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젊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이완 기능 및 충만압이 관상동맥중재술 후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조은영 ( Eun Young Cho ),정명호 ( Myung Ho Jeong ),윤현주 ( Hyun Ju Yoon ),김용철 ( Yong Cheol Kim ),손석준 ( Seok-joon Sohn ),김민철 ( Min Chul Kim ),심두선 ( Doo Sun Sim ),홍영준 ( Young Joon Hong ),김주한 ( Ju Han Kim ),안영근 대한내과학회 2018 대한내과학회지 Vol.93 No.6

        목적: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이완 기능과 좌심실 충만압은 환자의 예후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젊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이완 기능 저하 및 충만압 상승에 따른 임상 경과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AMIR-NIH)에 등록된 환자 중 젊은 급성 심근경색증(남 < 45세, 여 < 55세)으로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240명중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을 시술받고 2년 동안 임상 추적 관찰이 되어 분석 가능한 환자 200명(남 : 여 = 160명 :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명의 환자를 좌심실 이완 기능이 정상인 군(46명, 39.5 ± 5.3세)과 비정상군(154명, 43.5 ± 5.1세)으로 나누었다. 좌심실 충만압을 측정하였으며, 좌심실 충만압 상승을 E/e' ratio 15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좌심실 이완 기능 정상군과 비정상군으로 나누었고 정상 좌심실 충만압군과 좌심실 충만압 상승군으로 나누어 각각 주요 심장 사건을 분석하였다. 주요 심장 사건은 사망, 심근경색증의 재발 및 재관류술로 정의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를 평균 40.9 ± 11.6개월 동안 임상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이 중 26명(13%)에서 사망, 심근경색증 재발 및 재관류등의 주요 심장 사건이 발생하였고, 좌심실 이완 기능 정상군과 비정상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810). 또한 좌심실 이완 기능을 정상군과 1도 이완기 기능 장애군과 2도 이완기 기능 장애군으로 나누어서 추가 분석하였다. 2도 이완기 기능 장애군에서 심근경색증 재발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006), 주요 심장 사건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81). 그러나 좌심실 충만압 상승군에서 정상 좌심실 충만압을 가진 환자군에 비하여 주요 심장 사건의 발생률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다변량 분석 결과 주요 심장 사건 발생의 독립적인 인자는 E/e' ratio 15 이상 환자로 파악되었다(p = 0.019). Kaplan-Meier 생존 곡선을 이용한 사망률을 추적한 결과 좌심실 수축 기능 40% 미만인 환자(p < 0.001)와 E/e' ratio 15 이상 환자(p = 0.004)에서 유의하게 생존율이 낮았다. 결론: 높은 좌심실 충만압은 젊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예후에 대한 독립적 예측 인자였으며, 좌심실 충만압의 측정은 젊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근경색증 후 고위험 환자군 분류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Aims: The impact of left ventricular (LV) diastolic function and filling pressure on clinical outcomes in young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as been poorly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V diastolic function and LV filling pressure on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s) in young patients with AMI. Methods: A total of 200 young patients (males < 45 year, females < 55 year) with AMI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iastolic function; normal (n = 46, 39.5 ± 5.3 years) versus abnormal (n = 154, 43.5 ± 5.1 years). Results: Despite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ies, normal LV diastolic function was not uncommon in young AMI patients (23.0%). During the 40 months of clinical follow-up, MACEs developed in 26 patients (13.0%); 14 re-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7.0%), 8 recurrent MI (4.0%), and 4 deaths (2.0%). MAC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normal and abnormal diastolic function group (13.6% vs. 10.9%, p = 0.810), but MA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LV filling pressure group than the normal LV filling pressure group (36.8% vs. 10.5%, p < 0.001). On multivariate analysis, high LV filling pressure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MACEs (hazard ratio 3.022, 95% confidence interval 1.200-7.612, p = 0.019).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measurement of the LV filling pressure (E/e' ratio) would be useful in the risk stratification of young patients with AMI.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monitor this category of patient more carefully. (Korean J Med 2018;93:538-547)

