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술 기반 공간 담론 형성에 따른 공간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2) -기술 기반 공간 담론의 장소 지향적 흐름을 중심으로-

        황용섭 ( Young Seup Hwang ),박찬호 ( Chan Ho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3

        기술이 편재(遍在)된 현대 사회의 유비쿼터스(Ubiquitous)현상은 인간, 기술, 공간의 공진화 양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 담론은 이러한 현대 사회를 전일적 공간(holistic space) 현상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규정은 전일론적 시각을 배경으로 하며, 공간디자인의 방향을 가늠하기 위한 기본 관점을 형성한다. 이제 논의의 초점을 심층적으로 옮겨서 기술과 공간의 관계를 해석하여야 한다. 이것은 현대의 기술 기반 공간 담론이 장소 지향적 특징을 가짐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소 지향적 특징은 공간이라는 3차원 조직위에 인간관계로부터 형성되는 특별한 성격을 부여함으로서 가능해 진다. 이것은 장소론의 이해와 진정성(authenticity) 및 일상성(everyday life)의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가능해 진다. 결국 현대 기술 사회에서 공간 담론의 장소 지향적 흐름은 진정성의 강도(强度)의 스펙트럼, 초이동성(hypermobility)에 의한 일상과 일탈의 스펙트럼, 장소성(placeness)과 비장소성(placelessness)의 스펙트럼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적 현상은 공간디자인 방향을 진단하고 해석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The ubiquitous phenomenon of technology-centered modern society clearly displays coevolution of men, technology, and space. The space discourse based on technology defines this as the holistic space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This definition is based on a holistic perspective and forms the basic perspective to anticipate the direction of space desig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pth of discussion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space. This is about understanding that today`s technology-based space discourse has place-oriented characteristics. These place-oriented characteristics are created whe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applied to the 3D structure of space. This is made possible by understanding the theory of place and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authenticity and everyday life. Eventually, the place-oriented flow of space discourse in today`s technological society is represented by the spectrum of strength of authenticity, the spectrum of routineness and deviation due to hypermobility, and the spectrum of placeness and placelessness. These characteristics become important factors when diagnosing and interpreting the direction of space desig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달과 행태 특성에 기반한 어린이 도서관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신라영 ( Ra Young Sheen ),김주연 ( Kim Joo Yun ),황용섭 ( Hwang Yong Seup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 발달과 행태 특성과 공간 요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어린이의 물리적 환경에 따른 요구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어린이 이용자에게 적합한 도서관 구성의 방법론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향후 어린이 도서관의 계획적 지침을 추출함으로써 어린이의 행태 특성에 맞는 공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도서관의 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기적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국내 사례를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통해 어린이 발달과 행태에 대한 이론들을 조사하여 공간적 요구 사항들과 관계를 파악하고, 도서관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분석 도구로 이용하여 디자인 요소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결과)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 계획에 있어서 어린이 발달요소와 행태 특성에 맞는 공간 구성별 디자인 요소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한 공간 계획을 할 필요성이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the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features of children. More specifically, it aims to articulate how children`s behaviors and child development can be applied in designing spaces. Given that the need for physical environments targeting children (in spatial design) has intensified, this research suggests directions for the design of children`s libraries. It accomplishes this by clearl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how to design a “children`s library” exclusively tailored to young visitors. (Metho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ild development and behavior is explored first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n, how child development and behavior relate to space requirements is investigated. Several library design factors are used as analytical tool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ose factors. A case study conducted in Korea (“Miraculous Library”) is also discussed. (Results) When designing a children`s library, relating child development and behavioral features with design factors i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lations, more varied and detailed space plan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주거환경 취약구역에서의 제3세대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전략

