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서 비판교육학 논의

        허창수(Changsoo Hur)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한국의 대안교육은 1990년대 이후 교육운동으로 성장해왔다. 최근에는 혁신학교,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등 공교육 체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장해왔다. 2021년에는 교육 기관으로 인정받고 지원받기 위해 제도적 기반도 만들어졌다. 20년간 대안교육운동을 성찰한 결과 후반 10년은 정체된 잃어버린 시간으로 이해하고 있다. 새로운 ‘대안’에 대한 고민으로 교육철학의 빈곤함도 쟁점으로 부각되었지만 특별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그간 진행해온 대안교육의 이념들을 담을 수 있는 교육철학을 제안하고자 논의하였다. 비판교육학은 의식적인 해방을 통해 주체적이고, 자율적이며,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인간 양성이 목표이다. 최근에는 생태환경과 페미니즘에도 관심을 가지고 논의해왔다. 프레이리, 일리치 같은 학자들의 교육철학은 대안교육운동 초기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미루어 볼 때 한국의 대안교육운동은 비판교육학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미래 새로운 대안을 위한 교육철학으로 타당함에 대한 가능성을 이 연구는 논의하고 있다.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 has grown into an educational movement since the 1990s. The alternative education is affecting and growing the public education system such as innovative schools, free semester systems,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s. In 2021, an institutional foundation was also established to be recognized and support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s a result of reflecting on the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for 20 years, it is understood as stagnant lost time in the second half of the decade. It is discussing reorganizing the meaning of future-oriented alternatives with the new alternatives. The poverty of educational philosophy has also been highlighted as an issue, but no special discussions have been underway. Thus, the study discussed to propose an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ould capture the ideologies of alternative education. Critical pedagogy aims to foster human beings who are subjective, autonomous, active and self-reliant through conscious emancipation. In recent years, critical pedagogy have discussed ecological environment and feminism.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scholars such as Freire and Illich was the basis of the early alternative educational movement. Considering this, the study discusses that Koreas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can be understood through critical education and is reasonable as an educational philosophy for new alternatives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한이주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허창수(Hur, Chang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증가하는 학령기 북한이주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업 성취를 위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한 제언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교육에 대한 이해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이 주학생들을 직접 지도하고 있는 각종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집중집단면담을 하였다. 면담은 2009 개정 교육과정 문서상 문구들을 질문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해서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야기 형식으로 그동안 겪은 경험을 제공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과와 시사점은 첫째, 북한이주학생들도 남한학생들처럼 개별적인 특수성이 존재하며,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이에 적합하도록 다양성을 발휘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원에 있어서 북한이주학생들의 다양한 정체성에 어울리는 유연성을 극대화 시켜야한다. 셋째, 국가와 지역으로부터 물적, 인적 자원이 충분히 제공되어야하며, 특히 지역 사회 기관과 단체와의 연계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들은 특정 대상인 북한이주학생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 교육에서 학력이나 기타 배경이 부족한 학생들이 모두 해당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고, 이는 한국 교육이 그동안 소수자들을 소홀하게 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I begin this study with a critical mind reflecting on problematic issues about the North Korean migrant student in school. Thus, in this study, I attempt to give a few suggestions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successful North Korean migrant student performances. For achieving this purpose, I invited experts in school as well as alternatives educational institutes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through a method of narrative. I used a questionnaire based on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I found four major orientations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First,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have various identities according to their previous lives that school curriculum should consider their diversities to develop and manage. Second, therefore, school curriculum should take its maximum flexibilities to be apt for the North Korean migrant student. Third, also,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upport each school in a big portion of facilities, human resources, and especially construction on a practical network with local social groups and institutes. Lastly, I found these suggestions are not only for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but also for the South Korean student who are in low level of school performance and have a poor family background in terms of symbolic capital. This implies that school curriculum in South Korea has been neglecting minorities in terms of development,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허창수(Hur Chang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젠더의 이분법적 인식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시작되었다. 이러한 젠더의 이분법적 인식은 학교 교육과정의 실행에 스며들어,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고정관념 또는 보편적(stereotype)이고 이분법적인 정체성으로 전환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제기와 힘께, 초등학교 2학년 어느 한 반 아이들의 놀이와 수업을 중심으로, 그들 사이에는 얼마나 다양한 탈보편적인 젠더 정체성이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에 답변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대상들은 생물학적 성(sex)에 따른 보편적이고 이분법적인 젠더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동시에 학생의 수업과 놀이에서 이분법적인 젠더 정체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례들도 상당히 나타났으며, 이것으로부터 결국 대상 학생들이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기에는 어렵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With a purpose to understand children"s socialization in schooling, I attempt to answer a question of how Korean second grade children reconstruct their gender identities in an elementary classroom?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way of ethnographic study to explore the meanings of children"s gender plays during several months. The emergent meanings of children"s gender plays suggest school practices in five folds: 1) Korean teachers should consider their practices in terns of gender if they need to divide their children by gender categories, 2) Teachers and school practices should make an effort to avoid stereotypical gendered practices in schooling, 3) Teachers encourage mixed gender practices rather than individual gender practices, 4) To manage school facilities, teachers and other school stakeholders should not assign them to a particular gender category, 5) Schooling should encourage children"s critical thinking to understand their given situations. This study has tow implications: 1) I suggest that the further studies on gender identities of children should consider various gendered identities and practices rather dichotomous perspectives among children plays, 2) I suggest that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based on gender perceptions to give children opportunities of reconstructing their oppressed gender identities.

