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세 아동용 간편어휘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홍경훈(Gyung-Hun Hong),김영태(Young-Tae Kim),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 지체가 될 위험성이 있는 3세 아동들을 선별하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표준화된 어휘 검사도구인 REVT의 문항을 반으로 줄인 간편 어휘선별검사의 신뢰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1년도에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전국의 3세 아동 1,700여명을 대상으로 검사간 상관도와 유의도, 및 백분위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반분 수용어휘검사 및 반분 표현어휘검사 모두 전체 점수와 매우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며, 수용 및 표현어휘 점수 간에는 유의미한 점수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또한 백분위 분포도도 전체 분포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반분 REVT 검사가 3세 아동의 선별어휘검사로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Objectives: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for the at-risk children in language development.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hildren's language tests in Korea is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ince REVT is a comprehensive vocabulary test and covers a wide range of ages, it is often used to test children who have already shown language delays. Th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duct a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develop a screening version of the REVT for 3-year-old Korean childre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1,754 data of 3-year-old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in 2011. Full version of REVT was administered and the data were rearranged in three versions: full version of REVT-R (receptive version) or REVT-E (expressive version); odd-half version, which consists of odd number items from REVT-R or REVT-E; and even-half version, which consists of even number items from REVT-R or REVT-E.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ersions were very high; all three versions showed a slight 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ersions except between the full version of REVT-R and the odd version of REVT-R.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verall, odd-half or even-half versions of REVT could be used to assess 3-year-old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However,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se short versions of REVT.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다중 분광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휴먼 검출

        김영진(Youngjin Kim),박종희(Jonghee Park),이상설(Sang-Seol Lee),장성준(Sung-Joon Jang) 대한전자공학회 202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8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human detection using multi-spectral image deep learning. By adopting this method, the detection of human analysis was enhanced in various condition of illumination compared to single-spectral image deep learning. We fused two images with trainable approach for making adaptive input features according to the various light conditions. This method improved 4~5% in recall value.

      • KCI등재

        3세 말늦은 아동의 7세 언어발달 및 학교수행력 종단연구

        홍경훈(Gyung-Hun Hong),이수향(Suhyang Lee),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3세의 ‘말늦은 아동(LT)’의 출현율과 ‘말늦은 아동’ 집단과 ‘일반 발달 아동(TD)’ 집단이 7세에 언어발달과 학교수행력에서 나타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한국아동패널 연구에 참여한 1,342명이었다. 이들을 3세 때 REVT의 표현어휘 점수를 기준으로 10%ile 미만을 LT 그리고 그 이상을 TD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 두 집단의 REVT 표현어휘와 학교 수행력이 7세에 종단적으로 측정되었다.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의 출현율은 16.6%이었으며, LT의 31.4% 그리고 TD 아동의 10.1%가 7세 때의 표현어휘 수준이 또래 집단의 10%ile 미만으로 나타났다. 7세의 표현어휘 및 언어 관련 학업수행력(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점수는 LT가 TD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 초기 표현어휘 발달의 지체가 언어발달과 학교수행력에 부정적인 예후를 야기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T의 후일 언어발달 및 학교수행력의 결함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언어중재가 고려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late-talkers at the age of 3 and followed up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school performance of these children at the age of 7 in comparison with those without a history of speech dela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42 children who were part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late talkers (L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groups based on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conducted at the age of three. REVT and school performance of the two groups were then re-measured and compared at age 7. MANC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LT and TD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valence of late-talkers at the age of 3 was 16.6%; 31.4% of LT and 10.1% of TD children scored below the 10%tile in expressive vocabulary at the age of 7; and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performance (reading, writing, speaking, listening) scores at the age of 7 in L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D.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a delay in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can be a cause for poor language development and school performance. Given this, language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early on for late-talkers to help overcome potential deficit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school performance.

