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륙도 주변해역 저서 갑각류 (Crustacea)의 종조성과 군집구조

        허유심 ( Yu Sim Heo ),최정화 ( Jung Hwa Choi ),김정윤 ( Jung Yun Kim ),이동우 ( Dong Woo Lee ) 한국어업기술학회 2014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0 No.4

        Community structures and species composition in benthic crustacean around Oryukdo of Busan was investigated using a SCUBA diving in 2011. A total 115 species, 51 families, and 4 taxa were collected during the sampling periods. Species were included 52 species in amphipoda, 49 in decapoda, 8 in isopoda and 6 in thoracica. On cluster analysis, the benthic crustace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group A occurred in spring, group B in autumn and winter and group C in summer. Species composition in benthic crustacean correspond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 KCI등재

        서울지역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실험 · 실습실의 유해환경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

        허유미(Yu-Mi Heo),유현석(hyun-seok Yoo)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3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교사들은 업무시간과 이론 중심 과목의 수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험 · 실습실에서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소음, 분진, 용접흄, 중금속, 유기용제 등 다양한 유해환경에 노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 공업계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실험 · 실습실의 유해환경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특성화고 실험 · 실습실 유해환경 요인에 대한 교육자료 및 유해환경 요인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실험 · 실습실의 안전 및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문헌과 관련 법령을 검토하였으며, 서울지역 공업계역 특성화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험 · 실습실 유해환경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 설문지는 실험 · 실습실의 현황, 실험 · 실습실에서 수업 시 교사가 유해환경 요인을 인식하는 정도와 교사들이 노출되는 물리적, 화학적, 인간공학적 유해환경 요소, 실험 · 실습실의 유해환경 개선 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등을 조사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서울지역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 34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실험 · 실습실별로 교사가 인식하는 유해환경 요인의 종류와 인식 정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실험 · 실습 과정에서 장비를 많이 사용하거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분야의 교사일수록 유해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눈이나 코와 같이 바로 느낄 수 있는 유해환경 요소에 대해서는 유해성에 민감하게 인식하였으나 보이지 않는 유해환경 요소에 대해서는 유해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are exposed to various hazardous environments such as noise, dust, welding fumes, heavy metals, and organic solve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most of the classes are taught in practice rooms, except for work hours and classes focused 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Seoul City. In addition,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hazardous environment factors and evaluation models in technical high school practice room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and related laws on safety and environment in the practice room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teachers" perceptions of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actice room of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Seoul. This questionnaire is for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ractice room, the degree to which the teacher perceives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actice room, the physical, chemical, ergonomic hazardous environment factors exposed to teacher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hazardous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 the practice room. And 348 teachers in Seoul area responded to this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type and degree of recognition of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recognized by teachers for each practice subject. In the course of practice, teachers in fields that use more mechanical equipment or chemical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hazard. In addition, the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teachers can feel with their eyes or nose were sensitively perceived the hazar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hazard was largely not recognized for the invisible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초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주관적 행복 수준 및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변인 탐색: 행복한 저성취 학생을 중심으로

        허유성 ( Yu Sung Heo ),최지영 ( Ji Young Choi ),남창우 ( Chang Woo Na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2008년도 초등학교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행복한 저성취 학생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 초등학생 11,37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업성취수준과 행복수준에 따라 4가지 유형의 학생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2유형에 속하는 행복한 저성취 학생을 가능하게 하는 교실수준의 변인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등학생 중 행복한 저성취 학생의 비율은 약 16%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은 1유형 학생이 32.4%로 가장 높았다. 둘째, 행복한 저성취 학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수준의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에 의하면, 수업방법보다는 교사특성과 교실-학습 분위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에서는 강의식과 토의식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특성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열의, 교사의 지원, 수준별 수업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교사의 성취압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학습 분위기에서는 협력적 분위기, 경쟁적 분위기, 수업분위기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의 개별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수준 변인은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저성취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실수준에서 성취도 향상을 위한 노력과 함께 그들의 행복수준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assroom variables related with 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in a general education selling. To categorize students into for types, we use KEDI 2008 data including 11,378 elementary students and 11,778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the 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16% of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are happy and about 30% of them are not happy. We employed logistic regressions to analyze which variables are related with happy and un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classroom climate are more influential than teaching methods. Related with teachers` characteristics, teachers` enthusiasm, supports, individualized learning reported positive influences. Collaborative, competitive, and friendly classroom climate are found to influence positively to the students` happiness. In discussion section, we tri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how to make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happy in school.

