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ㆍ일 ‘발인형연행’의 양상 비교와 그 형성 과정

        허용호(Heo Yong-Ho)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6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unique performance in which puppet is manipulated by the foot in the Korea and Japan. The reason I pay attention to ‘foot puppet performance’ of the Korea and Japan is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 ‘foot puppet performance’, specially Baltal(발탈). Like this intention is materialized by expression of new opinion of Baltal’s formation process. The result which is discussed are as follows. ‘Foot puppet performance’ of the Korea is formed by Park, Chun-jae(박춘재). That is called Baltal. By the way, it seems that the Baltal of Park, Chun-jae i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foot puppet performance’. I presume that the first step of Baltal is a mimicry of ‘foot puppet performance’ in the Saitarna, Japan. I think that Baltal is foot puppet perfomance which is manipulated by one performer at first. After this, it may be developed gradually two performers performance, above two performers performance. In this process, Park, Chun-jae’s abilities of traditional witty talk and song display properly. The result have features which are coexistence of puppet actor and human actor, competition of witty talk. The unique of Batal which undergoing the influence of Japan ‘foot puppet performance’ but it is different, and connects our traditional witty talks but it is discriminated come to make. In addition to Baltal which performed by Park, Chun-jae, ‘foot puppet performance’ of vagabond down troupe also exist. I think that ‘foot puppet performance’ of vagabond clown troupe begin with influence of Park, Chun-jae’s Baltal performance. And it seems that vagabond clown troupe also endeavor to experiment and grope of ‘foot puppet performance’. Countrywide performance activity which is performed by Park, Chun-jae and vagabond down troupe make ‘foot puppet performance’ to be known widely. Guri-Parkchumginori and Wando-Balgwangdaenori which performed by native down are examples. These examples also endeavor to experiment and grope of ‘foot puppet performance’. The result of experiment and grope by Park, Chun-jae, vagabond clown troupe, and native clown, can be arranged ‘play of entertainment context’, ‘movement of mimicry-centered’, and ‘utterance of witty talk form’. The result are unique features which can’t be found in the Japan ‘foot puppet performance’. Especially, voice performance which use actively witty talk and song provide interesting clue on the argument of performance tradition. The argument which is studied in this paper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rgument. These instance are data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Korea ‘foot puppet performa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the Japan ‘foot puppet performance’, aspect arrangement and comparative study of ‘foot puppet performance’ in the Korea and Japan, extensive perspective of Baltal study. Most of all, the biggest difference of this study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y is that I insist on the Japan influence of the Korea ‘foot puppet performance’.

