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 대학 교류 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 대학 연합 비교과 프로그램 사례

        한송이(Han, Song Ie),조성범(Cho, Sung Bum)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타 대학 학생들과의 교류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북 소재 A 대학이 운영하는 대학 간 연합 프로그램(가칭 대학연합프로젝트)을 연구 맥락으로 설정하였다. A 대학과 서울 소재 B, C 대학이 함께 진행한 회차에 참여했던 학생들 중 팀 내 교류가 활발한 5개 팀의 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방식을 활용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참여 동기, 참여 경험, 지원 요구의 세 영역으로 제시되었다. 참여 학생들은 다른 학생과의 교류에 대한 요구를 갖고 있었으며, 타 대학과의 교류는 새로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타 대학과의 교류 경험은 서열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스스로를 성찰하며 새로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타 대학과의 교류가 유의미한 경험이 되기 위해서는 참여 학생 간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하며, 학교를 섞어서 팀을 구성하는 융합적 교류의 형태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타 대학 교류 경험의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regarding intercollegiate experienc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intercollegiate program(University A in Chungbuk, University B and C in Seoul) was set as the research case.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using an in-depth interview method was applied to 13 students from 5 teams engaging in active teamwork. The research results were largely presented in three areas: motiv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and support needs. Students had a demand for interactions with other students, and the intercollegiate program was recogniz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for such interactions. The intercollegiate experience becam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break stereotypes about the pecking order, reflect on oneself, and to discover new aspects of themselves. Lastly, in order for the intercollegiate experience to be a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 an opportunity to form intimacy among participating students should be provided, and it should be operated in the form of a convergent exchange that forms a team by mixing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maximizing the strengths of intercollegiate experiences are presented.

      • KCI등재

        의학계열 재학생이 인식한 대학교육 성과와 시사점

        한송이(Han, Song Ie),배상훈(Bae, Sang),황수정(Hwang, Soo Je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의학계열 학생들이 의학교육을 통해 어떠한 성과를 향상시켰다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타 전공계열 학생 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의학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경향점수매칭을 통해 의학계열과 비교할 수 있는 인문사회 및 자연공학계열 학생 자료를 추출하고,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여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의학계열 학생들은 타 전공계열 학생과 비교하여 대학에서 제공하는 직업 관련 교육에 대해 충분히 만족하고 있었으나, 의사소통과 정보처리, 고차적 사고, 사회정서 영역의 능력이 성장했다고 평가하는데 인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좋은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의학교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부분의 혁신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ived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education between medical and general stud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education. The 2019 K-NSSE data was analyze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was employed to reduce selection bias and then ANOVA 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mean differen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edical students were sufficiently satisfied with the job-related skills from college education compared to other students, but they were stingy to assess the effect of college on their abilities in the areas of communication, software skills, higher-order thinking and social emotion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nnovation of medical education to effectively build up good doctors.

      • KCI등재

        원격학습 상황에서 대학몰입의 영향요인 탐색

        한송이(Han, Song Ie),박상훈(Park, Sa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갑작스럽게 진행된 원격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개인 특성과 학업 및 사회적 통합 요인이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학생 231명에게 개인 특성, 학업적, 사회적 통합, 대학몰입 관련 변인들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수들이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인 특성, 학업적 통합, 사회적 통합의 총 3단계의 연구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 특성 중 성별은 대학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학몰입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년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 경험은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원격학습 상황에서 사회적 통합은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사회적 통합 요인 중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학업과 관련한 상호작용이 대학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은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친밀감 형성을 위한 상호작용이었다. 셋째, 학업적 통합 변인으로 주목한 유의미학습, 반성적학습, 자기주도학습은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학업적 통합이 대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과 다른 결과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원격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대학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factors on institutional commitment in the situation of distance learning that was progressed by COVID-19. Methods To do thi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variables related to institutional commit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academic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as conducted to 231 university studen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is a factor that influence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institutional commitment than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the real-time online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grade level did not affect institutional commitment. Second, in the context of distance learning, social integration was a factor affecting institutional commitment. Among the social integration factors, it was found that academ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had the greatest effect on institutional commitmen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to form intimacy was also a factor influencing institutional commitment. Third, meaningful learning, reflec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are academic integration factors did not affect institutional commit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differed from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academic integ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stitutional commitment.

