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의 음악경험 및 음악흥미도의 차이 비교

        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영재와 일반학생의 음악경험 및 음악 흥미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영재를 위한 예술교육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폭넓게 시행되고 있는 국내 영재교육의 분야인 과학, 수학, 수 과학 분야 초등영재 119명과 일반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음악경험 및 흥미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재 및 일반학생들의 유.초등기 음악경험은 모두 중간대의 점수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영재학생들의 음악 흥미도는 대체로 중간대의 점수 수준에 분포되어 있었으나,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이 수학, 수 과학 영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년 간 차이는 없으나, 음악경험 및 흥미도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offering basic data to arranging a plan for vitalizing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which is being activated these days, by comparing difference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in the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of the gifted children in each field was comparatively analyzed targeting 73 general students and 119 elementary gifted children in the fields of science, mathematics, and mathematics & science, which are the gifted education fields at home that are being enforced now most extensive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first, the music experience in babyhood and childhood of the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was indicated all to be mid level. Second, the music interest level is distributed in the mid level. The science-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were survey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 science.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chool years. However, girl students were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boy students in both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 KCI등재

        5-7세 유아의 음악성과 노래 창작력 발달의 특성 연구

        태진미(Jinmi Tae)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3 음악교육공학 Vol.- No.3

        Introduction gives prove to actuality of the chosen research problems; purpose, object, subject and tasks are being defined; theoretical grounds are being disclosed; methods and steps of the investigation are being introduced;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literature on the research problems is given;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cerning the following objectives are being represented: 1. learning features of aptitude for music display in children 2. learning features of singing improvisation in children 3. learn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actions in children with different level of musical and creative abilities For the first time within the framework of resolving the problem of musical abilities and singing, the complex integrativ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approach has experimentally been used. The structure of the method includes complementary part: psychological diagnostics of creativity and emotionality in children and psychological musical examination.

      • KCI등재

        유아용 다중지능 검사개발 및 타당화

        태진미(JinMi Tae),박소연(SoYeon Park),이혜경(HyeKyoung Lee)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부모가 평정하는 유아용 다중지능 검사를 개발한 후 개발된 검사가 신뢰롭고 타당한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모색하였고 유아 다중지능검사의 개발 관련 내용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8개 지능을 측정하는 169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129명의 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하였으며, 문항의 양호도를 살펴본 후 본 검사에 활용할 127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8개 지능의 신뢰도는 .803에서 .919사이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수정지수를 사용하여 오차 요인 간 상관을 10개 허용한 수정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본 검사에 참여했던 유아(n=564) 중 41명의 개별 지능에 대한 담임교사의 주관적 평정치를 산출하여 다중지능 점수와의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인간친화, 언어, 음악 지능 영역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고 논리수학, 신체운동, 자연탐구 영역에서도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ultiple intelligence test (MIT) for children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test, we reviewed previous relevant studies and input from a Delphi survey conducted on thirteen experts. First, we developed 169 preliminary items for measuring eight bits of intelligence and applied them to 129 parents of children. From this test run, we re-examined the quality of the 169 items and selected 12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was satisfactory in the range of 0.803-0.919. To ensure construct validity, we used a revised research model that utilizes the modification index to allow ten correlations between error factors. Further, we conducted subjective intelligence ratings for 41 children by asking their teachers to rate their MIT score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eachers’ ratings(n=41) and the children(n=564)’s MIT scores. The teachers’ ratings and the children’s MIT score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interpersonal, linguistic, and musical intelligences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logical-mathematical, bodily-kinesthetic, and naturalist intelligences, thereby, verifying the superiority of our MIT.

      • KCI등재

        민사고를 통해 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사례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외 융합영재교육의 동향을 조사하였고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민사고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실현을 위한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민사고는 민족적 주체성을 가진 국제적 지도자 육성을 위해 중요한 경험적 사례를 제공하며 한국적 정체성을 겸비한 국제적 인재양성의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한국적 정신’ 및 ‘융합형 영재 교육’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 실현을 위해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모형’에 기반한 체계적 교육과정의 수립‧운영이 요구된다. 한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숙고는 민사고라는 특정 학교만의 과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 에서 문화적 주체성을 가진 지도자 양성의 방향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domestic/overseas convergent gifted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introduced the distinction of curriculum of KMLA through questionnaire, site visitation and interview to debate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een through KMLA. Then,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as debated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In conclusion, KMLA provided the important empirical case to cultivate international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and show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cultivating international elite with Korean identity. However, more obvious conceptual embodiment of ‘Korean spirit’ and ‘convergent gifted education’ is necessary and establishment‧ opera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based on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model is required for specialized realization. Meanwhile, the speculation over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cultivating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in the national level instead of task of specific school called KMLA.

      • KCI등재

        팀 프로젝트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발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3

        이 연구에서는 이경화 외(2011)에 의해 개발된 「팀 프로젝트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과정」중에서 세 가지 프로그램을 초등 발명영재 학생들을 위해 체험 기반으로 재구성하여「팀 프로젝트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발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창의성과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재구성된 프로그램은 초등 발명영재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창의적 성격보다는 창의적 능력(유창성, 정교성, 융통성)에 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팀 프로젝트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적절성, 만족도 측면에서도 양호하다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발명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developed 「creative problem-solving invention program of focusing on team project」by reconstructing three programs out of 「creative problem-solving curriculum of centering on team project」, which was developed by Lee Gyeong-hwa et al.(2011), based on experience for the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creativity and satisfaction were confirmed after applying this to actual class. As a result of research, the reconstructed program had very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in creativity of the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re significant change was shown in creative ability(fluency, elaboration, flexibility) rather than creative personality. In a result of surveying satisfaction, this was evaluated to be good in the aspect of appropriateness and satisfaction as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focusing on team project as for the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outcome suggests the applicability to a field as a program available for being effectively applied to invention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영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이경화 외(2013)가 개발한 영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성 및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실험설계로 구성되었으며 A대학부설 초등영재 37명에게 창의성과 자아개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9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을 투입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영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사전검사 수준에 따른 집단별 효과 분석 중 자아개념과 창의성이 낮았던 집단에게 가장 큰 효과가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신장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영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s on improvement in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self-concept in a gifted-student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veloped by Lee Gyeong-hwa et al.(2013) as a commissioned research by Seoul Science Park in 2013. It carried out pre-test of creativity and self-concept targeting 37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ached to A university and conducted post-test after inputting a program over 9 instructional units. As a result of research, the gifted-student personal education program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based effect. It was surveyed that there was the biggest effect in a group with low self-concept and creativity after analyzing group-based effect depending on pre-test level. This outcome suggests that the developed gifted-student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 even on enhancement in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