      • SCOPUS

        아동의 의사소통의도 습득에 대한 종단연구

        홍경훈(Gyung Hun Hong),김영태(Young-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1) 한국 아동의 언어발달 초기 및 후기 시기까지 포함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도 분류체계를 제시하고, (2) 이 분류체계를 적용한 종단관찰자료를 통하여, 한 낱말에서 두 낱말로 발달하는 시기에 나타나는 의사소통의도 유형과 산출형태를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아동의 의사소통의도 분석체계는 요구, 반응,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메세지 수신표현, 구성요소, 그리고 발전적 표현의 7가지 상위범주로 구성되었으며, 총 3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19개월에서 24개월까지 한 아동의 의사소통의도를 종단관찰한 결과, 의사소통의도의 산출유형은 '몸짓+발성' 의 형태가 20개월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거의 모든 의사소통의도가 말 의 형태로 산출되었다. 산출형태는, 관찰초기에는 반응과 요구가 전체 의사소통의도의 약 60%를 차지하였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비율이 점차적으로 감소한 반면, 언급과 진술의 비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연령의 증가에 따라 산출하는 의사소통의도의 하위범주가 점차 다양해져, 24개월까지 거의 모든 하위범주의 의사소통의도 유형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물의 기능을 나타내는 행동/언급인 기능 , 부인/반대 의 메시지 수신표현 및 화자선택 의 3가지 기능은 이 시기에 나타나지 않았다. The present s tudy aimed to (1) propos e a sys tem for obs erving and coding Kor ean children s communicative intentions cover ing from ear ly to late language developmental s tages and to (2) inves tigate the types and modes of communicative intentions from one- word to two- word utter ance s tages by us ing the sys tem. The inventory of communicative intentions to code the childr en s intentional communication included r eques t , r espons e, comment , s tatement, acknowledgement , organization device and advanced speech acts which wer e further divided into a total of 39 subcategor ies . It was found that the verbal mode of communication was predominant. with dr amatical decr eas ing of ges tur e + vocal mode of communication at the age of 20 months . In terms of the types of communicative intentions , r espons e and r eques t wer e produced mos t fr equently in the ear lier per iod. However , the proportions of respons e and r eques t decr eas ed and comment and s tatement incr eas ed as the age incr eas ed. The older childr en demons trated var ied modes of communicative intentions including all subcategor ies s tudied except for the functions of dis approval, dis agr eement , and speaker s election."

      • KCI등재

        종단연구를 통한 '말늦은아동(late-talker)'의 표현어휘발달 예측요인 분석

        홍경훈(Gyung Hun Ho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1

        본 연구는 ‘말늦은아동’의 표현어휘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변인들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말늦은아동’ 중에서 자연적으로 표현어휘발달수준이 정상수준에 도달한 집단과 계속해서 지체를 나타낸 집단이 나타낸 의도율, 유형율, 몸짓율, NDW, 자음율 그리고 언어검사인 SELSI의 표현언어발달점수와 수용언어발달점수 등의 평가변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ELSI의 수용언어발달점수를 제외한 모든 평가변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든 평가변인들이 집단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평가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평가를 통하여 ‘말늦은아동’의 자연적인 표현어휘발달을 통계적으로 타당하게 예측할 수 있었으며, 평가변인들 간의 상대적인 집단 예측기여도는 유형율, NDW, 몸짓율, SELSI의 표현언어발달점수, 자음율, 그리고 의도율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현장에서의 실질적인 활용을 고려하여 측정과 분석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평가변인들인 의사소통의도 관련, 구어형태 관련 그리고 언어검사도구 관련 평가변인들로 나누어 구축한 판별함수모형들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판별분석에서 나타난 각 판별함수모형의 집단 예측력과 분류정확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의도 유형율과 NDW가 ‘말늦은아동’의 표현어휘발달을 가장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essment variables for predicting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late-talkers. Forty-one late-talkers between 18 and 30 months old at the time of inta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participants were initially identified as late-talkers because their expressive vocabulary sizes scored below -1SD on the MCDI-K. Descriptive assessment variables(e.g., overall rate of communicative intentions, size of communicative intention inventories, rate of communicative gestures,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proportion of consonants in communicative utterances) and psychometric assessment variables(e.g., expressive and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from the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were measured at intake. Six months after intake, each participant received a follow-up, in which the MCDI-K measured the participants’ expressive vocabulary size again. The follow-up data indicated that 18 late-talkers caught up with their normal peers(denoted as late-bloomers) while the other 23 continued to show signs of expressive vocabulary delay(denoted as truly-dela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ate-bloomers and truly-delayed children significantly differed in all the following variables except for SELSI’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overall rate of communicative intentions, size of communicative intention inventories, rate of communicative gestures, NDW, proportion of consonants and SELSI’s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According to discriminant analyses, the size of communicative intention inventories prove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all variables and NDW prove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verbal-related variables. However,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using SELSI, prove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SELSI-related variable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