      • KCI등재

        은퇴베이비부머의 영적안녕감이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홍영준 ( Young Joon Hong ),이정훈 ( Jung Hoon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베이비부머의 영적안녕감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서울지역의 직업아카데미와 종합사회복지복지관의 이용자 중 은퇴한 베이비부머를 대상(n=251)으로 설문조사한 데이터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기술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및 주요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은퇴베이비부머의 영적안녕감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치며 우울감의 부분 매개효과도 검증 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은퇴베이비부머의 영적안녕감과 우울감,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 규명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삶의 질 향상을위한 프로그램 개발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the life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baby-boomer retirees in Korea. The subject for thisstudy is 251 baby-boomer retirees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work·fare program of jobacademy and Welf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ver.18.0)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wereutilized. The result revealed that depress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piritual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술받은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저분자량 헤파린의 장기 효과

        홍영준(Young Joon Hong),정명호(Myung Ho Jeong),이승현(Seung Hyun Lee),박옥영(Ok Young Park),김주한(Ju Han Kim),김원(Weon Kim),류제영(Jay Young Rhew),안영근(Young Keun Ahn),조정관(Jeong Gwan Cho),박종춘(Jong Chun Park),서순팔(Soon Pa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2

        배경: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저분자량 헤파린은 기존의 미분획 헤파린에 비해 aPTT monitoring이 필요 없으며 피하주사로 쉽게 투여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주요 심장사고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적: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 중 Dalteparin (Fragmin)을 사용했던 군과 미분획 헤파린을 사용했던 군 사이에 사망, 급성 심근경색증, 표적 병변 재개통술, 재협착률 등의 주요 심장사고 및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에 입원하여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고 6개월 이후에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 180예를 대상으로 Dalteparin (Fragmin)을 사용했던 90예의 환자군을 I군(61.8±8.9세, 남:61, 여:29)으로, 미분획 헤파린을 사용했던 90예의 환자군을 II군(62.6±9.7세, 남:63, 여:27)으로 각각 분류하고 양군 사이에 임상적 및 관상동맥 조영술 특성과 주요 심장사고, 합병증에 대해 비교하였다. 결과: 1) I군에서 당뇨병 환자가 많았던 것 이외에(I군; 38/90명, 42.2% vs II군; 27/90명, 30.0%, p=0.021) 양 군 사이에 임상 양상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병변 혈관의 수, 경색관련 혈관의 분포, TIMI flow, ACC/AHA 형태, 혈전 내재 병변, 스텐트 사용 여부, 병변 길이 등 관상동맥 조영술상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재원 기간 중 급성 심근경색증, 표적 혈관 재개통술, 사망 등 주요 심장 사고에 있어서 양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4) 6개월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상 I군에 비해 II군에서 최소 혈관 내경의 유의한 감소 및 내경 협착률에 있어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1.81±0.49 mm vs 1.64±0.44 mm, 32.2±14.5% vs 37.4±18.8%, 각각 p=0.035, 0.041). 5) 6개월 이후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상 재협착률은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I군 26/90명, 28.8% vs II군 32/90명, 35.6%, p=0.041), 표적 혈관 재개통술에 있어서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I군 21/90명, 23.3% vs II군 27/90명, 30.0%, p=0.039), 사망률에 있어서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합병증에 있어서 심각한 출혈성, 경미한 출혈성 부작용 및 허혈성 뇌졸중, 혈소판 감소증에 있어서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에 관여하는 인자는 스텐트 사용 여부, 병변 길이, 관상동맥 중재술 후 최소 혈관 내경, 내원 당시 CRP 수치, 당뇨병 동반 여부, 사용하였던 헤파린의 종류였다(p=0.032, 0.001, 0.001, 0.011, 0.022, 표 6). 결론: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저분자량 헤파린인 Dalteparin (Fragmin)을 사용했던 환자군에서 미분획 헤파린을 사용했던 환자군에 비해서 재협착률 및 관상동맥 재개통술이 유의하게 낮았다. Background: Antithrombotic therapy with heparin reduces the rate of ischemic events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Low-molecular-weight heparin (LMWH), given subcutaneously twice daily, has a more predictable anticoagulant effect than standard unfractionated heparin, is easier to administer and does not require monitoring. Methods: We prospectively analyzed 180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between 1999 and 2001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o receive either 120 U/kg of Dalteparin (Fragmin), administered subcutaneously twice daily (group I; n=90, 61.8±8.9 years, male 67.8%), or continuous intravenous unfractionated heparin (group II; n=90, 62.6±9.7 years, male 70.0%). During hospitalization and at 6 month after PCI,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such a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death, or restenosis were examined. Results: During hospitalization, the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and death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follow-up coronary angiography at 6 month after PCI, the incidence of restenosis was low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Group I; 26/90, 28.8% vs. Group II; 32/90, 35.6%, p=0.041) and the incidence of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was low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Group I; 21/90, 23.3% vs Group II; 27/90, 30.0%, p=0.039).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major and minor hemorrhage, ischemic stroke and thrombocytopenia between two group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factors relating to restenosis were lesion length, postprocedural minimal luminal diameter, CRP on admission, diabetes mellitus, type of hepairn, stent use. Conclusion: Dalteparin, a LMWH, is superior to standard unfractionated heparin for reducing restenosis rate and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without increasing bleeding complications. (Korean J Med 63:158-168, 2002)

