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이용 변화지역의 토양재조사 결과 분석

        현병근(Byung-Keun Hyun),손연규(Yeon-Kyu Sonn),박찬원(Chan-Won Park),송관철(Kwan-Cheol Song),전현정(Hyen-Chung Chun),홍석영(Suk-Young Hong),문용희(Yong-Hee Moon),노대철(Dae-Cheol Noh),정소영(So-Young Ju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4

        최근 농경지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도시화, 경지정리, 도로공사 및 혁신도시 건설 등으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 변화심화지역인 경기도 고양시, 충청남도 천안시,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토지이용변화실태, 토양특성변화양상, 토양도수정내용 및 기업도시 등으로 편입되는 지역의 토양환경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경지면적 (2011년)은 2009년대비 17.3 ha가 감소되었다. 논의 경우 24.2 ha가 감소되었으나, 밭의 경우에는 7.0 ha가 증가하였다. 2. 논의 면적 감소사유로는 논밭전환 (20.7 ha) > 공공시설 (3.2) ≥ 건물건축 (3.2) > 유휴지 (1.3) > 기타 (0.9)순이며, 밭 면적의 증가원인은 논밭전환 (20.7 ha) > 개간 (4.5) > 복구 (0.3) 순이었다. 논밭전환의 이유는 논 농사에서 농가소득이 높은 밭작물 내지 시설작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토지이용변화가 심한 해당시군의 농경지감소 (논, 밭, 과수)는 밭토양조사 (1995∼1999)당시와 비교 (2011년)할 때 고양시는 1,466 ha, 천안시 9,708, 원주시 6,980 ha가 감소되었으며, 1999년 대비 45%∼25%의 농경지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4. 환경부 토지이용피복도의 통계자료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농식품부 통계자료와 비교시 지목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추후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5. 원주시의 토양정보 변경내용을 보면 곡간지의 일부 논토양이 밭 또는 과수원으로 토지이용이 변경되었으며, 배수등급의 경우 도로건설 등으로 인해 저습화되는 등 해당 토양의 일부 특성정보가 변경되었다. 특히, 논토양의 경우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휴경, 성토화 등으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였다. 6. 원주시 혁신도시에 편입되는 논토양은 급지가 떨어지는 3∼4급지가 대부분으로 3급지 70.8%, 4급지 29.2%이었다. 밭토양 역시 4급지가 88.7%인 토양으로 우량 급지가 혁신도시 건설에 속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우량농경지보전을 위해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Recently, agricultural lands decrease sharply, which was caused by urbanization, land consolidation, road construction, and innovation city construction, etc. In particular, Goyang, Chenan and Wonju city were had severe land use change. Therefore, we analyzed changes of land use, soil properties, and soil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soil information and soil management practice in these cit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rea of crop cultivated land in Korea (2011) was reduced to 17.3ha compared to ones from the previous year (2009). The paddy field decreased by 24.2 ha but, upland field increased by 7.0 ha. The reasons for the reduction of the paddy field were converting paddy field to upland (20.7 ha) > public facilities (3.2) ≥ building (3.2) > idle land (1.3) > and others (0.9). Other reasons for reduction in the upland field were switching upland to paddy field, (20.7 ha)>land developed (4.5) > and restoration (0.3)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of converting paddy field to upland was changing from rice to more profitable upland or greenhouse crops. The cropland area (paddy fields, upland, orchard) of Goyang, Cheonan, and Wonju city were reduced to 1,466 ha, 9,708 ha and 6,980 ha respectively. The ratio of cropland area in each city was reduced by 45~25% dramatically compared to upland soil survey project in Korea (1995∼1999).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MiFAFF statistics data to use for land use cover map of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ey were differences significantly. Therefore, intensive investigation should be advised throughout the utilization plan. The paddy fields located in small valley in Wonju city were changed into upland or orchard. The drainage classes of soil have been deteriorated because the flows of water were intercepted by road construction and other disturbance to water flows. In particular, paddy fields have been changed to not only upland, orchard, greenhouse cultivation but also to fallow and soil dressing on paddy in Wonju city. The soil suitability classes of paddy field in Wonju innovation city were the 3rd grade for 70.8% of the area and the 4th grade for 29.2%. The soil suitability classes of upland was the 4th grade for 88.7% of the area. Fortunately, good soil suitability classes were not belong to innovation city in Wonju. So, the good farm land should be conserved and revise the related law.

