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그릿(Grit)이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표정민(Jungmin Pyo)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그릿(Grit)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전남, 광주 지역의 대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그릿과 학습몰입,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그릿은 학습몰입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학문적 창의성에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몰입은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그릿은 학습몰입을 통하여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의 방향과 긍정심리학적 관점의 확장에 대하여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Grit of undergraduate students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Scholarly creativity through Flow experience in learning.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306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Jeonnam, and Gwangju area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Grit, Life satisfaction and Scholarly creativity,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Grit has a direct effect on Flow experience in learning and Life satisfaction, but it has no direct effect on Scholarly creativity.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Scholarly creativity. In addition, Grit h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cholarly creativity through Flow experience in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briefly discusse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o grow student’s Grit and the expan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대학생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창의적 수업활동이 창의성 신념에 주는 영향

        표정민,김누리,박현린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Creative beliefs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creative activities, and many related studie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eative activities in of university students on creative beliefs. A total of 98 students were enrolled and class was conduct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7. The students planned and announced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fairy tails centered on six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honesty, promise, forgiveness,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ownership). The pre-test and post-test of each was conducted by utilizing the creativity beliefs scale by Plucker & Dow (200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did not change much, however the answer was added in post-test, which was “to solve problems and add their won thoughts to others thoughts”. Moreover, the belief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mental illness and drug addiction and negative behavi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We suggest that the directions and methods of class design to change students’ creativity beliefs in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devised. And further research ab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hange the creativity belief will be needed. 창의적 신념은 개인의 창의적 활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예측요인 중 하나이며, 최근 들어 다양하게 연구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적 수업활동이 창의적 신념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광주 소재 대학의 98명을 대상으로 2017년 1학기 동안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은 팀별로 창의인성교육의 여섯 가지 덕목(정직, 약속, 용서, 배려, 책임, 소유)을 중심으로 동화책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개발 및 발표하였다. 창의성 신념 측정 도구(Plucker & Dow, 2004)를 사용하여 학기 초 사전검사 및 학기 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창의적 신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창의성의 정의에 대한 변화는 크게 나타나진 않았으나, 문제해결과 타인의 생각에 자신의 생각을 더하는 것이라는 응답이 사후에 추가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성과 ‘정신질환과 약물중독, 부정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신념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업 설계의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아야 할 시기이며 또한 창의적 신념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후에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그릿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하여

        표정민(Jungmin Pyo),김설화(Seol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소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그릿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하여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J도 및 K광역시의 승급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보육교사 3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18.0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그릿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그릿은 소진의 정서적 고갈에는 직접적인 부적 영향력을,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소에는 간접적인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소진의 개인적 성취감 감소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의 중요성에 대한 재고를 제안하고, 추후 보육현장에서 그릿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 및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grit, stress coping methods, and burnout, and investigated how childcare teachers’ grit affects burnout through stress coping methods. Methods: Three hundred and sixty-three childcare teachers, who had completed the promotion curriculum in J province and K metropolitan cities,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aforementioned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 Results: Firs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grit ha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to the active stress coping method. Second, a direct negative effect of grit was noted on exhaustion, an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f grit was noted on depersonalization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active coping with stress reduced the low personal accomplishment, one of the component of burnout, among childcare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re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grit among childcare teachers and suggests that renewed strategies and education are required to promote grit in childcare institu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문화적 성향과 창의적 마인드셋이 자기보고식 창의성 검사에 미치는 영향

        표정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self-construals, one of the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mindsets, one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on self-reported creativity rat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lf-Construals Scale, Creative Mindsets Scale and Kaufman-Domain of Creativity Scale were used to measure cultural characteristics, creative mindsets, and self-reported creativity, respectively. As a result, independent self-construal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ported creativity significantly, whil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d no influence. Growth creative mindset significantly explained self-reported creativity and fixed creative mindset also marginally explained.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을 측정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인 자기보고식 창의성 검사가 비인지적 개인의 특성 중 하나인 문화적 성향(self-construals)과 인지적 특성 중 하나인 창의적 마인드셋(creative mindset)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3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 성향 검사, 창의적 마인드셋 검사, 그리고 Kaufman의 영역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독립적 자기해석과 창의성 성장 믿음이 자기보고식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 고정믿음은 제한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창의성 평가에 대한 본 연구의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지능-창의성 마인드셋 잠재집단별 학습몰입의 차이