      • KCI등재후보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장기 임상경과에 대한 C - Reactive Protein 의 역할

        홍영준(Young Joon Hong),정명호(Myung Ho Jeong),박형욱(Hyung Wook Park),박옥영(Ok Young Park),정우곤(Woo Kon Jeong),이상록(Sang Rok Lee),염주협(Ju Hyup Yum),김원(Weon Kim),김주한(Ju Han Kim),류제영(Jay Young Rhew),안영근(Young Keun A 대한내과학회 2001 대한내과학회지 Vol.61 No.6

        N/A Background: The inflammation is an important feature of atherosclerotic lesions, and high level of C-reactive protein (CRP)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coronary events and poor prognosis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We examined the clinical and angiographic outcomes, success rate of th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nd long-term survival rate after PCI according to the level of CRP on admission. Methods: Two hundred and eight patients with AMI who underwent primary or rescue PCI between 1997 and 1999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n=86, 59.9±9.3 years, male 74.4%) with normal CRP (<1.0 mg/dL, mean value=0.43±0.14 mg/dL) on admission and Group II (n=122, 59.1±10.4 years, male 83.6%) with elevated CRP ( ≥1.0 mg/dL, mean value=3.50±0.93 mg/dL) on admiss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The incidence of cardiogenic shock was high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Group I; 3/86, 3.5% vs Group II; 15/122, 12.3%, p=0.026). The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ejection fraction and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flow were improved after PCI in both groups (Group I; 49.4±10.5 to 52.0±9.0%, 1.52±1.13 to 2.77±0.55, p<0.001 vs Group II; 50.1±11.2 to 52.7±9.7, 1.55±1.11 to 2.76±0.53, p<0.001). Primary success rate of PCI was 94.2% (81/86) in Group I and 95.1% (116/122) in Group II (p=0.776). The survival rates of Group I was 97.7%, 97.7% and 96.5%, and those of Group II was 91.8%, 91.0% and 86.9% at 1, 6 and 12 months, respectively (p=0.043 at 1 month, p=0.040 at 6 months, p=0.018 at 12 months). Conclusion: Higher incidence of cardiogenic shock and worse long-term survival after PCI are observed in AMI patients with elevated CRP.(Korean J Med 61:606-615, 2001)

      • KCI등재후보

        급성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 전 TIMI 혈류가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

        홍영준 ( Young Joon Hong ),정명호 ( Myung Ho Jeong ),임지현 ( Ji Hyun Lim ),박형욱 ( Hyung Wook Park ),김한균 ( Han Gyun Kim ),박옥영 ( Ok Young Park ),김주한 ( Ju Han Kim ),김원 ( Weon Kim ),안영근 ( Young Keun Ahn ),조정관 ( Je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2