        박진희 ( Jin Hee Park ),황용섭 ( Young Seup Hwang ),박성룡 ( Sung Ryoung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기능과 효율성이 두드러진 경제 개발 정책으로 인하여 노후된 단독주택, 다세대, 다가구의 밀집지역과 같은 주거환경 취약지구가 생성되었고, 이러한 지역에서의 범죄 예방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되면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가 주목받고 있다. 더 이상의 대규모 재개발 정책이 시행되기 어려운 서울의 여건상, 주거환경 취약구역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CPTED의 적용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주거환경 취약구역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3세대 CPTED를 정의하고 전략을 도출하여 향후 제3세대 CPTED의 설계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CPTED의 개념과 기본적인 적용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시기별로 강조된 CPTED 특징과 현 시점에서 강조되는 CPTED의 원리를 통해 CPTED를 1,2,3 세대로 분류하고 제3세대 CPTED의 전략을 정의하였다. 또한, 이 전략을 기반으로 국내 및 국외의 CPTED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제3세대 CPTED 적용 기법들의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제1세대 CPTED는 도시 건축적인 물리적 환경, 제2세대 CPTED는 가이드라인과 규제 중심의 제도적 환경, 제3세대 CPTED는 주민들의 책임 의식과 이웃 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관계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제3세대 CPTED는 (1) 소규모 지역 커뮤니티 강화, (2) 반사적/반공적 영역의 활성화, (3) 휴먼 스케일 디자인 (4) 개방적이고 정돈된 환경의 4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디자인 하여야 한다. 셋째, 제3세대 CPTED 적용 기법들은 각 전략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균형 있는 범죄 예방 환경을 만들어 가도록 디자인, 설계되어야 한다. The social demands for safety and security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focused on efficiency has led to vulnerable dwelling area, and thus CPTED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late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on a large scale in Seoul City, hence the need for a new version of CPTED for vulnerable dwelling area. This study aims to define what the third-generation CPTED is and to develop several strategies in order to build a foundation for its feasi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ious studies to summarize the concept of CPTED and its principles for proper application, and categorizes it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and the principles to be more prominent recently. Furthermore, it presents the strategies for the third-generation CPTED and analyzes both domestic and foreign cases on the basis of them. In conclusion, firstly, CPTED is categorized into three generations: the first is concentrat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in urban architecture, the second o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uch as guidelines and regulations, and the third on the sustainable community environment based on both the responsibility of dwellers and the neighborhood community. Secondly, the third-generation CPTED needs to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strategies: (1) Encouragement of Local Community, (2) Vitalization Semi-private/ Semi-public space, (3) Human Scale Design, (4) Open and Orderly Environment. Finally, the third-generation CPTED must be designed to build the balanced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each strategy.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공공간과 환경조형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김채연 ( Chae Yeon Kim ),황용섭 ( Young Seup Hwang ),박성룡 ( Seong Ryong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공공공간이 지속가능하려면 이것이 담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면밀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단순히 물리적인 항구성이 아닌 문화적이고 생태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획득 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조형물은 공공공간과 상호작용하는 매우 의미 있는 구성요소 중 하나로 파악된다. 환경조형물은 예술의 측면에서, 그리고 이것이 공공적으로 확대된 공공디자인이라는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공공공간의 디자인을 위한 실체적 조건으로서 공공공간과 환경조형물이 가지는 관계를 체계적으로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관련 개념의 이론적 고찰과 도시 공공공간 구성요소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환경조형물과 공공공간의 관계 유형을 밝히고, 관계 유형과 도시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를 선별하였다. 이러한 방법적 절차에 의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공공공간이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제성, 사회성, 생태성이 조화를 이룬 공익적 도시공간이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공간과 환경조형물의 관계적 유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장소 지배적 유형은 물리적 관계성으로, 2) 장소 의존적 유형은 문화적 관계성으로, 3) 장소 연계적 유형은 생태적 관계성으로 부각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유형별로 물리적, 문화적, 생태적 요소와의 연관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적절한 관계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하여야 한다. 3The sustainability of public spaces requires scrupulous interactions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such space contains, and can be accomplished not through simple physical permanency but through cultural and ecological interaction. Therefore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be identified as significantly meaningful components interacting with public spaces. Environmental sculptures must be dealt with from a conjugate perspective, as art and as public design which is a public expansion of art. Therefore, this study sets out to systematically identify, as a substantive condition for sustainable public space desig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s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As for study methodology, a variety of relevant theories will be examined, and urban public space components will be classified. Next, by identifying the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public spaces, then analyzing advanced cases based on public space components and relationship type, the key factors impacting sustainability will be identified. A basic matter this methodological procedure has shed light on is that sustainable public spaces are urban spaces for the public good, where economy, society, and ecosystem are joined in harmony to enhance the quality of human life. In this light, three types of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s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established. The physical relationship was stressed in the location-dominant relationship type, while the location-dependant type underlined the cultural relationship, and the location-connective type highlighted the ecological relationship. Ultimately, as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physical, cultural and ecological elements differs according to type, design must be performed with appropriate consideration for these relationship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Ricardo Legorreta 공간에 나타나는 지역주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에서