        표정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9 창의력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roups with similar responses using the intelligence mindset and creativity mindset scal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by each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89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latent profile according to the intelligence-creativity mindsets scores of college students, three groups were derived. The first group called the 'high-growth mindset' group with the highest intelligence growth and creativity growth mindset, and the second group called the 'medium-growth mindset' group because the intelligence growth and creativity growth mindsets was moderately high. Finally, all four scores are similar, which is called the ‘average’ group. The results of the second study showed that the total scores of learning flow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nd that the 'high-growth mindse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sub-factors of learning commi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growth mindset' group in emotional factors and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능 마인드셋과 창의성 마인드셋 척도를 이용하여 유사한 응답을 가진 집단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 각 집단 별 학습몰입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광역시에 거주하는 2개 대학교 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능-창의성 마인드셋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세 집단이 도출되었으며, 1집단은 지능 성장, 창의성 성장 마인드셋이 가장 높은 ‘고-성장 마인드셋’집단이라고 명하였으며, 2집단은 지능 성장, 창의성 성장 마인드셋이 중간 정도 높은 수준이라 ‘중-성장 마인드셋’집단이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점수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나 ‘균형적’집단이라고 하였다. 두 번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세 집단에서 학습몰입의 총점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고-성장 마인드셋’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으로는 ‘정서적 요인’과 ‘통제감 및 행동적요인’에서 유의미하게 ‘고-성장 마인드셋’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적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

        표정민,임명희,박은지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dependent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ffect the moral intelligence and creative mind se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on the moral intelligence and creative mind sets, we surveyed 271 freshmen to junior students majoring in young child education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The total data from 268(98.9%) students, excluding the data from 3 insincere answers,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wo factors,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and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were suggested by EFA, and they are deep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belief that he or she holds. Second, on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on the moral intellige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has more positive effect on the moral intelligence, whereas the preference of the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has no effect. Third, an intensive investigation on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which shows a similar relationship with the moral intelligence, reveals that it has a highly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growth percep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fixation perception.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ference of the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has no effect at all.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적 신념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두 개 대학교의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1~3학년 예비유아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3명의 자료를 제외한 268명(98.9%)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가 선호하는 교수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수법 선호 경향 척도를 구인타당도에 따라 개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하여 유사한 응답이 나타난 문항들을 요인들로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선호하는 교수법이 도덕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AMOS 7.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수법 선호 경향은 각 교수법에 바탕이 되는 교육신념과 관련되어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와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인 두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의 경우 분별이 되지 않고 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는데,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가 도덕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는 도덕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는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서로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의성 성장 신념체계는 높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성 고정 신념체계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는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내외적 수단성 및 진로미결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표정민,김누리,최현준,박현린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instrumentality, and career undecidedness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311 college students in two regions and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instrumentality and career undecidedne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instrumentality and the external instrumentality had an effect on the career undecidedness and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e internal instrumentality identified structural relationships that affect happiness through career undecidedness. Finally, we discussed what kind of support and help is needed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We hope our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expanding the scope of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이 연구는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내외적 수단성과 진로미결정성이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2개 지역의 대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내외적 수단성과 진로미결정성, 행복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내적 수단성과 외적 수단성이 독립된 형태로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성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수단성이 진로미결정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지원과 도움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대학생의 행복을 이해하는 데 폭을 넓히고 이들에게 대학에서 다양한 개입을 제공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한국인의 문화적 성향 잠재집단 따른 창의성 평가의 차이 - 암묵적 이론을 이용한 자기평가 및 타인(한국인/외국인)평가 -