        목적 : 경색 관련 동맥의 개통도는 TFG에 의해 측정되며 이러한 TFG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혈전 용해 요법이나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에 장기적인 임상경과와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전의 TFG에 따른 장기적인 임상결과 및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재협착과 재관류 요법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에 입원하여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받았던 급성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 132예를 대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TFG 0-1를 보였던 환자 60예를 I군(62.7±9.2세, 남: 40, 여: 20)으로, TFG 2-3를 보였던 환자 72예를 II군(61.6±11.1세, 남: 49, 여: 23)으로 분류하고 양군 사이에 임상적 및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특성 및 양군에서 1년 주요 심장사건을 관찰하였다. 결과 : 고혈압의 빈도가 I군 56.7%, II군 27.8%로 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01), 내원시 심인성 쇼크는 I군에서 12예(20%), II군에서 4예(5.6%)로 I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p=0.011), 내원시 좌심실 구혈률은 I군 42.6±10.5%, II군 50.5±12.1%로서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22). CRP는 I군 5.9±3.1mg/dL, II군 2.8±2.0mg/dL (p=0.006),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는 I군 32±18mg/dL, II군 22±15mg/dL (p=0.019), fibrinogen은 I군 325±70mg/dL, II군 263±90mg/dL (p=0.001), 백혈구 수는 I군 9903±2748/㎣, II군 9489±2489/㎣ (p=0.035), 단핵구 수는 I군 829±336/㎣, II군 709±323/㎣ (p=0.031)로서 염증 표지자 수치가 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복잡 병변이 I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I군: 32예(53.4%), II군: 26예(36.2%), p<0.001). 1년간 추적관찰시 사망률이 I군 6예(10.0%), II군 1예(1.4%)로서 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28).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표적 병변의 재협착률이나 반복적인 관상동맥 중재술에 있어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1년 추적관찰시 무사고 생존한 경우는 I군 36예(60.0%), II군 57예(79.2%)로서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16). 다변량 분석을 통한 주요 심장사건에 대한 독립적인 예후인자는 내원시 심인성 쇼크, 내원시 CRP가 0.5mg/dL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70세 이상의 고령, 다혈관 질환, 관상동맥 중재술 이전의 TFG가 0-1인 경우,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 TFG가 3 미만인 경우이었다. 결론 : 관상동맥 중재술 이전 TFG가 낮았던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는 고혈압의 빈도가 높았고, 좌심실 기능 부전이 심하였고, 더 심한 염증 반응을 보였으며, 사망률이 높았고 1년간 무사고 생존율이 낮았다. Background : Epicardial infarct-related artery patency is reliably assessed by the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flow grade (TFG), and this index is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s after fibrinolytics or primary angioplast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ong-term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pre-procedural TFG in AMI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Methods : A total of 132 patients with AMI who underwent PCI between July 2001 and December 2001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procedural TFG: Group I (n=60, 62.7±9.2 years, male 66.7%) with TFG 0-1 and Group II (n=72, 61.6±11.1 years, male 68.1%) with TFG 2-3. Results : Hypertension was more prevalent in Group I than that in Group II (56.7% vs. 27.8%, p=0.001) and cardiogenic shock on admiss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Group I than that in Group II (20.0% vs. 5.6%, p=0.011).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was lower in Group I than that in Group II (42.6±10.5% vs. 50.5±12.1%, p=0.022). The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s such as C-reactive protein (CRP),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fibrinogen, white blood cell and monocyte counts were high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On diagnostic coronary angiogram, complex les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Group I than that in Group II (53.4% vs. 36.2%, p<0.001). During 1-year clinical follow-up, the mortality was higher in Group I than that in Group II (10.0% vs. 1.4%, p=0.028),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s of restenosis and target lesion revascluariz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event-free survival rate was lower in Group I than that in Group II (60.0% vs. 79.2%, p=0.016). The independent predictors for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were cardiogenic shock, CRP ≥ 0.5 mg/dL, age ≥ 70 years, triple vessel disease, low pre-interventional TFG (0-1) and post-interventional TFG (0-2). Conclusion : Low pre-procedural TFG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ardiogenic shock,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high mortality, and low event-free survival during one-year clinical follow-up after PCI in AMI.(Korean J Med 69:157-166, 2005)

