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절식이 흰쥐 대뇌겉질의 Nitric Oxide Synthase 발현에 미치는 영향

        피영호(Young Hao Pi),허영범(Young Buhm Huh),강경란(Kyoung Lan Kang),장인석(In Surk Jang),조정식(Jung Sik Cho),김정혜(Jung Hye Kim),유진화(Jin Hwa Yoo),안희경(Hee Kyung Ahn)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4

        흰쥐에게 자유급여량의 50%로 줄인 절식을 시행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대뇌겉질의 nitric oxide synthase (NOS) 신경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Neuronal NOS (nNOS)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NADPH-diaphorase (NADPH-d) 조직화학을 시행하고, inducible NOS (iNOS) 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하여 iNOS의 발현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절식후 3일군에서는 iNOS에 염색되는 신경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절식 1주군에서는 동종겉질에서 많은 iNOS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일차운동감각겉질, 이차운동감각겉질, 청각겉질 및 시각겉질에서 특히 많이 유도되었다. 이종겉질의 1주군에서는 팽대뒤겉질에서 iNOS 신경세포가 관찰되었고 다른 영역에서는 발현된 iNOS가 관찰되지 않았다. 4 주군 에서는 후각뇌바깥겉질과 후각뇌주위겉질에서 적은 수의 iNOS 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9주군에서는 팽대뒤겉질에서만 iNOS 신경세포가 관찰되었고 다른 대뇌겉질에서는 발현된 iNOS 신경세포들은 관찰 할 수 없었다. NADPH-d 조직화학을 시행한 결과 NADPH-d 신경세포는 iNOS와 공존하지 않았다. NADPH-d 신경세포에 대해 densitometry로 염색성을 측정한 결과 절식후 3일군에서는 대조군보다 감소된 염색성을 보였으나 1주군에서는 다시 증가한 결과를 보였고 9주군에서는 대조군보다도 많이 감소된 염색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절식후 대뇌겉질에서 nNOS의 효소활성이 변화하며, 대뇌겉질의 특정부위에서 iNOS가 신경세포에서 유도되고, 유도된 iNOS는 NOS 효소활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뇌에서 NO는 NOS에 의해 생성되며 혈관확장과 신경전달에 관여한다. 따라서 절식후에 유도되는 iNOS 신경세포와 NADPH-d 효소활성 증가는 절식후 대뇌겉질의 신경활성작용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Nitric oxide is synthesized by cells containing the nitric oxide synthase (NOS), and NADPH-diaphorase (NADPH-d) is a selective histochemical marker for the NOS in the brain. The influence of feeding rats only half the amount of their normal daily intake of a purified diet on NOS was measured in the cerebral cortex by immunohistochemistry and NADPH-d histochemistry. iNOS was not detected in the cerebral cortex of control group. iNOS-positive neurons were induced in the cerebral cortex at 1 week after food restriction and found in specific cortical areas, such as primary motor cortex, secondary motor cortex,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secondary somatosensory cortex, parietal association cortex, auditory cortex, visual cortex, temporal association cortex and retrosplenial cortex. At 2 weeks after food restriction, iNOSpositive neurons were not found in all cortical areas. At 4 weeks after food restriction, iNOS-positive neurons were found in ectorhinal cortex and perirhinal cortex. In samples obtained 3 days after food restriction, the staining intensity of NADPH-d-positive neurons was decreased in most cortrical reg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1 week after food restriction, the staining intensity of NADPH-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socortical reg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9 weeks after food restriction, the staining intensity of NADPH-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ortical regions. NO, a free radical synthesized in the brain by NOS, is a messenger molecule that mediates vascular dilatation and neural transmission. Therefore, neurons showing induced iNOS-positivity and upregulated NADPH-dpositive neurons may affect the neuronal activity in the cerebral cortex after food restriction.

