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제국에의 초대 - 근대 일본 만화저널리즘을 통해 본 한일관계, 1876~1910 -

        한정선(Han Jung-Su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4 亞細亞硏究 Vol.47 No.4

        This essa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modem Japanese cartoon journalism with a special focus on its construction of Japan-Korea relations. Methodologically, it analyzes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cartoons within the contex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merging mass society. While tracing how the cartoons became commercial goods through mechanical reproduction, this essay explores the process in which particular perspectives and ideas on Korea were formed. By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 argue, Japanese cartoon journalism made an artistic discovery in which equivalence between imperialist relations and everyday business was created. In doing so, the Japanese political cartoons attempted to familiarize and naturalize imperial matters for ordinary readers. Inviting the populace to the national project of building overseas empire, Japanese cartoon journalism transformed imperial matters into commercial goods.

      • KCI등재

        일본 “전후 민주주의”의 형성과 변형 : 전쟁유적 보존 운동을 중심으로

        한정선(Han, Jung-Sun)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7 No.-

        1945년 8월부터 시작하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된 1952년 4월 28일까지를 공식적으로는 연합국의 일본 점령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또한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점령에 대한 기본 정책을 정하고 점령기간 동안 일본에 관한 모든 문제에 명령권을 가진 것은 미국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지배적 위치는 공공연한 것이었기 때문에 미군의 지위 또한 독보적인 것이었다. 때문에 아시아태평양전쟁 후 미군도 점령지 특히 패전으로 인해 점령을 당하는 일본 각지에서 일본인에게 불법행위를 자행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그러나 진주군에 대한 일본의 공식적인 여론은 점령군으로서 민주적인 점령정책을 실시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이 민주의 이름을 달고 시작한 대일점령은 많은 시행착오와 모순을 만들었다. 그 가운데 이제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이 미군의 불법행위이다. 특히 가장 심각한 불법행위는 미군의 성폭력 범죄였으며, 점점 급증하는 성폭력 사건 때문에 일본은 스스로 연합군 병사관계 사고방지 대책을 강구해야만 했다. 본고는 아시아태평양전쟁 이후 미군의 성범죄행위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일본의 대응 양상을 밝히고 있다. 점령군 위안소는 일본 정부는 점령 후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미군의 일본여성 성폭력범죄 예방대책으로 고안한 방안이었다. 미국은 늘어가는 미군의 성병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여 환영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일본인 여성에 대한 멸시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판판’에서 ‘아메조’나 ‘옐로캡’이라는 용어로 바뀌었을 뿐 현재까지도 멸시적인 이미지는 연속성을 띠고 있다. 이는 아시아태평양전쟁 이후 점령 체제의 연속선상에서 유지되어온 미군 주둔 체제가 동북아에 남긴 어두운 그림자이자, 전쟁 처리와 식민지 청산을 제대로 이루어내지 못한 동북아의 아픈 역사일 것이다. The period from August 1945 to April 28, 1952, whe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goes into effect, is officially called the Allied occupation of Japan. However, this is also not an accurate representation. This is because the United States was the one who set the basic policy for the occupation from beginning to end and had the command over all matters related to Japan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Since the US dominant position over Japan was overt, the US position was also unique. For this reason, after the Asia-Pacific War, the US military also frequently committed illegal acts against Japanese in occupied territories, especially in various parts of Japan. However, Japan s official opinion on the Allied Forces is mainly based on the evaluation that it implemented a democratic occupation policy as an occupation force. The occupation of Japan, which started under the name of democracy, caused many trials and errors and contradictions. Among them, the part that has not been paid attention to is the illegal activity of the US military. In particular, the most serious illegal act was sexual violence by the US military,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sexual violence forced Japan to devise measures to prevent sexual violence incidents on its own. This paper reveals the sexual crimes of the US military and Japan s response after the Asia-Pacific War. The Recreation and Amusement Association were devi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a measure to prevent sexual violence against Japanese women by the US military, which became a social problem after the occupation. The United States welcomed it as it thought it w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growing number of U.S. military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in the process, a derogatory image of Japanese women was formed. The image has been changed from ‘panpan’ to ‘amezo’ or ‘yellow cap’, but the derogatory image has continued to this day. This is the dark shadow left by the US military presence in Northeast Asia, which has been maintained in the continuum of the occupation regime since the Asia-Pacific War. And it must be a painful history of Northeast Asia that failed to properly deal with the war and liquidate the colonies.

