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ig data, how to balance privacy and social values

        황주성,Hwang, Joo-Seong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3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1 No.11

        Big data is expected to bring forth enormous public good as well as economic opportunity. However there is ongoing concern about privacy not only from public authorities but also from private enterprises. Big data is suspected to aggravate the existing privacy battle ground by introducing new types of privacy risks such as privacy risk of behavioral pattern. On the other hand, big data is asserted to become a new way to by-pass tradition behavioral tracking such as cookies, DPIs, finger printing${\cdots}$ and etc. For it is not based on a targeted person. This paper is to find out if big data could contribute to catching out behavioral patterns of consumers without threatening or damaging their privacy.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behavioral tracking and big data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privacy will be discerned. 빅데이터는 막대한 경제적 기회뿐만 아니라 공적 가치를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기업의 빅데이터 사용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행위패턴의 프라이버시 등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위험을 유발함으로써 빅데이터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기존 논의의 틀을 와해시킬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반면, 빅데이터는 쿠키 등 행위추적에 근거한 개인정보의 부작용을 불식시키는 대안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빅데이터가 행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정보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둔다. 나아가, 개인정보로부터 파행되는 기존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빅데이터에 대한 정책이 어떠한 대안을 가질 수 있는지도 제시할 것이다.

      •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도시 공적공간의 변화

        황주성(Hwang, Joo-Seong),유지연(Yoo, Ji-Ye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05 공간과 사회 Vol.24 No.-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확산은 ‘이동 중 연결성’과 ‘상호작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고 활성화시킬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개인공간과 사회공간, 그리고 공적공간으로 나누고 각 공간에서 휴대전화의 사용으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인공간에 있어서는 시공간의 미시적 조정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다의적 장소성에 대한 경험도 상당히 관찰되었다. 사회공간측면에서는 물리적 만남을 확대하여 기존의 사회적 관계를 보완함과 동시에 휴대전화로 연결된 모바일친구로 인해 사회공간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공적공간의 유형에 따라 휴대전화의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으며, 기술발달에 따라 공적공간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되며 공간 활력이 증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Mobile communications is argued to reshape and activate the existing space by increasing ‘mobile communicability en route’ and ‘real time interac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different the use of a cellular phone is in each different space. In this study, the space i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parts including the private, social and public space. First, spatial micro-coordination and experience of polysemy of place are widely observed in the use of a mobile phone in the private space. Secondly, it is found that a mobile phone contributes to extending the scope of social contacts which in turn compliments the existing social relationship. Moreover, a full-time intimate community that is connected via a mobile phone results in reshaping the social space. Lastly, the study shows that the usage pattern of a mobile phon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spac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envisaged to lead to more demand for the public space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public space.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과 기업공간의 재조직

        황주성(Joo Seong Hwang) 한국지역학회 1996 지역연구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and patterns of interrelation between the emerg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and the organization of corporate space,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In this work, ICT is conceptualized not so much a space -adjusting technology as an organizational technology. ICT is considered as a governance technology which is related to coordination function within a firm. Therefore, it. is supposed to have a great relevance to the spatial reorganization of functions within a firm. Both questionnaire and case study method are used to gather necessary data from Korean electronics manufactur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spatial structure of a firm, which is operationalised as the number and type of spatially separated establishments, is turned out, to have a great explanatory power to its adoption of computer networks. Computer networks in muli-locational companies are introduced to overcome the limits of its spatial structure, such as duplication of functions, loss of time spent in proceeding a job between different functional units, and unresponsiveness to the change of market demand. Second, new spatial division of labor and function could be possible through a series of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not through the mere adoption of ICT. Case studies reveal that computer network could help a firm to realize new forms of spatial division of labor, especially in those functions which is mainly based on the flow of information. Such functions as ICT management, sales logistics and after-sales service are major parts where a new operational unit has appeared with the help of ICT. From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relations between ICT and organizational space should be approached intimately integrated with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it`s organiz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 융합적 TV시청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황주성(Joo Seong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이용자의 융합적 TV시청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검토 결과 TV시청경험은 시간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사회성, 그리고 공간성 등 5개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미디어 이용요인, 그리고 TV시청방식 등 3개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융합적 TV시청경험 전체를 설명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수들로 밝혀졌고, 그 다음으로 TV시청방식, 미디어 이용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TV시청경험의 세부차원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시간성과 선택성은 상대적으로 TV시청방식의 영향을 크게 받는 반면, 사회성과 상호작용성, 그리고 공간성은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컨버전스에 따른 시청경험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탐색적 시도라는 점에 그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upon the convergent TV viewing experience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ones. Viewing modes are more influential than the media utilization factors. Comparing the detailed dimensions of TV viewing experiences, time and content selectivity are more influenced by TV viewing modes, while sociability and interactivity are more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latively.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the TV viewing experiences.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와 SNS 이용자의 구분요인: 기질성 요인과 활동성 요인을 중심으로