      • KCI등재

        생쥐 대뇌겉질의 Neuropeptide Y와 NADPH-diaphorase 신경세포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김영수(Young-Soo Kim),허영범(Young-Buhm Huh),안희경(Hee-Kyung Ah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1 No.1

        생쥐의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NADPH-d 신경세포의 NPY 공존성과 공존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창 하고자 NPY 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과 NADPH-d 에 대한 조직화학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ICR 계 생쥐의 대뇌겉질에서 NPY 단일 엽색된 신경세포는 30주령군이 5 주령군에 비해 일차운동경질, 이차제성강 각겉질, 청각경정 벚 시각경질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고, 이곁질 영역중 후각뇌바깥곁질을 제외한 영역인 뇌섬겉질 팽대뒤곁질과 후각뇌주위겉질에서는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 NADPH-d 와 공존하는 NPY 신경세포의 수는 30 주경군이 5 주경군에 비해 뇌성경정에서는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고, 후각뇌주위곁질에서는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C57BI/6 제 생쥐에서 NPY 에 단일염색된 신경세포의 수는 5 주령군에 비해 30주령군의 일차제성감각곁정과 이차제 성감각걸질에서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팽대뒤겉질과 시각겉질에서는 유의성있는 강소를 보였다. NADPH-d 와 공존하는 NPY 신경세포의 수는 일차운동영역과 청각영역에서 30주령군이 5 주령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고, 나머지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성숙과정의 생쥐 대뇌경정에서 NPY 신경세포와 NADPH-d 공존성 NPY 신경세포는 대뇌겉질 부위에 따 라 각각 다른 변화를 하여 생쥐의 계통에 따라서도 생숙에 따른 변화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경련이 흰쥐 뇌의 칼슘결합단백질과 NADPH-Diaphorase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신선영(Sun-Young Shin),허영범(Young-Buhm Huh),강경란(Kyoung-Lan Kang),박찬(Chan Park),강민정(Min-Jeong Kang),이재룡(Jae-Ryong Lee),김정혜(Jung-Hye Kim),유진화(Jin-Hwa Yoo),안희경(Hee-Kyung Ah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1

        간추림 흰쥐에게 Kainate (KA)를 투여하여 경련을 유발한 후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NADPH-d 와 calbindin D28k 및 parvalbumin 양성 신경세포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NADPH-d 조직화학과 calbindin D28k 및 parvalbumin 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하였다. 염색된 신경세포에 대해서는 microdensitometry 로 염색성을 측정하였다. NADPH-d 양성 신경세포의 염색성은 경련 후 6시간군과 3일문에서는 많이 증가된 양상을 보이다. 5영문과 10일군에서는 다시 대조군과 비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에서는 경련 후 5 일군에서 가장 증가된 염색성을 보였다. 칼슘결합단백질인 calbindin D28k 와 parvalbumin 양성 신경세포는 대뇌겉질과 해마, 꼬리조가비핵에서 증가되는 시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련 후에 calbindin D28k 나 parvalbumin 같은 칼슘결합단백질의 양은 뇌의 영역별로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하지만 그에 따른 CaH 변화가 nNOS 의 효소활성 작용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련 후의 nNOS 의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NADPH-d 의 염색성 변화는 칼슘결합단백질에 의해 조정되지 않고 다른 활성화 기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노화된 흰쥐의 뇌줄기에 분포하는 NADPH-Diaphorase 및 Neuropeptide Y양성 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김순희,장환일,허영범,안희경,Kim, Soon-Hee,Chang, Hwan-Il,Huh, Young-Buhm,Ahn, Hee-Kyu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6 생물정신의학 Vol.3 No.2

        This study was aimed to charily the change of NADPH-diaphorase(NADPH-d) and neuropeptide Y(NPY) associated with aging of the rots. To verily the effect of aging of NPY and NADPH-d-positive neurons in the brain stem, the neurons were stained by the immunohistochemical and histochemical method. In the aged group, the number of NADPH-d-positive neuro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bstantia nigra lateralis, supragenual nucleus, raphe magnus nucleus and raphe obscurus nucleu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number of NADPH-d-positive neurons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perior colliculus, interpeduncular nucleus, central gray. dorsal raphe nucleus, retrorubral nucleus, pedunculopontine tegmental nucleus, laterodorsal tegmental nucleus, pontine reticular nucleus, prepositus hypoglossal nucleus and nucleus solitarius of the aged rats. The NADPH-d and NPY-positive neurons were found in the interpeduncular nucleus, central gray, substantia nigra lateralis, laterodorsal tegmental nucleus, nucleus solitarius, raphe magnus nucleus, raphe obscurus nucleus of the control and aged groups. The coexistence of NADPH-d and NPY in the some cell was not found in the brain stem of both groups.