      • KCI등재후보

        작은 관상동맥질환자에 대한 BiodivYsio Phosphorylcholine - coated Coronary Stent 의 임상 효과

        홍영준(Young Joon Hong),정명호(Myung Ho Jeong),심두선(Doo Sun Shim),임상엽(Sang Yup Lim),양보라(Bo Ra Yang),이상현(Sang Hyun Lee),이승현(Seung Hyun Lee),박옥영(Ok Young Park),박우석(Woo Seok Park),김주한(Joo Han Kim),최명자(Myung Ja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3

        배경 : BiodivYsio stent는 biocompatible molecule인 phosphorylcholine이 부착된 스텐트로서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시술하였을 때 혈전 형성을 줄이고 재협착률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목적 : 관상동맥 질환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중 병변 내경이 2.0∼2.8 mm인 small vessel disease 환자를 대상으로 BiodivYsio stent와 경피적 풍선 확장술을 무작위 순서로 시행하여 BiodivYsio stent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2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 관상동맥 질환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중 혈관 내경이 2.0∼2.8 mm인 small vessel disease 환자 40예를 대상으로 BiodivYsio 스텐트를 시행했던 20예의 환자군을 I군(60.8±9.3세, 남: 12, 여: 8)으로, 경피적 풍선 확장술만을 시행했던 20예의 환자군을 II군(60.3±7.9세, 남: 9, 여: 11)으로 분류하고 양군 사이에 임상적 및 관상동맥 조영술상 특성과 주요 심장사고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1) 임상 양상 및 검사실 소견에 있어서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병변 혈관의 수, 경색관련 혈관의 분포, ACC/AHA 형태, 혈전 내재 병변, TIMI 혈류 등 관상동맥 조영술상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관상동맥 조영술상 참조 혈관 내경, 병변 최소 내경, 내경 협착률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양 군 모두에서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 병변 최소 내경 및 내경 협착률에 있어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6개월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상 II군에 비해 I군에서 병변 최소 내경의 감소 및 내경 협착률의 증가가 유의하게 적었다(1.64±0.17 mm vs 1.36±0.22 mm, 31.9±4.4% vs 43.4±9.7%, 각각 p=0.001, 0.005). 4) 재원 기간 중 급성 심근경색증, 표적 혈관 재개통술, 사망 등 주요 심장 사고에 있어서 양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5) 6개월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상 재협착률은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I군 3/20명, 15.0% vs II군 9/20명, 45.0%, p=0.032), 표적 혈관 재개통술에 있어서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I군 3/20명, 15.0% vs II군 8/20명, 40.0%, p=0.041), 사망률에 있어서는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관상동맥 조영술상 small vessel disease 환자에게 BiodivYsio stent 시술은 재협착률을 의미 있게 감소시켜 표적 혈관 재개통술의 빈도를 줄일 수 있었다. Background : The BiodivYsio stent is a balloon-expandable stent coated with phosphorylcholine designed to reduce the formation of thrombus and the risk of restenosis. Methods : We prospectively studied 20 patients who underwent implantation of BiodivYsio stent (group I; 60.8±9.3 years, male 60.0%) and compared to 20 patients who underwent balloon angioplasty alone (group II; 60.3±7.9 years, male 45.0%) for small coronary arterial lesions (target arterial diameter was between 2.0 mm and 2.8 mm) between February 2001 and October 2001.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such a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and death were evaluated during hospital admission and at 6-month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Results : During hospitalization, the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and death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t follow-up coronary angiography 6 months after PCI, the incidence of restenosis was low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Group I; 3/20, 15.0% vs Group II; 9/20, 45.0%, p=0.032) and the incidence of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TLR) was low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Group I; 3/20, 15.0% vs Group II; 8/20, 40.0%, p=0.041). Conclusion : Coronary BiodivYsio stenting in small coronary artery leads to excellent short- and mid-term clinical outcomes.(Korean J Med 63:251-260, 2002)

      • KCI등재후보

        다혈관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술받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내원 시 상승된 Troponin 1 수치의 의의

        홍영준 ( Young Joon Hong ),정명호 ( Myung Ho Jeong ),이승현 ( Seung Hyun Lee ),박옥영 ( Ok Young Park ),박우석 ( Woo Seok Park ),김주한 ( Ju Han Kim ),김원 ( Weon Kim ),안영근 ( Young Keun Ahn ),조정관 ( Jeong Gwan Cho ),서순팔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1