      • KCI등재

        비판교육학에 의한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허창수(Changsoo Hur)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최근 들어 미래 교육의 한 방향으로 세계시민교육이 논의되고 있다. 국외의 활발한 논의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학문적 방향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 방향이 제안되고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것이 바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이다. 이것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전개되어야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향후 다양한 연구 방향의 지표가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국외 선행연구들에서 살펴보면 세계시민교육의 배경 이론으로 탈근대주의, 탈식민주의, 그리고 비판이론이 논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은 특히 교육이라는 영역적 특성을 담은 것으로서 비판교육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가진 의식, 이성, 합리성의 해방은 세계시민교육이 현시점에서 취해야 할 중요한 방향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 중 하나로서 비판교육학은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의는 비판교육학이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타당함을 주장하고 있다. Scholars suggest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as an important direc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Although many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internationally going on, the studies in Korea are still on the beginning stage. Thus, it is asserted that studies for GCE should be proceeded more actively and widely, especially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because it might give a concrete direction for GCE. In the international trend, studies suggest that GCE should be discussed among post-modernism, post-colonialism, and critical theory as theoretical framework. So, this study purports to find a theoretical framework which represents those three. It is critical pedagogy (CP) which also includes educational values for GCE. The reason is because CP tries to achieve emancipation in terms of consciousness, reason and rationality through educational praxis and it should be a background for GCE in terns of current situation in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asserts and tries to prove that CP is currently at the center of theoretical backgrounds for GCE.

      • KCI등재

        브리콜라주로서 질적 연구의 이해

        허창수(Changsoo Hur)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북미의 경우 브리콜라주는 질적 연구의 논리와 사고의 배경으로 흔히 사용하고 있다. 이는 예술운동의 하나로 그것이 가진 특성을 비판과 실존이라고 할 때 질적 연구의 개념과 상당 부분 일치하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의 경우 최근 들어 질적 연구의 범위가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상황인데, 그에 비해 브리콜라주라는 개념은 매우 생소하다. 선행연구들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학, 예술 등의 영역에서만 브리콜라주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매우 간헐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개념적 정립과 이를 통해 질적 연구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는 브리콜라주라는 명제를 입증하기 위한 논의를 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요약하면 질적 연구는 성찰을 통해 이해와 해체를 통한 재구성의 과정을 담고 있는데, 브리콜라주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과 다양성을 가진 해석과 이해를 위해 짜깁기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브리콜라주의 개념을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질적 연구는 브리콜라주라라는 명제는 매우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As a backgroun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concept of bricolage is very common in the North America. As a movement of art area, because, it has characteristics of criticality and existence which is very close to the defini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However, regardless of recent rapid wide-spread of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 world trend of research methodology, it is very unusual that scholars are rarely discussing on the concept of bricolage in South Korea. In literature review, scholars conceptualize bricolage in literature, art, and so on except qualitative research field. Thus, I realiz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bricolage in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t, scholars will understand more about the defini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ly, I try to prove the thesis ‘qualitative research is bricolage’ in this article. In conclusion, scholars commonly define qualitative research to involve the meanings of ‘reflection’, ‘understanding’,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illustrate also the concepts of bricolage in a praxis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with getting together of rigorousness, complexity, and criticality. I realize that these notions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in this study.