      • KCI등재

        日本文,學日本學 : 江戶川亂步「白晝夢」の映畵性

        한정선 ( Jung Sun Ha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日語日文學硏究 Vol.75 No.2

        本稿は、比較技術論的な觀点から江戶川亂步の初期作品の特性を考察するものである。そのため、江戶川亂步の初期作品中「白晝夢」を分析對象として、文字テクストの內部に映畵というメディアがいかに受容されていたかを追求する。本論文の主な目的は、今まで見過ごされてきた「亂步と映畵」の關係性に焦点を當てて、亂步文學の豊かさを證明することである。そもそも大正期から昭和初期の文壇では、谷崎潤一郞、菊池寬、川端康成、橫光利一ばど、映畵と直接關わりをもった作家が多數存在する。また、昭和初期にシネ·ポエムという新たな詩の形式が登場したのは、當時、映畵というメディアが文學者の創作活動において、いかに重要な參照項として意識されたかを、何より物語っている。このような映畵に觸發された文學表現は、1920-30年代の文學を特徵づける重要な論点として指摘され、とりわけ谷崎潤一郞と新感覺派作家たちを中心に、硏究が蓄積されてきた。だが、同時代文學者たちと映畵についての硏究が活發に行われてきたのに比べて、亂步と映畵についての硏究はきわめて限られた硏究しか行われてこなかったのが實狀である。<亂步と映畵>との關わりといえば、まず思い浮かぶのは、小說作品の映畵化であろう。亂步の場合は、本格的に映畵化がされはじめた終戰直後から現在に至るまで40本を超える映畵作品が製作されている。このような現像は、彼の小說作品のなかに映畵的要素が含まれていることを確かに證している。しかし亂步の場合、<文學>と<映畵>の關係について、小說の映畵化については從來認識されてきたが、亂步の小說自體に內在している映畵からの影響については充分に論じられてこなかった。本稿では、亂步がいかなる經路で映畵というメディアに接し、それがその後の小說創作にどのような影響を與えたのか-つまり<映畵>から<文學>への影響に重点を置く。

      • KCI등재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적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조명

        한정선(Jung-Sun Han) 한국현상학회 200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0 No.-

        십자가의 성 요한은 자신의 수도생활에서 체험한 영적 체험에 대해서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 체험들은 초자연적인 방식으로 얻어지는 지식들, 비견, 계시, 영(靈)의 말이 주어지는 것, 영적 느낌, 신을 관상하는 것 등등이다. 성 요한이 보고하는 영적 체험은 종교적인 지향적 체험의 특성, 지향적 대상이 현상되는 방식, 신 체험(Gotteserlebnis), 체험자의 의식 상태, 체험자와 대상의 지향적 관계, 영적 체험의 본질적 사태와 특성들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필자는 현상학적인 방법과 틀을 가지고 성 요한이 보고하는 영적 체험이 일어나고 있는 체험 자체로 가서 현상을 기술하고, 본질적인 사태들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라이나하(A. Reinach)가 미완성으로 남긴 종교현상학적 파편 속에 들어있는 생각들을 발전시키면서 필자의 입장을 취한다. 영적 체험은 자연적인 감각지각이나 이와 관련된 명증성으로 환원될 필요없이 그 나름대로의 “실제로(real)” 일어나고 있으면서도, 자연적인 시공간의 세계의 차원과는 다른 “실제(real)”의 특성을 보여준다. 영적 체험의 사태가 보여주는 본질적 특성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영적 체험은 초자연적 영적 존재들이 개업하고 있으며, 그들이 초자연적인 종교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신령한 원천이라는 효력주장(Anspruch)을 제기하고 있다. 영적 체험은 체험자에게 무엇이 초자연적 방식으로 현상되고, 영적으로 인식되고 느껴진다는 효력주장(Anspruch)을 하고 있다. 영적 체험의 사태는 유한한 시공가느이 세계와 초자연적이고 영적인 세계, 인간과 영적인 존재들을 연결시켜주는 다리의 역할을 한다.

      • KCI우수등재

        [일본근현대] 역사와 기억 사이에서, 전쟁과 평화 사이에서

        한정선(HAN, Jung-Sun) 역사학회 2020 역사학보 Vol.0 No.247

        This paper is an historiographical review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Japanese studies in the Korean academia during the last two years. It reconstructs the researches on imperial governmentality, brokers of empire, the Japanese in colonial Korea, the Koreans in imperial Japan, the reinvention of tradition, modernity, gender, and the new middle class appeared between metropole and colony. On postwar Japan, it introduces the studies on the tension between history and memory in recalling the 150th year of Meiji Restoration, the 100th year of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postwar Japanese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전쟁기 재일조선인의 기억과 재현 -『조선평론(朝鮮評論)』 수록 전화황(全和凰) 작품을 중심으로-

        한정선(Han, Jung-Sun) 한일민족문제학회 2019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7 No.-

