4–100점의 경우 ‘상’ 등급, 65.8–72.3점의 경우 ‘중상’ 등급, 59.2–65.7점의 경우 ‘중하’ 등급, 65.7점 미만의 경우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는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실천, 환경 요인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고, 상대적인 영양지수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가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는 초등학생들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뿐만 아니라 정부의 영양교육사업, 영양정책의 효과 평가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for evaluating the overall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Methods: The NQ-C was developed by implementing 3 stage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food behavior checklist (FBC) items of the NQ-C were derived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pilot survey, 2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8 second graders and 132 fifth grader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 well as 24-hour dietary intakes,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and survey team staff, if required. Based on the pilot survey results, expert reviews, and priorities of national nutrition policy and recommendations, checklist items were reduced from 41 to 24. A total of 20 items for NQ-C were finally selected from results generated from 1,144 nationwide samples surveyed. Construct validity of the NQ-C was assessed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near Structural RELations. Results: Analyses of the exploratory factors of NQ-C identified that 5 dimensions of diet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practice and environment) accounted for 46.2% of the total varianc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C and 5-factor scor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using the obtained weights of the FBC items. Conclusion: Our data indicates that NQ-C is a useful and suit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nutrition adequacy,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