      • KCI등재후보

        경련이 흰쥐 대뇌겉질의 NADPH-diaphorase와 Calbindin D28k 양성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차성재(Seong Jae Cha),허영범(Young Buhm Huh),박 찬, 이원규(Won Kyu Lee),김정혜(Jung Hye Kim),유진화(Jin Hwa Yoo),안희경(Hee Kyung Ahn)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6

        Kainic acid (KA)를 흰쥐에게 투여하여 경련을 유발한 후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NADPH-d와 calbindin D28k 신경세포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NADPH-d 조직화학과 calbindin D28k 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하였다. 또한 nNOS와 calbindin D28k mRNA의 양적인 변화를 확인하고자 RT-PCR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뇌겉질에서 constitutive NADPH-d 신경세포의 염색강도를 영상분석기의 microdensitometry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NADPH-d의 염색성은 대조군에 비해 KA를 투여한 전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증가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특 히 KA 투여 1일과 3일군에서 강한 염색성을 보였고 그후 6일과 12일군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라 염색성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Calbindin D28k의 면역염색성을 측정한 결과는 NADPH-d 신경세포의 측정결과와 비슷하였다. KA 투여군에서는 대 조군에 없는 새로 발현된 NADPH-d 세포들이 관찰되며, 특히 운동겉질, 몸통감각겉질, 섬겉질, 청각겉질, 시각겉질, 후각뇌바깥겉질과 후각뇌주위겉질에 밀집되어 분포하였다. Calbindin D28k 신경세포들중에 새로 발현된 세포들이 KA 투여군 1일과 3일군의 운동영역과 몸통감각영역에서 관찰되었 다. 6일과 12일군에서는 대뇌겉질 전 영역에서 새로 발현된 calbindin D28k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NADPH-d와 calbindin D28k의 이중염색결과 새로 발현된 NADPH-d 신경세포들이 밀집된 부분에서는 calbindin D28k 신경세포의 수가 대조군에 비해 적은 양상이었다. 대뇌겉질에서 nNOS mRNA는 KA 투여군에서 증가된 양상이었으나 calbindin D28k mRNA는 1일군에서는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른 군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NOS와 calbindin D28k가 각각 다른 신경세포의 발현변화와 mRNA의 변화를 보여 물질에 따라서 KA에 의한 영향을 받는 기전이 다를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새로 발현된 NADPH-d 및 calbindin D28k 신경세포와 염색성이 증가된 NADPH-d 신경세포는 경련 후의 대뇌혈류조절과 신경활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었다. Administration of kainate (KA) results in the induction of epileptiform activity and limbic motor seizures. Nitric oxide (NO) is a gaseous messenger that plays a role in neural transmission, long term potentiation, depression and cerebral blood flow. NO is formed by NO synthase (NOS) from arginine. NO mediates the increase in cerebral blood flow during seizure activity. However, the production site of NO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Recent report showed that constitutive NOS may be induced under certain condi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NOS and calbindin D28k in the rat cerebral cortex following seizure. Rats were injected with KA and killed at 6 hours, 1, 3, 6 and 12 days after seizure. Expressional change of nNOS and calbindin D28k was assessed by histochemistry, immunohistochemistry and RT-PCR in the rat brain. Induced NADPH-d positive neurons were observed in the cerebral cortex of 1, 3, 6 and 12 days after seizure and found in specific cortical areas, such as motor cortex, somatosensory cortex, auditory cortex, visual cortex, ectorhinal cortex and perirhinal cortex. The level of nNOS mRNA increased at 1, 3, 6 and 12 days after seizu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duced calbindin D28k positive neurons were observed in motor cortex and somatosensory cortex 1 and 3 days after seizure. The level of calbindin D28k mRNA in the cerebral cortex was slightly decreased at 1 day after seizu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duced NADPH-d, calbindin D28k positive neurons and upregulated NADPH-d positive neurons may influence the cerebral blood flow and neuronal activity in the cerebral cortex during post-seizure period.