        황주성 ( Joo Seong Hwang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6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3 No.3

        2000년대 중반이후 소셜미디어의 패러다임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SNS로 이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환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함의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와 SNS 이용자를 구분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자존감과 성격 등의 기질성 요인과 취이와 사교 등 활동성 요인들이 인구학적 변인과 인터넷 요인 등을 통제한 후에도 추가적인 설명력을 갖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네트워크 구조와 행위 측면에서 뚜렷한 대비를 보이는 두 소셜미디어의 특성으로 인해, 개인의 기질이나 활동에 따라 서로 다른 소셜미디어를 선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자료는 한국미디어패널 자료 중 2014년도 개인자료를 주로 이용하였고, 기질성 및 활동성과 관련된 독립변수는 2012년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 항목과 2013년의 ‘삶의 만족도’항목 중에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자존감과 성실성 그리고 행동성 활동과 친교성 활동 등 네 가지 변수가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구분해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집단별로 종합하면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집단은 자존감과 성실성이 더 높으며, 행동성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SNS 이용집단은 자존감과 성실성은 물론 행동성 활동의 빈도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친교성 활동에 있어서는 커뮤니티 이용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활발한 성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회적 가치와 온-오프라인 사회관계의 관련성에 대해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Since the mid-2000s, the social media paradigm has shifted from online communities to social networking sit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iffer between the two types of social media and to reveal their implications. The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effects of self-esteem, personality traits and offline activities remain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such as users` sex, age and Internet use. Korean Media Panel Data, colle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users of online communitie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self-esteem, conscientiousness, and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Online community users tended to show higher self-esteem and conscientiousness and to engage more frequently in physical offline activities than social networking site users did. However, social networking site users engaged in social offline activities more frequently than online community users did.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examine the societal value of online communities and to find a balance between online communiti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참가자의 유형과 구분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적 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황주성(Joo-Seong Hwa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7 No.2

        본 연구는 한국미디어패널 서베이의 2015년 및 2016년 원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온라인 커뮤니티 참가자들을 가장 적정한 유형의 집단들로 구분하고, 이 집단들 간에 참가자의 자존감, 성격, 인지욕구 등과 같은 개인적 특성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읽기와 댓글달기, 스크랩핑 그리고 쓰기 등 네 가지 활동을 근거로 분석한 결과, 국내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가자는 4개의 집단으로 – 순수잠복자(40.8%), 내부열성가(16.4%), 외부전파자(26.7%), 그리고 적극활동가(16.1%) - 구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부열성가는 읽기와 댓글달기에 치중하는 특성을 보이는 반면, 외부전파자는 커뮤니티의 정보를 외부로 전파하는 스크래핑 활동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적극활동가는 모든 활동에서 골고루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집단을 구분하는 개인적 특성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이 높을수록 소속집단에 대한 헌신적 참여가 높아 내부열성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성격요인들 중에서는 개방성이 높을수록 내부열성가보다 순수잠복자나 외부전파자, 그리고 적극활동가에 속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성실성이 높을수록 적극활동가에 비해 순수잠복자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 커뮤니티 활동과 부(-)의 관계를 보였다. 인지욕구는 개인적 성격 중 가장 많은 집단들을 유의미하게 구분하였는데, 인지욕구가 높을수록 좀 더 적극적인 활동집단에 포함되는 경향이 드러났다. 자존감이 높을수록 내부열성가에 속할 승수가 높은 점, 성실성이 커뮤니티 활동과 부(-)의 관계를 보인 점, 그리고 인지욕구가 커뮤니티 활동과 정의 관계를 보인 점 등은 향후 커뮤니티의 전략과 인터페이스의 설계 시 함의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lassifies online community participants into the most appropriate number of groups using the 2015 and 2016 original data of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Policy. And also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how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personality and need for cognition differs among user groups. Based on four activities - reading, commenting, scrapping, and writing -, four groups were considered to be most appropriate number of group representing online community landscape of Korea. These four groups are named lurker(40.8%), diffuser(26.7%), enthusiasts(16.4%) and core activists (16.1%). Diffuser have a high proportion of scrap activities to spread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community, while enthusiasts focus on reading and commenting for sharing information within the community. Having analyze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self-esteem, personality traits and need for cognition) on grouping,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oddz to be grouped into the enthusiast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As for personality traits, the more open, the more likely one belongs to lurkers, diffusers or core activists than enthusiasts. The more conscientious, the more likely he or she is to belong to the lurkers, and this is the same for the nervousness. Need for cognition was the most powerful and consistent factor to distinguish different groups. The higher the need for cognition, the more likely it was to be included in the more active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폰과 일반폰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패턴 비교