      • KCI등재

        대학공동체(university community)의 모습과 형성 및 강화요인

        한송이(Song-ie Han),배상훈(Sang-hoon B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 직원 등 대학 조직의 핵심 구성원이 경험한 대학공동체의 모습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공동체를 형성하고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중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동체를 지향한다고 표방하는 3개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별로 교수 4명과 직원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사례 대학에서는 ‘가치로 묶여진 공동체’, ‘우리로 맺어진 공동체’, ‘나와 대학을 하나로 생각하는 운명 공동체’, ‘생명력을 가지고 진화하는 공동체’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대학공동체를 형성하고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은 각 3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우선 형성 요인은 ‘구성원을 결속시키는 중심축으로서 가치’,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들’, ‘쉽게 뭉칠수 있는 규모와 물리적 환경’으로 나타났고, 강화 요인은 ‘공동체를 더욱 끈끈하게 만드는 경험과 외부환경’, ‘계속해서 공동체임을 느끼게 만드는 문화와 제도’,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공동체 규범’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조직을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학공동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대학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공동체 전략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세대교체라는 전환기적 상황을 맞이하여, 대학들이 하나의 생태계로서 공동체성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perceived by professors and staffs, core members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and explored factors that contributes to building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The study employed multi-case study. Three universities were selected that are considered to hav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professors and nine staff members in these institutions. The study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include ‘the community bonded by values shared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we-oriented community rather than I-oriented one’, ‘the community with the university identification and engagement among members’, ‘The evolving community with equilibrium.’ Second, three domains were found to forming the university community: ‘value unifying the university members’, ‘the story of the institution that influences the present’, and ‘environment that help clustered.’ In relation to factors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the university community were found to three domains: ’the environment that leads to strong solidarity’, ‘keeping members maintain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community that values individuality.’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여자대학 교육 환경에 대한 재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수도권 A여자대학교 사례

        한송이(Han, Song Ie),곽은주(Kwak, Eun Ju),배상훈(Bae, Sa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여자대학 학생들이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 환경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과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아울러 지난 5년 동안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요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여자대학의 미래 발전 방 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소재 A여자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고, 대학이 제공하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 지원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묻는 주관식 문항에 대한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1,077명의 자료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대학이 가진 교육적, 인간 집합적, 물리적 환경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일반 교양교육과 함께 여성 특화 교육의 균형적 제공이 필요하고, 여자대학의 인간 환경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다양하고 풍부한 상호작용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보다 안전한 캠퍼스와 여성 친화적인 제도의 도입을 요구하였다. 지난 5년 동안 학생들의 요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여성 특화 교육 제도 및 프로그램의 확대와 캠퍼스 안전 확보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학생들은 여자대학이 보편적인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책무성을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여성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높이는 교육을 보다 특별하게 수행하는 교육적 정 체성을 갖는 대학이 되길 바라고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what the campus environments means to students in A women’s university and what they needs for better campus life and learning.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ir campus learning environments during the five years (2014-2018). 1,077 students’ open-ended responses from K-NSSE in A women’s university were analyz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ents recognized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al, human aggregated,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university. What they need for better learning and life on campus includes 1) balance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for women, 2) a variety of rich interaction to overcome limitations of human environments of women s university, and 3) a safe campus environment and a woman-friendly university system. Longitudinal analysis on students’ responses found that an ever-increasing demands exist for women-specific education programs and campus safety.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s of women’s university.

      • KCI등재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이제원(Je Won Lee),한송이(Song Ie Han),박지현(Ji Hyun Park)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는 에듀테크를 교육 기부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외지역 청소년들의 교육 양극화 해소와공교육에 대한 기여를 통하여 창의역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확대에 목적이 있다.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기관/업, 개인 등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교육 기부에듀테크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운영사례를 고찰하고 소외지역 지원방안을 통하여 교육 양극화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으로 인프라 지원, 프로그램지원, 행·재정 지원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교육 기부 수혜자, 기부자, 학교와 교사에 대한 주체별 기대효과를 제안하였다. 소외지역의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 기부 프로그램 운영 방안으로 ① 에듀테크에 대한 최적화된 교육 환경 개선 ② 에듀테크 확대에 따른 디지털 윤리 강화 ③ 체험형 에듀테크 교육 기부 프로그램의 확대 ④ 학생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⑤ 교육기부 데이터 기반의 질 관리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 양극화가 심화되는 현시점에서 교육기부를 매개로 에듀테크 지원방안을 탐색하고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upport EduTech, focusing on educational donations in underprivileged areas. We have come up with measures to support underprivileged areas by considering prior research and cases related to educational donations and EduTech. The following are ways to use EduTech to resolve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in underprivileged areas. The first is infrastructure support, Second, program support, Third, along wi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e presented the need for expected effects on educational donation recipients, donors, schools and teachers. In addition, as a way to revitalize education for donations and build an EduTech environment to foster creativity in remote areas, we propose the importance of data quality management based on educational don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ways to use EduTech, focusing on educational don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apabilities of underprivileged school teenagers, and proposed perspectives and measures to resolve educational polarization.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 동기 차이 분석

        박상훈(Park, Sang Hoon),한송이(Han, Song I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학습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학습 동기 양상을 파악하고,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동기 차이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학습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 대학 재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자기효능감, 정보기술자기효능감, 과제 수행의 내·외재적 동기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코딩 후 SPSS 2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과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라 학생들의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집단 내 학습 동기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참여한 온라인 학습에서 학생들의 자기결정성, 과제 수행의 내재적 동기의 평균 점수가 다른 동기 요인에 비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분석에서 온라인 학습 경험이 없는 집단의 과제 수행에 대한 내적 동기가 온라인 학습 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내 분석에서 온라인 학습 경험이 있는 집단은 학년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간과 비실시간 수업을 병행한 학생들보다 비실시간 수업에만 참여했던 학생들의 자기결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온라인 학습 경험이 없는 집단은 성별, 학년, 온라인 수업 참여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nline learning against post-corona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 under the COVID-19 situ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1 students at S University for self-determined motivation, self-efficacy,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and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for performing tasks. After data coding,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classify students groups according to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the internal motivation of task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motivation factors in online learning under the COVID-19 situation.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with no online learning experience showed higher internal motivation for task performance than the other group. Third, students with online learning experience showed higher level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s the grade level. Students who took only asynchronous classes showed higher self-determined motivation than students who combined synchronous classes with asynchronous classes.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out online learning experienc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level, and online learning type.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COVID-19 이후 대학교육 연구 경향