      • KCI등재
      • 새만금 간척지의 보리재배시 토양관리방법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효과

        현병근(Byung-Keun Hyun),류철현(Cheol-Hyun, Ryu),이슬비(Sul-Bi Lee),이찬욱(Chan-Wook Lee),송요성(Yo-Sung Song),조유리(Yu-ri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비산먼지의 발생은 토양이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불 때 발생한다. 비산먼지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토양을 습윤상태로 만들거나, 토양표면을 식생 등으로 피복하여 토양입자가 부유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새만금 간척지는 2∼5월에 강한바람(4∼9m/s)이 발생할 때 비산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저감하기 위해서 보리재배시 토양관리방법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 효과시험을 구명하였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보리재배시 ①관개용수의 염농도별(0, 3, 6 dS/m), ②보리의 파종시기별(2, 4, 6, 8, 10, 12월), ③시비방법 및 비종별(토양▪엽면 X 요소구▪유안구)로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비종은 요소구(요소-용성인비-염화가리)와 황산근(SO<SUB>4</SUB>)을 포함한 유안구(유안-용과린-황산가리)로 처리하였다. 비료시용은 보리의 밑거름/웃거름을 토양/토양, 토양/엽면, 엽면/엽면으로 처리하였다. 생육조사는 초장과 경수, 해당면적을 작물이 피복한 비율을 적용한 피복도(4회)를 조사하였다. 비산먼지량은 8회(10월∼6월)를 조사하였다. 비산먼지량 채취는 해당 시기에 플라스틱 컵(직경 7.4 cm)을 지면에 묻어 비산먼지가 채취된 량으로 평가하였다. 처리간 효과구명은 Duncan 다중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개용수 염농도별로는 예년에 비해 2021년에 비가 자주 와서 처리간의 생육차이가 없었으며, 비산먼지 저감효과에도 처리간의 유의성이 없었다. 파종시기별로는 10월에 가까울수록 보리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12월에 파종한 구가 동해(-17℃)를 입어 2월에 파종구 보다 초기에는 생육이 저조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회복되었다. 파종시기별 비산먼지 저감효과는 10월 > 2월≒12월 > 4월 순이었다. 6월과 8월은 생육이 거의 되지 않은 나지상태였다. 비료처리는 토양처리가 엽면처리보다 양호하였으며, 비종 간에는 뚜렷한 유의성이 없었으나, 유안구가 요소구에 비해 약간 양호한 경향이었다. 이를 종합하면, 풍속이 강한 새만금 지역에서 비산먼지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비종은 황산근 비종을 선택하고, 시비처리는 엽면보다는 토양에 직접 처리하며, 파종시기는 10월에 가깝게 파종되는 것이 바람이 강한 2∼5월에 표면피복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해발에 따른 제주도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에 관한 연구

        현병근(Byung-Keun Hyun),정연태(Yeon-Tae Jug),현근수(Geun-Soo Hyun),문경환(Kyung-Hwan Moon),송관철(Kwan-Cheol Song),손연규(Yeon-Kyu Sonn),장용선(Young-Seon Zhang),박찬원(Chan-Won Park),홍석영(Suk-Young Hong),김이현(Lee-Hyun Kim),최은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2