      • KCI등재

        마을굿의 시기와 형식을 기반으로 한 문화지도 그리기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3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마을굿의 양상을 살피고, 마을굿이 벌어지는 시기와 형식을 기준으로 권역 구분과 문화 지형을 추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된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경기 지역의 마을굿 문화 지형은 동심원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중심원에 해당하는 서울 지역은 시월 마을굿 권역과 정월 마을굿 권역이 대치 양상을 보인다. 달리 보면 서울의 정월 마을굿 권역은 문화적 섬으로 자리한다. 시월 마을굿이 서울을 에워싸며 인근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용산 일대의 정월 마을굿 권역이 시월 마을굿 권역과 대치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립된 섬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서울은 무속적 마을굿의 섬이기도 하다. 한강변을 중심으로 무속적 마을굿이 주변과 어떤 관계도 없이 독자적 권역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 사이에는 감히 뛰어넘지 못 할 문화적 장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시월 마을굿은 서울과 경기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문화적 장벽을 넘어선다. 서울 인근의 경기 지역에 시월 마을굿은 드넓게 그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 영향력의 파장은 경기 지역의 동서남북으로 퍼져간다. 하지만 그 영향력의 강도는 동심원의 지름이 커져갈수록 약해진다. 그래서 마침내 시월 마을굿 권역이라 말할 수 없을 정도의 지역이 나타난다. 그 지역은 경기도의 동서남북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경기 지역의 남쪽에서는 시월 마을굿에 맞서 정월 마을굿 권역이 만들어진다. 안성천이 그 권역을 만드는데 일정한 역할을 한다. 안성에서 평택에 이르는 안성천 중상류의 흐름이 정월 마을굿 권역을 만들어 내는 문화적 통로 역할을 톡톡히 한다. 시월 마을굿은 경기 남부의 안성천을 힘 있게 넘어서지 못했다. 적어도 시월 마을굿에 있어서 안성천은 쉽게 넘지 못할 문화적 장애물이다. 시월 마을굿은 경기 지역 동쪽에서도 복병을 만난다. 여주와 이천을 흐르는 남한강 지류인 복하천과 청미천이 그것이다. 이 두 하천은 동진하는 시월 마을굿을 거뜬하게 막아내는 동시에 그 흐름에 따라 정월 마을굿 권역을 만들어낸다. 안성천과 남한강 지류라는 뼈대에 그 유역의 평야라는 살을 기반으로 나름의 영역을 형성한 정월 마을굿은 그 배후 역시 튼튼하다. 인접한 충청도와 강원도의 정월 마을굿의 든든한 지원을 받는 것이다. 경기 북부의 경우 북한강과 임진강이 문화 지형 형성에 나름의 역할을 한다. 산간 지역이라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월 마을굿은 용케 경기 북부 지역까지 그 영향력의 일단을 드러내 보인다. 하지만 파주에서 세력을 만들고 양주에서 경쟁하고, 남양주와 포천에서 대세를 장악하여 가평 설악읍에 그 둥지를 틀고 있는 일단의 구월 마을굿의 분투에는 어쩌지 못한다. 구월 마을굿의 이러한 분투에는 북한강이 자리하고 있다. 북한강의 흐름에 따른다면 가평 설악읍에 그 권역의 핵을 두고 계속 서진하면서 그 영향력을 뻗치고 있는 양상이라 할 수도 있다. 북한강을 문화적 통로로 삼은 구월 마을굿은 남진하면서 양평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정월 마을굿권이 남한강을 따라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해 본다면, 양평군 양서면 두물머리 인근에서 정월 마을굿의 서진과 구월 마을굿의 남진이 접점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임진강이 구월 마을굿의 또 다른 문화적 통로로 작용한다. 포천 지역 북쪽에 위치한 영북면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한 구월 마을굿이 영북면, 창수면, 영중면, 신북면, 포천읍 등으로 이어지는 임진강 상류의 흐름에 따라 그 권역을 만들어 간다. 임진강을 따라 서진하면서 그 권역을 형성한 구월 마을굿은 파주시의 적성면, 탄현면, 파평면 등까지 그 영향력의 일단을 보인다. 이상에서 정리된 경기 서울 지역의 마을굿 권역을 보면, 하천이 특정 마을굿을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천은 특정 마을굿이 나름의 권역을 형성하는데 뼈대 역할을 하는 동시에, 다른 마을굿이 영향력을 끼치는 것을 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꼭 하천만이 마을굿의 권역을 형성하고 정체성을 만드는데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가 주로 하천에만 주목했기 때문에 나타난 상황이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다른 자연 지리적 요소, 역사적 과정, 인문적 정서 등에 대한 검토 역시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는 본 연구와 병행해서 진행되고 있는 관련 분야의 전자지도가 완성될 때, 그 연관성이 어느 정도 드러날 것이라 생각한다. 하천과의 관계 역시 보다 섬세하게 살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Seoul·Gyeonggi Maeul Gut, and then to divide a sphere and to ratiocinate the cultural topography with of the Maeul Gut's performance time and form for a ba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ultural topography of Seoul·Gyeonggi Maeul Gut is represented by means of a concentric circle. The Seoul area where correspond to centric circle stand face to face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and a sphere of October Maeul Gut. In another way,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of the Seoul area is situated cultural island which is isolated. And the Seoul area is a island of shamanic Maeul Gut. A shamanic Maeul Gut build up a independent sphere on the Han river side. It seems that a cultural barrier is between the Seoul and Gyeonggi. But an October Maeul Gut beyonds the cultural barrier which is between the Seoul and Gyeonggi. An October Maeul Gut has influence widely on the Gyeonggi area of nearby the Seoul The influence spreads over the four quarters of the Gyeonggi area. But the strength of influence get weaker as the diameter of centric circle grow bigger. And then the area which can not speak of a sphere of October Maeul Gut come out. The area is situated at the four quarters' border of the Gyeonggi area. Against an October Maeul Gut,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is formed at the south of Gyeonggi area. Anseong stream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the sphere is formed. To say the least Anseong stream is a cultural barrier from an October Maeul Gut standpoint. An October Maeul Gut fall into an ambush at the eastward of Gyeonggi area. They are that Bokha stream and Chungmi stream which are tributaries of the Namhan river. Two streams protect from an october Maeul Gut which advance to the east, on the other hand two streams form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run along flowing. The Bukhan river and the Imjin river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a formation of cultural topography at the north of Gyeonggi area. A september Maeul Gut influence along the flowing of the Bukhan river. A september Maeul Gut which makes the Bukhan river a cultural passageway influences as progress to the south. the Imjin river is another cultural passageway at the north of Gyeonggi area. As progress to the west along the upper stream of the Imjin river, a sphere of a September Maeul Gut is formed in the neighboring area. As we have seen, river and stream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Maeul Gut. River and stream play a framework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Maeul Gut, on the other hand river and stream protect from other Maeul Gut's influence. But only river and stream don't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Maeul Gut. It is necessary to study of other factors in Physical geography, historical process, human mood and so on.