      • KCI등재

        비판교육학을 통한 교육 국제자원활동의 이해

        허창수(Changsoo Hur)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교육 국제자원활동은 교육을 통해 지역 재원을 끌어낼 수 있는 자원활동 중의 하나이다. 이는 최근 들어 국제자원활동에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도 교육 국제자원활동 참여 인구와 지원은 급증하고 있는데, 참가자들은 그것이 가진 근본적인 의미인 지역 재원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보다는 자신의 스펙 쌓기 위한 과정, 자기 성장을 위한 봉사학습, 그리고 시혜적인 차원의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국제자원활동이 추구하는 방향이 부재한 데서 오는 오해라고 본 논의는 주장하고 있다. 이에 교육 국제자원활동 방향에 지평이 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의 필요성과 함께, 본 논의는 비판교육학을 제시하고 있다. 비판교육학은 허위의식을 해체함으로써 의식과 행동에서 자율성과 자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비판교육학은 교육 국제자원활동에서 의미하는 자원활동이 가진 지역 재원 활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활동을 끌어내는 데 필요하고 적합한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음을 본 논의는 강조하고 있다.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is one of activities in volunteering. Volunteers have been recognizing that educational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volunteering.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of participants and various supports for educational volunteering in South Korea. However, regardless of the essential meanings in which activities commonly attempt for deriving local sources in terms of human and resources, many participants in volunteering take advantages of their own purposes and providing their supports in terms of a mercy. This study asserts that this situation comes from the lack of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volunteering. Therefore, this study realizes a need of providing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purports to suggest it for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It is the critical pedagogy. Critical pedagogy tries to deconstruct false-consciousness of the oppressed through education. And, it emphasizes that people could have autonomy and self-directed sovereignty. Accordingly, critical pedagogy should be a theoretical background of activities for deriving human’s autonomous consciousness and their own resources. Thus, it might b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 KCI등재

        대안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감수성 함양 탐색

        허창수(Hur, Chang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창의적 체험활동, 학교 혁신, 자유학기제와 학년제를 연상하면 대안 교육이 떠오른다. 실제로 자유학기제와 학교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은 대안 교육에서 실행한 많은 교육 프로그램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은 이와 같은 교과교육 외, 즉 비교과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는 공간에 대안 교육이 상당 부분 이입되고 있다. 학교에서는 따라서 실행되고 있는 대안 교육에 대한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의는 이러한 취지에서 대안 교육으로 활용하고 있는공동체적 감수성에 기초한 한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이며 사례연구로 진행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주요 자료로 수집하였다. 그리고 공동체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에 대한 해석적 논의를 하였다. 최근 마을교육공동체의 움직임은 산업화로 인해 개인주의화 되어 가고 있는 사회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성, 공동 체성 같은 역량이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수집한 이야기와 함께 사진첩으로 제작하는 과정은 학교 교육에서 주변 지역을 이해하고 소중하게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는 공동체성을 기르는데 효율적이고 다양한 교육적 의미를 담고 있음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현대 사회에서 교육에서 필요한 역량을 충분히 함축하고 있기에 학교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가지게 되었다. Alternative education comes to mind when associating creativity experiential activities, school innovation, free semester system. Indeed, the curriculum for free semester and school innov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many educational programs implemented in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alternativ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curriculum. Schools need to actively review the use of alternate education that is being implemented. This discussion explored the process of a program based on the community sensitivity that is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education in this sense. In addition, it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it ha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that collect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already conducted as main data. It was also an analytical discussion of the full potential to develop community sensitivity. The recent movement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can be sai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society that is becoming individualized due to industrialization. For this, citizenship and community competency are important. In this sense, the study understands that the process of collecting stories and collecting photographs while walking around the village has an effective and diverse educational meaning in educating communities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and valuing the surrounding area in school educ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to be able to utilize it effectively in the school curriculum because it fully implies necessary capacity in education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국제청년캠프에 참여한 한국청년들의 경험에 이해와 다문화 교육의 방향 제언

        허창수(Hur, Chang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제이해 관련 캠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이유는 한국 청년들이 다문화를 접하고 그들의 인식을 발전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경험으로서 하나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 청년들이 국제이해 관련 캠프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거의 진행되어 오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국제청년캠프에 참가한 한국 청년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변화를 조사하여 미래 한국 다문화 교육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한국 내에서 진행되는 한국제청년캠프를 선택하여 핵심이 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평가를 위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캠프에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관찰과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해당 캠프에서 보유하고 있는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사례연구로서 분석과 해석방법은 해당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적 기호들을 유형화하여 한국 청년들의 인식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한국 청년들은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함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개인주의적이고 국가와 민족에 강조된 문화적 이데올로기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본 연구는 해석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시작은 한국 청년들이 가진 인식의 실체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지식, 가치와 태도, 기술을 고민해야할 것을 제언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youth camps has been emerging with an emphasis on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One possible reason is that the international youth camp offers direct experiences for improving perceptions on multiculturalism. Unfortunately, research has rarely been conducted assessing how Korean youth has been affected by the camps in relation to their multicultural perceptions. Accordingly, this study firstly purports to understand Korean participants' multicultural perceptions. It also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se perception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selected an international youth camp in South Korea and proceeded to organize a case study for evaluating a major particular program. To collect data, the study participated and observed the camp. Korean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related documents were review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results, the data was codified and particular stories, events, and experiences were selected. Also, as a case study, cultural symbols related to Korean participants' perceptions of muliticulturalism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Among these processes the study highlighted the issue of Korean youths' lack of multicultural perceptions. A possible reason is that Korean youth has an individual, ethnic, and national oriented personality as a dominant cultural symbol and ideolog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and managed based on current Korean youths' perceptions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