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해상도 영상의 분류결과 개선을 위한 최적의 Shape-Size Index 추출에 관한 연구

        한유경 ( You Kyung Han ),김혜진 ( Hye Jin Kim ),최재완 ( Jae Wan Choi ),김용일 ( Yong Il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5 No.2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갖는 공간 객체의 복잡성과 다양성에 의해 기존 중·저해상도 영상에서 사용하던 분류 방식을 고해상도 영상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영상의 공간적인 특성을 추가적으로 추출하여 분광정보와 결합하여 분류를 수행하는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영상의 분류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공간 개체(spatial feature)인 SSI(Shape-Size Index)를 제안하는데 있다. SSI feature는 영역 확장(Region Growing) 기반의 영상 분할 (Image Segmentation)을 수행한 후, 세그먼트 내에 공간 속성값을 할당하여 공간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공간정보를 고해상도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결합하여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이용한 분류를 수행하였다. SSI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두 매개변수인 분할변수와 가중치변수의 최적값을 얻기 위해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KOMPSAT-2와 QuickBird-2에 반복적으로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고해상도 영상의 공간특성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매개변수를 통하여 도출된 SSI와 고해상도 분광 밴드를 결합하여 분류를 수행한 결과가 분광밴드만을 이용하여 분류를 수행한 결과에 비해 높은 분류정확도를 도출함을 확인하였다.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has a limitation when only using the spectral information due to the complex spatial arrangement of features and spectral heterogeneity within each class. Therefore, the extrac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spatial feature extraction method, named SSI(Shape-Size Index). SSI uses a simple region-growing based image segmentation and allocates spatial property value in each segment. The extracted feature is integrated with spectral bands to improv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The classification is achieved by applying a SVM(Support Vector Machines) classifier.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feature extraction method, KOMPSAT-2 and QuickBird-2 data are used for experiments. It is demonstrated that proposed SSI algorithm leads to a notable increase in classification accuracy.

      • KCI등재

        시ㆍ도교육청 평가 결과와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 간 상관 분석

        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1

        이 연구는 1997년부터 시?도 교육청 평가의 주요 영역으로 시행되고 있는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의 의의에 관심을 두고 상관분석을 통해 시?도 교육청 평가 결과와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 간의 일치 수준을 알아봄으로써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의 의의와 활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시도교육청 평가결과와 교육 수요자 만족도간 상관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1999년과 2001년에는 매우 낮은 상관을 보였으나 2003년에는 보통 수준의 상관을, 2005년에는 높은 수준의 상관을 보여 상관 정도가 정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향후 시·도교육청 평가체제의 개선을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valuation system for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authorities in order to seek innovative solutions for improvement. The evaluation, administered seven times until 2005, for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MPEA)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educational scene in 1996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br/> There has not been a comprehensive and intensive effort to review the MPEA evaluation system, although occasional efforts were made for partial revisions of the system. Among education scholars and practitioners, a pressing need for a more systematic review was recognized with the popularity of institutional evaluation ad a quality assurance mechanism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valuation method(construct validity) i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Measurement of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 which adopted into the evaluation of MPEA in 1997 in order to prescribe a better evaluation system.<br/> As a result, the correlation(pearson) between the Evaluation of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Measurement of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analysis, the meaning and background of the MPEA evaluation was analyzed first, followed by the changes of the system since 1996 and current situations. Major cases were also selected and analyzed to gain insights for possible directions of change. On the basis of analysi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수업지도력간의 관련성 분석