        조성범(Sungbum Cho),한송이(Song Ie 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이루어진 대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국내 학술연구정보(KCI) 등재지에 수록된 논문 중‘코로나19’,‘대학교육’,‘대학’을 주제어로 검색된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주제에 부합하는 학술논문 197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연구 주제어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맥락에서 이루어진 대학교육 연구에서는 ‘대학생’,‘원격 교육’,‘비대면’,‘스트레스’,‘대학생활 적응’의 주제어가 핵심어로 도출되었다. 개념적 관계성이 높은 주제어끼리 집단화한 결과, 4개의 응집 구조(1) 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관련 연구, 2) 심리·정서 변화 관련 연구, 3) 대학생활 적응 관련 연구, 4) 비대면 상황에서의 원격 수업 관련 연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수자 관련 연구 확대, 위기 상황에 대한 대학 차원의 비전 수립 필요, 다양한 전공 분야별 코로나19 교육 성찰 등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trends of academic research on college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ost-COVID era. To achieve this purpose, articles searched for as keywords ‘COVID-19’, ‘university education’, and ‘university’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 total of 197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journals from January 2020 to September 2022 were selected, and network text analysis was performed on research keywords. As a result of the study,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colleg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was mainly conducted with the main keywords of ‘college student’, ‘remote class’, ‘non-face-to-fac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tudy found that four clusters were derived as grouping keywords with high conceptual relationships: 1) research related to student experience of college life, 2) research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of students, 3) research related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4) research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in non-face-to-face situ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llege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are presented.

      • KCI등재

        충북교육청 교원임용시험 개선을 위한 요구 분석 : 교원 및 교육전문직을 중심으로

        김성천 ( Kim Seong Cheon ),한송이 ( Han Song I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는 충북교육청 교원임용시험 개선을 둘러싼 교육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교원임용시험 개선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충북교육청의 교원 및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교원임용시험에서 교사 역량이 적절히 다루어지고 있는지, 개선 방안에 대한 이해 관계자들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북교육청의 1,0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와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집단 간 평균 차 검증(t-test)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교사를 선발하는 임용시험 제도는 ‘교과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교사의 ‘인성 및 적성’이나 ‘학생 생활지도’ 역량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요하지만 실제로 다루어지지 않아 임용시험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평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역량으로는 ‘인성 및 적성’, ‘협업능력 및 소통능력’, ‘학생 생활지도’ 등이 도출되었다.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본 결과, 모든 응답자들은 현행 제도 개편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었으며, 장경력 집단이 단경력 집단에 비해 개선에 대한 요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충북교육청 교원임용시험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educational stakeholders in C Office of Education to find ways to improve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pecificall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teacher's competency was adequately handled in the test, and the stakeholder's perception of improv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1,040 teachers and supervisors from C Office of Edu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t-test were applied. As a result of stud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hould not only consider the ‘subject matter expertise’ but also the teacher's ‘personality and aptitude' and 'student guidance' competency as important. 'Personality and aptitud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student guidance' were derived as priority competencies. As a result of examining opinions on improvement, all agre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vise the current system, such as strengthening interview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need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ystem of the C Office of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AI 시대의 교사역할과 역량에 대한 기대수준

        신하영 ( Shin¸ Ha-young ),한송이 ( Han¸ Song-i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연구논총 Vol.44 No.3

        이 연구는 ChatGPT 등의 거대언어모델(LLM)이 등장하여 지식생산과 학습생태계 전반에 큰 변화가 나타나는 시대에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탐색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를 위해 4년제 종합대학에서 교직을 이수하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의 역량에 대한 기대수준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정리하여 AI 시대 새로운 디지털신기술 도입과 사회구조 변화를 반영한 교원양성 및 전문성 강화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AI 시대에도 여전히 교사의 '본질적인 역할'이 요구될 것이라고 하였으며, 이는 학생지도와 상담, 학습코칭의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AI 시대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의 내용에는 AI 기술 활용 능력 뿐 아니라 디지털윤리를 포함한 소양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atively present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teachers in an era in which large language models (LLMs), such as ChatGPT, appear and change the overall knowledge production and learning ecosystem.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e-service teachers taking teaching profession courses at four-year universitie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were organized around the expected level and components of teacher competency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training and professionalism that reflect the introduction of new digital technology in the AI era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the 'essential role' of teachers would still be required in the AI era, which was described as student guidance, counseling, and learning coaching. And in order to fulfill this role,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to nurture teachers in the AI era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ility to use AI technology but also the knowledge including digit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