      • KCI등재
      • KCI등재

        전자문화지도 연구에서 민속 테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

        허용호(Heo Yong-ho) 비교민속학회 2006 비교민속학 Vol.0 No.31

        The main point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s, for a grasp of diversified culture, a design of three dimensional structure of timeㆍspaceㆍsubject, security of all sorts of media data as research resources, then investigate three dimensional interpretation. In this aim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 study a reason of attention of folk field, limits of folk data, practice of folk database construction, an application aspect of constructed folk database. A study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s not merely construction of database. Construction of database is just the start, on the base of constructed database atlas of diverse subject is drawn, through internet constructed database and electronic atlas are held in common, and through an active application of constructed database and embodied electronic atlas diverse study is connected. In this paper, I refer to a possibility of this result of a series of process, and there is quite a possibility. Specially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study that is climax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study deserves to attention on the pursuit of dimensional thought and interpretation. It is expected that dimensional and positive evidence of established discussion is presented, or considered a established discussion from a different standpoint.

      • KCI등재

        부양의무자 기준 변천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을 적용하여

        허용창 ( Heo Yong-ch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4

        본 연구는 부양의무자 기준의 변천 경로와 특성을 역사적 제도주의, 그 중에서도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특히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의 분석틀을 채용하여 부양의무자 기준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맥락과 제도 자체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의 사례가 이론에서 제시한 제도 변화 중에서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정치적 맥락 측면에서는 생활보호법이 시행된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부양의무자 기준이 포함된 공공부조를 도입하여 운영한 주체는 대통령을 정점으로 하는 행정부였다. 경제위기가 발생한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시민단체와 민간전문가 집단이 주축이 되어 기존의 생활보호법을 폐지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제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부양의무자 기준은 시민사회 세력이 강력하게 폐지를 주장했으나, 시행령 제정단계에서 폐지에 반대하는 기획예산처의 입장이 관철되어 오히려 기준이 구체화되고 강화되었다. 표적제도의 특성 측면에서는 1983년 개정 법률에서 부양의무자의 범위를 생활보호법에서 직접 규정하지 않고 민법의 규정을 준용한 점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 재산을 포함한 자산조사만으로 부양능력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을 시행령에 규정한 점이 각각 부양의무 범위와 성격에 대한 해석과 행정청이 행사하는 재량권의 정도에 영향을 미쳐 부양의무자 기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부양의무자 기준의 사례는 제도 변화 유형 중에서 제도 도입 초기에는 표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이후에는 층화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ath of family obligation rules in Korean public assistance by adopting the theory of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Adopt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enables u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olitical context and the targeted institution and to classify the case of family obligation rules in Korean public assistance into a specific ideal type posed by the theory. The findings from the study reveal key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context and the targeted institution. In terms of political context, public assistance scheme was introduced by authoritarian governments at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in order to stabilize their political regimes. Although the scheme was considerably reforme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the rules were not abolished and even partially reinforced at the level of enforcement ordinance. In terms of the targeted institution, two features affect how the family obligation rules were interpreted and whether administrative authorities can exercise discretion when they applied the rules to public assistance. The first one was that the key element of who are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ir family was not specified in the 1983 Public Assistance Act. The other one was that the rules were even reinforced by bringing in new elements when the 2000 Public Assistance Act was significantly amended.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ase of family obligation rules in Korean public assistance scheme can be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both drifts and layerings depending on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for decad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감염병 보도 지침에 따른 에볼라 바이러스 언론보도 내용분석:국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허용강(Heo, Yong-Kang),차수연(Cha, Soo-Yeon),서필교(Seo, Phil-Kyo),김소영(Kim, So-Young),백혜진(Paek, Hye-Ji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공중 보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건강위험 이슈에 대해 국내 주요언론들이 언론 보도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2014년에 공중 보건 영역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 ‘에볼라 바이러스’를 주제로, 보건 및 헬스 분야의 전문 학 술단체인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와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단이 협업하여 수립한 ‘감염병 보도 준칙’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을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는 바이러스의 ‘유행’과 관련된 정보가 ‘위험의 크기’ 혹은 ‘위험의 정도’ 와 관련된 기사보다 많았고,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특성’ 및 ‘감염병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이 실제 뉴스에서 잘 적용 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보도 지침의 중요성과 더불어 지침을 준수하는 것의 중요성을 촉구하는데 있어 경험적 증거로 사용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Media play a crucial role in informing the public abou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its health risk. Thus, Korea Health Communication Association and press corps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orked together to establish the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guidelines, guided by and benchmarking World Health Organization(WHO)'s Outbreak Communication Guideline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xtent to which media comply to such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mainstream newspapers repor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mply to the guidelines in the context of Ebola Virus. A content analysis of 213 major newspaper reports indicated that reports cover individual incidents of virus infection more than the degree and magnitude of risk of Ebola Virus. The frequency of reports covering disease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Ebola Virus was not common. Accuracy of information on the Ebola outbreak and preventive guidelines for the public has much room for improvement. This study provides a first step to document evidence on how much media comply to the outbreak communication and reporting guidelines. The results can be used to urge the media to take more responsible reporting practices in such contexts of life-threatening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