        최보미 ( Bo Mi Choi ),김주연 ( Joo Yeon Kim ),황용섭 ( Young Seup Hw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4

        공간은 인간의 삶을 담는 그릇이면서, 그 시대의 문화와 기술 수준을 반영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을 통해 과거의 삶을 읽고 현대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해답을 찾을 수 있다. 현 시대는 새로운 시대적 요구와 고도로 축적된 기술에 의해 다양한 양상에 디자인이 등장하고 세계화와 지역의 특수성이라는 양면적 과제에 갈등하고 있다. 이에 지역성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하여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케네스 프램튼(K.Frampton)의 비판적 지역주의를 현대 공간디자인의 중요한 조류로서 인지하고, 멕시코의 현대 지역주의 디자인의 대표 인물로서 인정받는 레고레타의 작품을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전개는 비판적 지역주의 특성과 그에 관련한 공간디자인의 중요한 특징을 장소성, 구축성, 감각성의 3가지 공간 표현 언어로 도출하였다. 그에 따른 레고레타의 공간 디자인 요소로 지역성, 역사성, 문화성, 맥락성, 조형성, 물질성, 색채성, 촉각성, 정서성으로 세분화 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9가지 요소를 공간 분석의 틀로 삼고, 멕시코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레고레타 작품의 표현특성과 더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레고레타 공간 디자인이 멕시코 지역의 특수성에 머물지 않고 세계의 다양한 장소, 다양한 의미의 켜를 디자인의 바탕으로 복합적인 전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정체성을 잃고 일반화되어가는 디자인 경향에 대해 지역의 다양성과 보편성 사이에서 현대 공간디자인이 취해야 할 가능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space is not only the container filling with our lives, but also it reflects current cultures and technical standards. Thus, we can find out lives of the period in the space of the past and the solution which can suggest new direction. This period faces the diverse designs based on new paradigm and high technology as the both sides of issues, globalization and locality. accordingly, I tried to study the idea and features of critical locality-by K.Frampton. who suggest new direction of spacial design from the concept of locality- as the important trend. which implys the important meaning in modern spacial design and consider Legorreta`s spacial design who is well known as the representative in modern locality design. the process of study lead the conclusion that the features of critical regionalism and main characters of local space design are a placeness, tectonics, sensation as a space language. and thus, it can be departmentalized into locality, historicity, culture, contextuality, plasticity, materiality, color, tactility, emotionality as Legorreta`s space design factors. I make a standard with these 9 factors for analysis spaces and study how Legorreta express these factors on his worldwide structures. Then I wanted to find out special relations between features of critical regionalism and Legorreta`s design factors. As a result, the characters of legorreta`s design never stays in Mexico, it shows complicated aspects based on diverse places in the world and various meanings of design. So I suggest this truth can be a possible way of modern design`s future between local diversity and universality in these days` tendency which is losing its own identifications and being comm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