        本稿は、これまでの全和凰研究で看過されてきた朝鮮戦争期の詩画作品に注 目したものである。在日朝鮮人画家の全和凰の生涯と芸術に関しては、最近在 日美術分野の研究が蓄積され、研究成果が出始めたが、議論の対象が、主に 美術作品だけに限られていて、彼が朝鮮戦争期の在日朝鮮人雑誌に掲載した 詩画は正当な評価を受けられなかった。彼は1951年第6回行動美術展に出品した <群像>が行動美術賞を受賞し、日本画壇に名を刻印させた在日朝鮮人画家とし て注目を浴びた。このような点が浮上し、相対的に彼が在日朝鮮人団体とどのよ うに連携していたのかについては、研究が行われていなかったのが事実である。 したがって、この論文では、全和凰が在日朝鮮人団体とどのような体験的共 感および集団的表明を共有する一方、特にどのような点に着目していたのかを 明らかにしようとする。これを通して、在日朝鮮人芸術家の全和凰の行跡を整 理し、彼の業績を立体的に評価することを目指した。具体的には全和凰が朝 鮮戦争期、在日朝鮮人雑誌ꡔ朝鮮評論ꡕに発表した5編の詩画作品と表紙、 挿絵を中心にして、彼が朝鮮戦争をどう見ていたかを明らかにし、これまで議論 されなかった朝鮮戦争期の活動を復元した。本論文では、これまで制限的に行 われていた全和凰研究を補完し、朝鮮戦争期の在日朝鮮人芸術家の活動を 改めて見直そうとした。 This paper sheds light on poetry and paintings during the Korean War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research on Chun Hwa Hwang. Although research outputs have been made with the recent accumulation of research Zainichi’ art regarding the life and artworks of Chun Hwa Hwang, the first generation Zainichi artist. The firs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nd introduce primary documents that were omitted from the research on Chun Hwa Hwang research. This study also intends to examine how he was associating himself with the Zainichi society based on the data.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learly identify how Chun Hwa Hwang shared experiential bond of empathy and collective expression with Zainichi organization during the Korean War while clearly examining what he was particularly observing. To be more specific, this research probes into how Chun was viewing the Korean War by focusing on the five poetry works, cover pages, and illustrations he published on “Chosun Critique” during the Korean War, and recovers his activities during the Korean War that have been neglected in discussions. By doing so, the study aimed to complement the research on Chun Hwa Hwang that has been limited and shed a new light on the activities of Zainichi artists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is a research on Chun Hwa Hwang, a Zainichi artist, and examines how Zainichi who are minority of the Japanese society have remembered and reproduced the Korean War.

      • KCI등재

        타이쇼민본주의 재평가

        韓程善(Han Jung-Sun) 동양사학회 2004 東洋史學硏究 Vol.87 No.-

        This essay is intended to offer a fresh interpretation of the ideas and activities of Yoshino Sakuz? (1878-1933) during the 1910s. By reconstructing the genealogy of Yoshino's new liberal project (minponshugi), I argue that the central aspect of the project was embedded less in the tension between state and society than in the tension between the imperial norms of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ideas of national autonomy. I pay attention to the particular socio-cultural process of Japanese society in which the meanings of imperialism were reformulated and the notions of state intervention were rationalized.

      • KCI등재
      • KCI등재

        전후 일본의 기념비적 기억: 만화영화 < 우주전함 야마토 >와 1970년대 전후세대

        한정선 ( Jung Sun Han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3

        1945년 8월 두 개의 원폭과 소련의 전쟁참여로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했다. 패전의 순간부터 전후 일본은 전쟁기억의 과잉과 결핍 속에서 ‘전쟁 피해자’ 일본이라는 기억서사가 주류 전쟁기억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전후세대가 인구의 반을 차지하기 시작하는 1970년대 후반부터 이와 같은 주류 전쟁기억에 균열이 생긴다. 본 논문은 주류 전쟁기억의 균열을 ‘기념비적 기억’으로 봉합하려는 전후 일본의 문화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후 일본 만화영화에서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되는 < 우주전함 야마토 >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 우주전함 야마토 >가 전후세대의 서브컬쳐 속에서 유통, 소비되는 과정을 재구성하여 전후 일본의 전쟁기억의 균열과 봉합과정 및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This essay examines the emergence of “monumental memories” in the Japan of the late 1970s by analyzing the “monumental” animation in the history of Japanese animation, the < Space Battleship Yamato >. I argue that the animation represents the cultural appropriation of monumentalizing the war memory and that the monumental memory attempts to provide a new narrative to incorporate the postwar generation of Japan. Within the context of postwar subculture among the postwar generation constructed as “the new breed of human(shinjinrui)” by the media, this article situates the monumental memory of the Battleship Yamato in the space between mainstream war memory and subcultural war memory in contemporary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