        황주성(Joo-Seong Hwang),이재현(Jae Hyun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8 No.4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도입으로 인해 개인의 미디어 이용패턴 전체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스마트폰 집단이 일반폰 집단에 비해 미디어 단말기들의 이용시간, 이용목적, 이용장소, 그리고 동시이용 등에서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분석결과 스마트폰의 도입에 따라 미디어 전체 이용시간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실질적인 증가는 제2행동(동시이용)에 의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바일 폰 이용시간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반면, 책과 메모지·공책, MP3/CDP의 이용시간은 줄었다. 이용목적은 전반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목적의 미디어 이용 시간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모바일폰에 국한할 경우 스마트폰 이용자가 3대 이용목적 모두에서 일반폰 이용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용공간은 일반 적인 예상과는 달리 스마트폰 집단에서 모바일폰의 제3공간 이용비중이 더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집단은 동시이용 시간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동시이용의 시간이 증가한 조합은 PC-모바일, 모바일-모바일로 나타났다. 제2행동의 주요 목적이 정보접근 중심에서 엔터테인먼트 중심으로 전환된 것도 특기할 만한 변화로 밝혀졌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how smartphone changes the overal pattern of media use and especially the use of mobile media. It focuses on time, objective, and place related with media use. The total media use in time turns out not to change in a significant degree. Instead, the use of mobile media increases a lot,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book and notes decreases. In overall media use for communications increases significantly in the smartphone user group. As for the mobile media all of three use categories show substantial increase. Smartphone users tend to use mobile device more not only in public space but also at home, at office and school.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weekday and weekend. During the weekday they use smartphone more in the third place.

      • KCI등재
      • KCI등재

        지상파TV의 시청방식에 따른 집단 간 특성 비교 : 인구학적 속성과 미디어 이용을 중심으로

        황주성 ( Joo Seong Hwang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상파TV의 시청방식에 따라 시청집단 간에 인구학적 특성과 미디어 이용이 어떻게 다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V시청방식에 대한 기존연구를 검토하여 지금까지의 구분이 갖는 한계를 밝히고, 선형성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TV시청집단을 네 그룹으로 TV-Linear, T-Shift, S-Shift, T&SShift 구분하였다. 자료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매년 실시하는 방송매체 이용실태조사의 2012년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TV시청방식에 따라 인구학적 측면은 물론 미디어 이용특성에서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형 시청집단은 주로 20대를 중심으로 하는 젊은 연령대가 많았고, 직업적으로는 학생과 사무직이 높은 비중을 보였다. 또한 이 집단은 TV가 아니라 PC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와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채택이후 선형시청시간이 줄어든 경험도 더 많았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TV시청 중에 SNS와 정보검색 등을 같이 사용한 동시이용의 경험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국 융합적 TV시청은 단지 비선형 기술과 서비스의 증대뿐만 아니라, PC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인터넷 미디어가 TV시청에 침투함에 따라 확대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향후 디지털 세대의 성장과 사물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더욱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겠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differences of socio-demographic status and media use between traditional TV viewing group and convergent one.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change of viewing practices, this paper proposes linearity and device as two essential dimensions on which to classify the mode of viewing. Based on these two dimensions, four viewing groups are derived, that is TV-Linear, T-Shift, S-Shift, and T&S Shift. The three except TV-Linear are called new, in other words, convergent mode of viewing. For the empirical study, the raw data of 2012 survey of the User Behaviors of Broadcasting Media in Korea are used with the support of KCC and KISDI. The new and convergent viewing groups have shown differences in overall media use as well as socio-demographic status. They are much younger, and more prominent in such occupations as students and office workers. Gender is not so much a critical factor. Convergent viewing groups tend to spend more time on PC and smart-phone rather than on TV. They consider these two media as the most important one(most-missed media) for their everyday life. They are also inclined to get most of the information and contents for various activities from PC, and even from Smart-phone in case of T&S-Shift group. They also have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time spent on linear TV viewing. These viewing groups has experienced more of simultaneous media use while watching TV. In conclusion, the convergent modes of viewing are interpreted to proliferate not only from extended exposure to linear services, but also from invasion of the internet into the TV life through such digital devices as PC and smart-phone. This means that the new modes of viewing are expected to grow consistently with the growth of the digital native as well as the diffusion of IoT (Internet of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