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폐암환자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예비 조사

        성지현(Sung, Ji Hyun),김민영(Kim, Min Young),황옥희(Hwang, Ok Hee),유한진(Yoo, Han Jin),이은자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telecommunication guideline that was possible to make the immediate,logical decisions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by verifying it from the specialists’ group. Methods: Telecommunication guideline was designed with selected six symptoms which were pain, dyspnea, nausea/vomiting, diarrhea,fever, and cough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understood well abou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examination, and education. Also, 85% of them fulfilled the guidelines of the adjustment and more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shown to all of them compared to the previous telecommunication. And 95%of them replied that the information from the telecommunication was more useful than any other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of cancer and self management that were used previously. Conclusion: The telecommunication was considered to complement the weakness during the time the cancer patients spent at home after the treatments. Also,it was expected to be a role as an immediate and comprehensive method of decision making and a passage for information supply which was considered the specialty of individual patient related to an inquiry of the self management. 본 연구는 폐암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 중 전화 상담 문의가많은 증상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즉각적, 논리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증상관리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예비 조사연구다. 예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가 그룹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그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호흡곤란, 오심/구토, 설사, 발열, 기침의 5가지 증상을 추출하여 이에 대하여 예비 폐암환자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고, 이후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 및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여, 3월 1일부터 15일까지 15일간 환자에게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1)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는 폐암환자의 전화 다문의 증상은 통증(83.3%), 발열(75.0%), 호흡곤란(70.8%), 오심/구토(70.8%), 설사(62.5%), 기침(50.0%) 순이었다. 2) 다문의 증상 중 관리지침이 개발되어 있는 통증을 제외한5개 증상에 대하여 Telephone Nursing Practice and Symptom Management Guidelines6) 및 Telephone Triage6)를 기초로 예비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고, 이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수정 보완하여 각 증상별로 정의, 사정(일반적 정보, 증상정보), 지침적용(A: 즉시 응급실 방문, B: 빠른 외래 방문, C: 예정일 방문), 교육내용으로 분류하여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은 호흡곤란은 사정 11항목, 지침적용 6항목, 교육내용 11항목으로 하였으며, 오심/구토는 사정13항목, 지침적용 11항목, 교육내용 8항목으로 하였고, 설사는사정 16항목, 지침적용 12항목, 교육내용 9항목으로 하였고, 발열은 사정 12항목, 지침적용 9항목, 교육내용 7항목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침은 사정 10항목, 지침적용 9항목, 교육내용4항목으로 구성하였다. 3)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평가는 6개 항목, 즉 이해정도, 원하는 정보 획득 여부, 제공된 정보의 정확도/신뢰도, 전반적 만족정도, 재이용 의사, 기존 정보와 비교 시 전화상담의 도움 정도로 분석하였으며 평가 항목 중 가장 높은 평균 평점을 보인 항목은‘전반적 만족정도’와‘재이용 의사’로 각 평점 평균은 4.80±.40이었다. 4) 전화 상담 가이드라인 적용 대상자는 20명이었고, 증상별로 보면 오심/구토 7명, 발열 6명, 호흡곤란 4명, 기침 3명, 설사 0명이었다. 권고를 받은 지침에서‘원하는 정보획득 여부’에 따라 이행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t=4.400, p<.001), 또한‘제공된 정보의 정확도/신뢰도’에 따라 이행정도(t=-2.400,p<.0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전화 상담결과‘즉시 응급실 방문’이 요구되었던 대상자는 4명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권고를 받은 지침을 이행하여 응급실을 방문하였고, 이 중 3명은 입원 지시되었으며, 1명은 특수 영상검사가 필요하여 이를 시행하고 관련 약제 처방 후 귀가조치 되었다. 결론적으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은 암환자가 치료 후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 동안의 취약함을 보완해 줄 뿐 아니라 증상관리 문의와 관련하여 개별 환자의 특수성이 고려된 즉각적이고이해하기 쉬운 의사결정도구와 정보제공 통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종양전문간호사 역할에 대한 암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

        김수현(Kim, Soo Hyun),함윤희(Ham, Yun Hee),김정혜(Kim, Jeong Hye),김혜경(Kim, Hye Kyung),황옥희(Hwang, Ok Hee),김민영(Kim Min Young),이인숙(Lee, Insook),이지연(Lee, Jiyeon),김선희(Kim, Sun-Hee),성지현(Sung, Ji Hyun),태영숙(Tae, 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14 Asian Oncology Nursing Vol.1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ole of Korean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KOAPNs) among cancer patients, physicians, and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76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KOPANs’ care more than three times, as well as 82 physicians and 190 nurses who have worked with KOAPNs at four hospitals in Kore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Overall satisfaction in the patient group was high (3.61) and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attentiveness’ domain; 2) Overall satisfaction in the physician group was also high (3.61), however, that in the nurse group was relatively low (3.28); ‘coordination & cooper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satisfaction in both groups, while ‘research’ domain showed the lowest score; 3) Cancer type in patients, working department in physicians or nurses, and duration working with KOAPNs in nurse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atisfaction; and 4) The ratio of KOAPNs-to-patient, time since introduction of the KOAPNs policy, and incentive system were institutional factors showing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ident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roles of KOAPNs, as well as promotion of awareness of KOAPNs’ care.

      • KCI등재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사용성 수준 및 관련 요인 분석

        조인숙(Cho, Insook),최원자(Choi, Won-Ja),최완희(Choi, WoanHeui),현미숙(Hyun, Misuk),박연옥(Park, Yeonok),이유나(Lee, Yoona),조의영(Cho, Euiyoung),황옥희(Hwang, Okhee) 한국간호과학회 201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5 No.4

        Purpose: The usability, user satisfaction, and impact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ENR) system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is mixed-method research was performed as a time?motion (TM) study and a survey which were carried out at six hospitals between August and November 2013. The TM study involved 108 nurses from medical, surgical, and intensive care units at each hospital, plus an additional 48 nurses who served as nonparticipating observers. In the survey, 1879 volunteer nurses completed the Impact of ENR Systems Scale, the System Usability Scale, and a global satisfaction sca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ENR impact, system usability, and satisfaction were 4.28 (out of 6), 58.62 (out of 100), and 74.31 (out of 100), respectively, and the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hospitals (F=43.43, p <.001, F=53.08 and p <.001, and F=29.13 and p <.001, respectively). A workflow fragmentation assessment revealed different patterns of ENR system use among the included hospitals. Three user characteristics?educational background, practice period, and experience of using paper records?significantly affected the system usability and satisfaction scores. Conclusion: The system quality varied widely among the ENR systems. The generally low-to-moderate levels of system us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suggest many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