        목적 : cTnI는 경미한 심근 손상도 알아낼 수 있는 민감하고 특이적인 표지자로 알려져 있어서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한 환자 중 다혈관 질환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내원 시 cTnI수치에 따른 장기 임상 경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심장센터에 입원하여 두 혈관 이상에 대해 PCI를 시술 받았던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154예를 대상으로 내원 시 cTnI 수치가 10ng Background : Cardiac troponin I (cTnI) is a sensitive and specific biomarker for myocardial inju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clinical and angiographic outcomes, success rate of th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 KCI등재후보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내원 시 단핵구 증가증과 예후

        홍영준 ( Young Joon Hong ),정명호 ( Myung Ho Jeong ),이승현 ( Seung Hyun Lee ),박옥영 ( Ok Young Park ),박우석 ( Woo Seok Park ),김주한 ( Ju Han Kim ),김원 ( Weon Kim ),류제영 ( Jay Young Rhew ),양승호 ( Seung Ho Yang ),안영근 (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5

        N/A Background : The inflammation is an important feature of atherosclerotic lesions, and peripheral monocytosis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coronary events and poor prognosis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in clinical and angiographic outcomes, success rate of th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and event-free survival rate after PCI according to the value of peripheral monocyte on admission. Methods : A total of 127 patients with AMI who underwent PCI between June 2000 and June 2001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n=63, 61.7±10.9 years, male 71.4%) with normal monocyte count (<900/mm3, mean value=536±202/mm3) on admission and Group II (n=64, 61.7±13.4 years, male 78.1%) with elevated monocyte count (≥900/mm3, mean value=1,140±260/mm3) on admission. Results : Baseline ejection fraction was low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Group I; 53.3±13.0% vs Group II; 45.0±11.7%, p=0.014). The value of C-reactive protein, troponin-T and troponin-I was high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Group I; 2.8±1.9 mg/dL, 1.98±1.53 ng/mL, 18.3±17.7 ng/mL vs Group II; 5.3±5.0 mg/dL, 3.34±2.54 ng/mL, 43.1±24.0 ng/mL, p=0.034, 0.020, 0.006,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was high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during hospitalization and during 6-month clinical follow-up after PCI (1.6% vs 12.5%, 19.0% vs 31.3%, p=0.012, 0.015, respectively). The event-free survival rates were low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during hospitalization and during 6-month follow-up after PCI (96.8% vs 84.4%, 71.4% vs 53.1%, p=0.006, 0.008, respectively). Conclusion : Peripheral monocytosis is associated with LV dysfunction and higher incidence of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and worse mid-term event-free survival during hospitalization and at 6 months after PCI in patients with AMI.(Korean J Med 63:521-531, 2002) Key Words : Coronary Diseases, Myocardial Infarction, Angioplasty, Inflammation

      • KCI등재

        완화의료 전문인들의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이 말기환자 돌봄수행에 미치는 영향

        홍영준 ( Hong Young Joon ),임성희 ( Lim Seongh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영성(공동체 의식, 일의 의미)과 돌봄수행(정서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 소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전국 68개 완화의료 전문기관의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14부를 SPSS Statistics 2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터영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공동체의식은 심리적 돌봄에 영향을 미치고, 일의의미는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은 돌봄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소진의 독립적 영향력을 측정한 사후분석에서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 미미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소진은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two workplace spirituality dimensions, community at work and meaning in work, and burnout on three caring dimensions, emotional, social and spiritual care, for terminally ill people. It also seek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workplace spirituality dimensions and three caring dimensions.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4 interdisciplinary team members, doctors, nurses, social workers and pastors, working in 68 palliative care in nationwide by questionnair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ommunity at 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are, and that meaning in 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spiritual care. The results also provided that burnout does not impact on three caring dimensions and h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workplace spirituality dimensions and three caring dimensions. In the findings, managers or leaders from palliative care should consider the potentially positive influe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caring for terminally ill people and can improve practitioners` performance with any interventions to increase workplace spiritualit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