      • KCI등재

        노화에 따른 흰쥐 대뇌겉질내 Nitric Oxide Synthase와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의 발현 변화

        윤서구(Seo Gue Yoon),허영범(Young Buhm Huh),안희경(Hee Kyung Ah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2 No.2

        노화된 흰쥐의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nitric oxide synthase (NOS) 신경세포와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VIP) 신경세포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NADPH -d 조직화학과 VIP 연역조직화학 , NOS 와 VIP mRNA 에 대한 RT-PCR 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뇌겉질에서 NADPH -d 신경세포의 수는 노화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 VIP 신경세포는 노화에 따라 대뇌겉질의 대부분 영역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NADPH -d 조직화학법과 VIP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이중염색한 결과 노화군과 대조군의 대뇌겉질에서 NADPH-d 와 VIP 는 동일한 신경세포내에서 공존하는 것이 없었다. VIP 와 NADPH -d 신경세포의 신경돌기는 노화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불규칙한 것이 많이 관찰되었다. 영상 분석기를 사용하여 신경세포체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NADPH-d 신경세포의 크기는 노화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VIP 신경세포체의 크기는 노화군이 대조군에 비해 대뇌겉질의 전 영역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NOS mRNA 에 대한 RT-PCR 경과 nNOS 와 eNOS mRNA 는 노화군과 대조 군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iNOS mRNA 는 감소되는 양상이었다. VIP mRNA 는 우 군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노화 흰쥐의 대뇌겉질에서 VIP 신경세포의 위축과 수 감소가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를 보면 노화과정에 따라 NOS 신경세포보다 VIP 신경세포가 더 많은 변화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착상기 동안에 정상 여성과 불임환자의 자궁내막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의 발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송인옥 ( In Ok Song ),김진영 ( Jin Young Kim ),양광문 ( Kwang Moon Yang ),유근재 ( Keun Jai Yoo ),궁미경 ( Mi Kyoung Koong ),강인수 ( Inn Soo Kang ),김계현 ( Kye Hyun Kim ),허영범 ( Young Buhm Hu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2

        목적 : 착상기 동안에 불임환자의 자궁내막 조직에서 TGF-β1이 발현되는지를 살펴보고, 정상여성과 비교하여 발현 양상 및 그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불임 환자 15예 (원인불명으로 진단된 환자 5예, 복강경 검사에서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5예, 난관수종이 있는 난관불임 환자 5예)와 정상 여성군 (대조군) 10예를 대상으로 착상기에 자궁내막 조직 생검을 하여 얻은 조직으로 TGF- β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였다. Objective : TGF-β1 is a polypeptide which stimulates the growth of some mesenchymal cell types and inhibits the growth of epithelial cell type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TGF- β1 is present in the endometrial tissue and it is also involved in a v

      • KCI등재

        가령에 따른 C57BL/6계 마우스의 가슴샘, 지라, 림프절내 Macl 양성세포의 분포변화

        이창욱(Chang-Wook Lee),이원규(Won-Kyu Lee),허영범(Young-Buhm Huh),안희경(Hee-Kyung Ah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2 No.2

        가슴생과 지라, 오금림프절에서 Macl 양성세포를 관찰하여 가령에 따른 큰포식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알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후 1,4,8,12,40 주령의 C57BL/6 계 마우스의 가슴샘, 비장, 림프절을 적출하여 Mac1 단크론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가슴샘에서 생후 1 주군의 Mac1 양성세포는 발달이 미약하였으나 생후 4 주군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생후 40주군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겉질속질연접부위의 혈관주변으로 이동하였다. 2. 지라에서의 생후 I 주군의 Macl 양성세포는 적색속질에만 분포하고 있었고 가장자리구역에는 생후 4 주부터 출현하였다. Mac1 양성세포는 생후 40 주문에서는 가장자리구역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3 오금림프절에서는 생후 4 주군부터 소절밑영역에서 Mac1 양성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후 40 주군에서는 소절밑영역에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가령에 따라,Mac1 양성을 보이는 큰포식세포는 가슴샘, 지라, 림프절 모두에서 감소가 초래되었으며, 큰포식세포의 분포를 관찰한 결과 낮은 연령이나 노령의 면역기능저하는 특정적으로 항원제공기능을 하는 부위에 따른 큰포식세포 수의 부족 또는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경련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Nitric Oxide Synthase와 erbB4의 발현 변화

        박 찬(Chan Park),이재룡(Jae-Ryong Lee),김정혜(Jung-Hye Kim),유진화(Jin-Hwa Yoo),안희경(Hee-Kyung Ahn),허영범(Young-Buhm Huh)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6