      •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초중고 시기 진로결정 영향 요인 탐색

        허유성(Heo, Yu Sung),김정연(Kim, Jeong Youn)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최근 특수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좋은 예비 특수교사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과 재학생의 전공 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초중고 시기의 진로결정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과 2,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특수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이 연구에서 도출된 회귀방정식은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선택 만족도 변량의 약 51%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선택 만족도에는 진로결정 자율성, 가족지지, 직업가치 인식, 취업률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영향 요인 중 진로결정 자율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 자율성과 가족지지에는 직업가치 인식이, 직업가치 인식에는 진로지식 자신감이, 그리고 취업률에는 사회적 인기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 자율성, 가족지지, 취업률, 직업가치 인식, 전공 선택 만족도 간 경로 분석을 통해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의 결과가 주는 교육적 함의점을 다루었다. Currently, it is becoming important to acquire and train goo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major selec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career decision in school age. A total of second and third grade 121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Additional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four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el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regression model of this study explained about 51% of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election. Second, self-directed decision making, family support, job value recognition, and employment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selection of major. Third, addition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four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urth,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among four variabl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cluding total effect were present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사의 성실실패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허유성(Heo Yu-sung),김정연(Kim Jeong-youn),김나연(Kim Na-ye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성실실패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특수교사 15명을 대상으로 2회의 FGI를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특수교사가 경험한 성공과 실패에 관한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그 과정에서 갖게 된 성실실패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참여자들의 공유된 경험과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룹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21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 주제에 대한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2)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 (3) 특수교사가 경험한 성실실패 사례, (4) 성실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연구 결과에서는 특수교사의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실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감을 느끼고 있는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경험을 고찰하고, 성실실패를 벗어나서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성실’을 갖추고 있는 특수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유능하고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gniz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an honorable-failure. 15 teachers were subjected FGI two time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the cases of successes and failures. Collected data of shared experiences and case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4 ultimate themes and 21 sub themes were drawn. The 4 subjects are as followed: (1) individual variables and (2)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successes and failures, (3) the cases of the honorable-failure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efforts to overcome an honorable-failure. In the conclusion, procedures of becoming a good teacher, after overcoming an honorable-failure, were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faithful, but failed teaching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those experiences. In the discussion, supportive measures for a teacher who have a ‘sincerity’ to become a competent and great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field were suggested.

      • KCI등재
      • 밀도기반 혼합 POI추천 시스템

        허유경(Yu-kyung Heo),오주성(Joo-Seong Oh),퍼우델(Prabesh Paudel),타파(Prakash Thapa),전혜지(Hye-Ji Jeon),정민아(Min-A Jeong),이성로(Seong-Ro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5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6

        본 논문은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관심지점 (POI)추천을 위해 밀도기반 혼합 POI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GPS 데이터를 입력받고 머무른 지점(Stay Point)를 계산한 다음 다양한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POI를 추출하는 기존의 자동 POI 추천 연구와 사용자가 지정하여 POI 를 추천하는 지정 POI연구를 혼합한 방법으로 초기 파라미터에 사용자가 지정한 POI를 입력하므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POI를 추천 할 수 있으며 클러 스터링 방법으로 밀도기반 클러스터링인 DBSCAN을 사용하여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요이를 추천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초기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볼륨을 줄여줌으로써 시스템 구현시 사용되는 자원과 시간을 줄일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POI를 추천 할 수 있다.

      • KCI등재

        이동위성업무를 위한 다중빔 위성망 하향링크 간섭조정

        허유진(Yu-jin Heo),이일근(Ill-Keun Rhee),김상암(Sang-Am Kim),박종민(Jong-Min Park),이영훈(Young-Hun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methodology for the interference analysis simulator design of multi-beam satellite system user down-link to provide effectively mobile satellite service in the domestic environment.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an analysis example of co-channel interference influenced to a mobile earth station by base stations for terrestrial mobile service as well as by satellite, with same frequency band as the wanted satellite, serving to mobile earth stations in another cells, using the designed simulator, and proposes a useful co-channel interference coordination scheme for coexistence between mobile satellite service and terrestrial mobile service by way of guard space establishment, frequency reuse, etc.

      • KCI등재

        2014년 동계 북부 동중국해 저층 트롤 및 음향학적 조사에 의한 저서어족생물자원의 분포특성 비교

        허유심 ( Yu Sim Heo ),이형빈 ( Hyung Been Lee ),최정화 ( Jung Hwa Choi ),차형기 ( Hyung Kee Cha ) 한국수산과학회 201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8 No.6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by conducting a trawl survey with hydroacoustic devices. A bottom trawl was used for this survey and fish density was determined from the catch data.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at frequencies of 38 and 200 kHz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4 and converted into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le2). In the catch data analysis, the range of catch per unit area by station was 26-8,055 kg/km2 and for the acoustic data, that of the NASC was 0.45-34.80 m2/n·mile2. The valu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combined results of both surveys found that the density was highest at St. 5 (33° 10.3´, 126° 23.3´) and lowest at St. 8 (33° 20.7´, 127° 36.3´). The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methods offers a new approach for estimating the biomass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