        한유경(Han, You-K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feminine, masculine, androgynous, undifferentialted) of middle school principals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as perceived by teachers on the principals' staff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female and male teachers differed in their perceptions of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59 middle school principals (33 male, 26 female) and 723 teachers (314 male, 409 female) by random sampling methods which represented all area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were assessed through the Principal Instructional Management Rating Scale(PIMRS), which consisted of 35 question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The principals' gender-role identity was determien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the Bem Sex-Role Invertory (BSRI). The two factor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role identity of female middle school principals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in the are of Defining the school mission on the PIMRS. Teacher sex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ptions of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Female principals with androgynous gender-role identity were observed by male teachers to display significantly more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than other principals. Female teacher assessed highly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female principals with masculine gender-role identity. 최근 학교장의 수업 지도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고 여교장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학교장 수업 지도력 효과를 규명함에 있어 성별 혹은 성역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이 논문은 중학교 교장들의 성별, 성역할 정체성(남성적, 여성적, 양성적, 차이없음)과 학교장들의 수업 지도력은 관련이 있는지, 그들의 수업 지도력 발휘 모습이 구성원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장 및 교사를 대상으로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교사의 수업지도력 인식수준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에 따른 교사의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지도력(학교 임무 규정) 인식 수준은 남성적 교장이 미분화(차이없음) 교장에 비해 높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장에 대한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교사들이 여교사에 비해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남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중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수업 지도력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여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중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에서는 교사 성별, 여교장 성역할과 교사의 성별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 남교사들이 여교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여교장의 수업 지도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교사는 양성적 여교장에 대해 여교사에 비해 매우 높게 수업지도력을 인식하는 반면, 여교사는 남성적 여교장에 대해 남교사에 비해 높으 수업 지도력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장학재단 ‘드림장학사업’의 현황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한유경(Han, You-kyung),박상완(Park, Sang-wan),추지윤(Choo, Ji-y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한국장학재단이 2012년도부터 추진하고 있는 드림장학금 지원사업의 주요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드림장학사업은 저소득층 우수고등학 생에게 해외유학의 기회를 제공하여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도록 학업장려비, 학비와 체재비 등을 지원한다. 그러나 드림장학사업 운영 과정에서 장학금 지원 금액의 형평성 문제, 연간 5만 달러의 장학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중도탈락자 발생, 학업장려비에 대한 질 관리 및 장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리 미흡, 세부 운영 기준 미비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장학재 단의 사업담당자와 연구진 협의회, 한국장학재단의 드림장학생 대상 설문조사 결과 분석 등을 토대로 드림장학사업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드림장학생 선발제도 개선,드림장학생 선발 제도 개선, 드림장학생에 대한 학업 및 진학 지원, 장학사업 홍보 및 질 관리체계 개선 등 세 영역 에서 드림장학사업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ssues and problems of KOSAF ‘Dream Scholarship’ and to develop policy measures to improve it. The Dream Scholarship program which was initiated in 2012 supports students of exceptional financial need and strong academic performance with the opportunities to study in Korea or in prestigious universities abroad. The criteria for selecting recipient include academic excellence and potential to promote global competences. As KOSAF’s Dream Scholarship program supports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y and is intended to help students pay for school tuition and fees, as well as for other education-related costs such as college entrance fees, special course tuitions, fees, and other education costs. However, Dream Scholarship also has several problems to be improved including high dropout rates, double payment, unclear budget criteria, lack of equity, etc. Based on literature and KOSAF material review, working-level meetings, and survey with Dream Scholarship recipients,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and problems of Dream Scholarship and suggested policy measures. Main policy measures are drawn in three aspects: Clarifying selection criteria, strengthening recipients’ quality control and academic requirements, and promoting public announcement and improving management system of Dream Scholarship program.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편입학 제도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모색

        한유경(You-Kyung Han),윤수경(Soo-Kyung Yoon),권민경(Min Kyoung Kw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3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 취업난 등으로 청년층의 수도권 선호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대학의 교육여건과 관계없이 지역대학 기피현상이 특히 편입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편입학으로 인한 대학간 학생 이동은 대학서열의 공고화, 대학의 학사 운영의 부실화 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는 편입학 제도개선안을 발표하였으나 이 개선안이 가져오는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편입학 실태 분석을 통해 교과부가 발표한 편입학 제도 개선안의 보완사항 등을 포함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전체대학과 우수대학, 대학 소재지와 대학 설립 주체, 전공계열을 구분하여 실제로 학생들이 어떠한 대학과 전공을 선호하고 있는지에 대해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지원 경쟁률과 충원율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우수대학을 중심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편입학 전형 방식, 새로 적용되는 편입학 입학정원 산정 방식에 따른 대학편입 규모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편입학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도별 전체대학 및 우수대학의 편입학 실태 분석 결과,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경쟁률과 충원율 모두 수도권 사립대학과 수도권 국‧공립대학이 높게 나타나, 수도권 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대학 유형에 따른 전공계열별 실태 분석 결과, 수도권 국‧공립대학과 수도권 사립대학의 경우 모든 전공계열에서 높은 경쟁률과 충원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지역 국‧공립대학과 지역 사립대학은 교육계열과 의약계열을 제외한 전공계열의 경쟁률과 충원율이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 우수대학의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경쟁률과 충원율이 지역 우수대학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입학 전형은 영어를 중심으로 한 정량적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2013년 수도권 사립대학의 편입학 규모는 상당부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편입학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 일반편입학 여석 산정기준 방식의 수정‧보완, 학사 편입학 여석 산정 방식의 개선, 편입학 전형 방식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college students’ transfer and countermeasures and suggest the revision plan by analyzing problems. For this aim,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process and overall situ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transfer. This study then analyzes the data, which are based on the college transfer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data focus on problems and issues of college students’ transfer among colleges and universities by popularity, region, and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issues have been found and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irst, regarding transfer with bachelor degree, students transfer to different majors, especially medical and pharmaceutical college or college of education. Nevertheless, they also prefer metropolitan area colleges as transferred students without bachelor degree. The reputation of colleges is also a major factor. Second, the analysis of mobility between regions, colleges, or majors through transfer reveals the strong hierarchy among colleges. Especially, transfer without bachelor degree is more hierarchical: preference for metropolitan area colleges rather than local colleges and higher ratio of transfer students from public local colleges rather than transfer students from private local colleges. This issue is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universities and the regulation of college transfer and to improve the college student transfer system in order to prevent inefficiency and inequity of college student transfer.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choice of freedom, adjustment of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volved in college transfer system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