        표정민,최인수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ndency of creativity evaluation on self and others (Koreans/foreigners) based on latent classes by self-construal. Implicit theory was used as the criterion of self-evaluation and evaluation on others(Koreans/foreig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4 Koreans ranging from teens to 50s. First, in order to confirm if self-construal factors suggested by Singelis et al.(1995) appear in identical constructs among Korea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Vertical and horizontal-collectivism were turned out to be one factor of collectivism, vertical-individualism was interpreted as competitive individualism, and horizontal-individualism was divided into individualism emphasizing uniqueness and independent individualism.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n latent classes using four factors of adjusted self-construals provided 4 groups, which were low-competitive collectivism group(27.7%), low-uniqueness group(28.9%), low-competitive/high-uniqueness(29.9%) and self-conviction (high-competitive/high-uniqueness/high-independent) group(13.6%). Lastly, the self-conviction group tends to evaluate his/her creativity as higher than, or similar to, that of other people. 한국인들 스스로는 본인의 창의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가진 문화적 성향에 따라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하위집단 별로 창의성의 암묵적 이론에 대한 자기평가 및 타인(한국인/외국인)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성향을 집단주의/개인주의 차원에 수평/수직문화 차원을 보완한 Singelis외(1995)의 척도를 사용하여 확인해 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집단주의, 경쟁적 개인주의, 개성강조 개인주의, 독립적 개인주의의 네 요인으로 문화적 성향이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 네 개의 요인을 사용하여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은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즉 집단주의를 대표하는 저경쟁 집단주의 그룹, 개성을 그리 중요시하지 않는 저개성 그룹, 경쟁심은 낮으나 개성이 강한 저경쟁/고개성 그룹, 마지막으로 집단주의는 낮고 경쟁심, 개성, 독립적 개인주의가 다 높은 자기 확신 그룹이다. 실제 집단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가지고 있는 하위집단은 본 연구 대상의 1/4 정도로 그 수가 많지 않았다. 문화적 성향으로 구분한 네 집단 간 창의성에 대한 자기평가와 타인평가(한국인/외국인)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해 본 결과 집단주의가 높은 그룹에서 자신의 창의성을 타인보다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단주의를 가진 동양인들이 자기겸양편향이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도덕적 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집단주의가 높은 그룹에서 높았다. 이러한 경향의 의미와 한국인의 창의성에 대한 다면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년기 사회참여활동,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표정민 ( Jungmin Pyo ),조준 ( Joon Cho ),김설화 ( Seol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중 「고령자를 위한 라이프코칭 및 재무설계서비스」가 이용자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0세 이상 노인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18.0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첫째,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참여한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년기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넷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참여활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행복감의 중요성에 대한 재고를 제안하고, 추후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의 심리적 건강증진과 실질적 개입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ife Coaching and Financial Planning Service for Seniors” among Jeollanam-do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s affects user happines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78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18.0 was u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had an effect on self-estee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in old ag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self-esteem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happines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and self-esteem. This study proposes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happiness in old age, and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promotion and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are needed in the future.

      • 한국과 중국에서 나타난 창의성(創意性)과 창조성(創造性)의 암묵적 지식 차이

        표정민(Jungmin Pyo)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Creativity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창의성(創意性)과 창조성(創造性)에 대한 양국 대학생들의 암묵적 지식을 탐색하였다. 연구1에서는 한국 대학생 65명, 중국 대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창의성과 창조성의 동일여부를 질문한 후, 창의적 인물과 창조적 인물의 특성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은 각각 81.5%와 88.1%의 비율로 창의성과 창조성이 다르다고 응답하였으나, 다르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인식하는 창의적 인물과 창조적 인물의 특성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창의성과 창조성의 동일여부에 대한 질문을 제거하고, 국가별로 창의적 인물 조건(한국36명, 중국34명)과 창조적 인물 조건(한국36명, 중국38명)의 총 4집단을 구성하여 각 조건에 해당하는 인물의 특성과 관련된 개방형 설문만을 실시한 후 연구1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창의적 인물과 창조적 인물에 대한 특성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1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창의성과 창조성에 대한 양국 대학생들의 암묵적 지식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추후 한국과 중국에서 창의성 관련 비교문화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tacit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about ‘chuang yi xing’(創意性) and ‘chuang zhao xing’ (創造性), which are used in the meaning of creativity. Participants(65 korean, 59 chinese) in study 1 were required to fill out creative(創意 ‘Chuang yi’) traits and they also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about creative(創造 ‘Chuang zhao’) traits. We analyzed frequency of 32 characteristics as which features of creative traits are categorized. As a result, 81.5% of Korean students had differences between ‘chuang yi xing’(創意性) and ‘chuang zhao xing’ (創造性), also there were similar results in Chinese’s sample(88.1%). there were agreement with creative individual traits of 2 groups in Chinese samples. All group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have consensus on creative individual traits. The study 2 was designed for verifying results of the study 1. The questionnaires for study 2 were sent to South Korean samples and Chinese samples not participating in study 1. Participants for study 2 were made of 4 groups separated twice. At first, respondents were divided between one group who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 for creative(創意 ‘Chuang yi’) traits and the other group required to answer the question for creative(創造 ‘Chuang zhao’) traits. Secondly, these 2 groups were sorted again according to respondent’s nationality. Each group was 40 persons and all of samples 160 in study 2. The same analysis methods with study1 was conducted, in whic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aken together all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of it’s attempt to exploring for study of implicit knowledge in creativity prac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