        제주도 화산회 토양중 용암류대지 지형에 대한 세분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매우 많은 토양통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많은 토양통이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세분화할 경우 훨씬 다양한 토양정보를 제공할수 있기 때문이다.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연구를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암류대지에 해당하는 토양 38개를 대상으로 해발별로 토양통을 구분하였다. 해발별 구분은 50m 미만, 50-200m, 200-400, 400m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2. 해발별로 구분된 용암류대지 지형을 해발 50m미만은 용암류대지 하부, 50-200m는 용암류대지 중부, 200-400m와 400m 이상의 경우에는 용암류대지상부로 세분화하였다. 3. 용암류대지를 세분화한 지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용암류대지하부 지형은 토성이 미사식양질 내지식질, 배수등급은 다양하였으며, 평균유효토심은75.3cm, 평균자갈함량은 11.6%, 평균경사는 7.2%, 저해인자는 다양하였고, 토양목도 다양하였다. 용암류대지 중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내지 미사사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내지 매우양호, 평균유효토심은65.9cm, 평균자갈함량은 14.7%, 평균경사는 11.3%, 저해인자는 주로 화산회였으며, 토양목은 주로 Andisols과 Inceptisols이 분포하였다. 용암류대지상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평균유효토심은 72.8cm , 평균자갈함량은 16.0%, 평균경사는 14.9%, 저해인자는 회산회와 석력이었으며, 토양목은 Andisols이 주로 분포하였다. 4. 수량성 향상 및 고품질 작물생산을 위하여 세분화된 용암류대지의 토양특성에 따른 토양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to increase the practical use of soil survey data through the subdividing of lava shapes with soil sequences due to different elevations in Jeju. The numbers of soil series of lava topography had occupied many of whole soil series in Jeju. When its topography subdivide, it give more detailed soil information.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lava topography to subdivide lava topography were studied with 38 soil series according to elevation in Jeju. Division of elevation are less than 50m, 50m to 200m, and 200m to 400m and more than 400m. Name the depending on elevation, less than 50m is called lower part of lava, 50m to 200m is called middle part of lava, and 200m to 400m and more than 400m are called upper part of lava. The characteristics of lava subdivide are as follows; soil family texture of lower part of lava is fine silty to clayey, drainage classes are various, average of available soil depth is 75.3cm, average of gravely contents are 11.6%, average of slopeness is 7.2%, limiting factor are various and soil order are various. soil family texture of middle part of lava is fine silty to coarse silty, drainage classes are well to very well, average of available soil depth is 65.9cm, average of gravely contents are 14.7%, average of slopeness is 11.3%, limiting factor are ashy and soil order are Andisols and Inceptisols. Soil family texture of upper part of lave is fine silty, drainage classes are well, average of available soil depth is 72.8cm, average of gravely contents are 16.0%, average of slopeness is 14.9%, limiting factor are ashy and skeletal, and order are Andisols.

      • 토양유기물 칼라챠트 및 토색계 SPAD 503를 이용한 토양유기물함량 추정 연구

        현병근(Byung-Keun Hyun),이예진(Ye-Jin Lee),류철현(Cheol-Hyun Ryu),조유리(Yuri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토양의 색이란 토색(土色, soil color)이라고 하며 먼셀 색조표에 의해 색상, 채도, 명도로 표기된다. 토색은 토양의 성질 또는 생성과정을 아는데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다. 토색에는 주로 부식과 철화합물의 함량과 그 외에 석회, 규산, 망간, 석고 등의 존재 및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토양비료용어사전, 2012). 주로, 토색이 어두울수록 유기물 함량이 많고, 붉거나 노란색에서 백색으로 가까울수록 토양유기물함량이 적다고 할 수 있다. 토양의 비옥도를 나타낼 때 토양 중의 질소함량은 토양유기물 함량에 따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물이 많은 토양은 질소함량이 많고, 유기물이 적으면 질소함량도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양의 유기물함량을 적정수준 이상으로 높여야 토양의 지력 질소 공급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자들이 토색을 통해 토양유기물 함량을 추정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결과는 많지 않다.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시도를 해 봤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나, 실용적인 연구결과를 얻지 못해서 유용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알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토양분석법인 튜린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현장에서 토양유기물을 신속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장에서 신속하게 토양유기물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현재까지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토색 측정방법은 토양의 유기물함량 칼라챠트(미국 일리노이대학 Extention)와 현장토양의 토색을 측정하는 토색계 SPAD 503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토양 173점(논 78점, 밭 95점)에 대해서 토양유기물 칼라챠트와 SPAD 503을 이용하여 토색을 측정하였고, 해당 시료를 실험실 분석방법으로 분석한 토양유기물 함량과 비교하였다. 분석점수 중 148점(85%)을 이용하여 토양유기물함량 추정모형(전체농경지, 논·밭 구분)을 만들고, 나머지 25점(15%)을 통해서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토양유기물을 추정하는 데는 SPAD 503이 토양유기물 칼라챠트보다 유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계수는 각각 SPAD 503(농경지전체) 0.9502, SPAD 503(논·밭 구분) 0.9537, 칼라챠트(농경지전체) 0.7243, 칼라챠트(논밭구분) 0.7738 이었다. 앞으로, 토색을 분석한 자료중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추정모형의 정확도를 높인다면 현장에서 신속하게 토양유기물 함량을 추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장에서 필요한 비료사용처방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