        지금까지 연구에서 경련 유발에 의해 해마 (hippocampus)에 존재하는 nitric oxide synthase (NOS) 양성 신경세포의 소실이 일어나고 있음이 알려졌다. 이는 해마가 경련에 대해 반응하여 신경세포의 성장 및 사멸이 조절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세포의 성장과 사멸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성장인자에 의해서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Polypeptide growth factor는 성장한 뇌의 대뇌와 해마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성장 조절인자인 neuregulin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신경세포, 말이집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s), 그리고 근육세포에서 분비되어 세포의 증식, 분화 그리고 이동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경련에 따른 해마의 NOS 양성신경세포의 변화를 해마의 각 부위별로 관찰하고 신경성장 조절인자의 수용체인 erbB4의 발현변화와 NOS신경세포와의 공존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kainic acid (KA)를 흰쥐에게 투여하여 경련을 유발한 다음 6시간, 1일, 3일, 6일 경과 후에 해마에 분포하는 NOS와 erbB4 발현세포의 변화를 NADPH-diaphorase (NADPH-d) 조직화학과 면역조직화학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각 물질의 mRNA발현 변화를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neuronal NOS(nNOS) 양성 신경세포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영상분석기의 densitometry로 NADPH-d 신경세포의 수와 염색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해마에서 NADPH-d 신경세포의 염색강도를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NADPH-d의 염색성은 대조군에 비해 KA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특히 KA투여 1일과 3일군에서 강한 염색성을 보였고 그후 6일군에서는 염색성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의 부위에 따른 NADPH-d 신경세포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KA 투여 후 3일군에서 CA1부위의 NADPH-d 신경세포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치아이랑 (dentate gyrus)에서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erbB4의 염색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증가하였다. 특히 KA투여 후 3일군에서 강한 염색성을 보였다. 또한 해마의 CA1부위에서는 erb4와 NADPH-d가 공존하는 세포가 많이 관찰되었으나 치아이랑에서는 NADPH-d만 염색된 세포가 많이 존재 하였다. 해마에서 nNOS와 erbB4의 mRNA양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nNOS mRNA가 대조군에 비해 KA투여 후 1일군에서 증가하였으며, erbB4 mRNA는 3일군에서부터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KA에 의해 유발된 경련에 의해 NOS 양성 신경세포가 해마의 부위에 따라 다른 변화를 보이며 이러한 변화 이후에 일어나 는 신경성장 조절인자 수용체인 erbB4의 발현증가는 경련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실을 복구하기위한 기전으로 생각된다. Nitric oxide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modulator of the epileptic seizure respons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nitric oxide synthase (NOS) expressed in glial cells and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the brain following seizures, while less data have been available reading the change of neuronal NOS (nNOS) produced in neurons. Polypeptide growth factors play a central role in a variety of environmentally induce structural changes in the cortex and hippocampus of adult brain. neuregulin is widely expressed in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e cells and Schwann cells, glia, oligodendrocytes and muscle cells, to control cellular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erbB family are the receptors of the neuregulin and consist of erbB2, erbB3 and erbB4. We have, therefore,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of nNOS and erbB4 in the rat hippocampus, one of the brain structures most vulnerable to seizures. Rats were injected with kainic acid (KA) and sacrificed 6 h, 1 d, 3 d and 6 d after KA administration. The expression pattern of nNOS and erbB4 was studi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NADPH-diaphorase (NADPH-d) histochemistry and immunohistochemistry.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nNOS reached maximal values in samples obtained 1 d after KA treatment. The optical densities of NADPH-d-positive neurons in the CA1 and dentate gyrus (DG) regions of the hippocampus were shown to have increased in samples obtained 1 d and 3 d after injection of KA. The number of NADPH-d-positive neurons in the CA1 regions of the hippocampus was shown to have decreased in samples obtained 3 d and 6 d after injection of KA. However, the number of NADPH-d-positive neurons in the DG reg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e show that erbB4 immunoreactivity is increased in hippocampus, reaching maximal levels 3 d after KA treatment, some NOS neurons contain erbB4 protein. We propose that the survival of NOS neuron in the hippocampus after injection of KA is associated with expression of erbB4, neuregulin recep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