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모듈에 따른 행복감과 교직열정의 차이연구

        탁정화(Tak Jeong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모듈 군집유형에 따른 행복감과 열정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Hair와 Black(2000)이 제시한 절차에 따라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모듈 군집유형은 정서중심 공감집단, 균형적 공감 상집단, 균형적 공감 하집단, 비인지적 공감 하집단, 인지중심 공감집단의 5가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모듈 군집유형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유형간 행복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 모듈 군집유형에 따른 교직열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유형간 교직열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happiness and enthusiasm according to the type of sympathy module group of pre-service infant teachers. The results of the 242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presented by Hair and Black (2000), and then the distribu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the types of sympathy modu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emotional-centered sympathy group, balanced sympathy group, balanced sympathy group, non-cognitive empathy group, and cognitive-centered empathy group. Second, a one-way 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happ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sympathy module group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ppiness between the group types. Third, a one-way 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eaching pas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ympathy module group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passion between the types of community.

      • KCI등재

        유아강점 군집에 따른 행복의 차이연구

        탁정화(Tak, Jeong-hw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유아강점 수준에 따른 행복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B광역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318명을 연구대상으로 임의표집한 뒤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 K-means 군집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강점 군집은 4가지로 유형화 되었고, 개인강점과 강점학습이 평균보다 높은 “개인강점과 강점학습 추구집단”, 개인강점과 강점학습이 평균보다 다소 낮은 “개인강점과 강점학습 보완필요집단”, 개인강점과 강점학습을 충분히 활용하는 “개인강점과 강점학습 충분활용집단”, 개인강점과 강점학습이 낮은 “개인강점과 강점학습비활용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강점의 4가지 군집은 부모관계, 교사관계, 또래관계, 인지 및 성취, 몰입, 영성, 정서, 건강, 생활만족도의 행복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d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strength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8 children. The analysis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ne-way ANOVA,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cluster analysis on a sample of 318 children revealed four clusters: The child`s strengths upper group was excellent the child`s personal strengths and learning strengths. Moreover besides, the child`s strengths the highest group was excellent the child`s personal strengths and learning strengths. And, child`s strengths the lowest group was personal strengths and learning strengths, child`s strengths lower group was personal strengths and learning strength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strength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탁정화(Jeong Hwa Tak),강현미(Hyun Mi K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유아평가에 대한 보육교사의 실천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유아평가에 대한 능력과 실행수준을 진단해보고,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의 5가지 능력요소에 따른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인식 및 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보육교사는 “유아평가방법의 선정”, “유아평가의 윤리성”의 순으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평가 실시”의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아평가의 윤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평가도구의 개발”에 대한 실천 정도는 낮게 보고되었다. 또한 보육교사는 유아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업무 과다로 인하여 실행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며 유아평가를 실시 할 때 일화기록, 부모면담자료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평가 전문성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의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평가방법의 선정”과 “유아평가도구의 개발”에서는 교사의 인식이 높으나 실태정도가 낮으며 “유아평가결과의 분석·해석·활용·의사소통”에서는 실천정도의 실태는 높으나 교사의 인식부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understand teachers` assessment levels and to improve a teacher`s Competence in Early children Assessment.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re 170 day-care center teachers; we use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tools which consist of 30 items in 5 domains. The surveys included 75 item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levels` perceptions are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and “ethicality in assessment”. The low level perception is a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Second, according to the teacher`s actual assessing practice condition, “ethicality in assessment” is higher than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Finally,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status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actual practice when they make an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과 교수효능감의 차이

        탁정화 ( Tak Jeong Hw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1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 교수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유아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유형은 고정마인드셋 상집단, 마인드셋 미분화집단, 성장마인드셋 상집단, 성장마인드셋 하집단·고정마인드셋 상집단으로 명명되었다.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 교수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 마인드셋의 프로파일 유형은 주관적 경력성공, 교수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가져오는 심리적 요인이므로 유아교사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교직 문화형성과 성장마인드셋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indse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Y and M cities.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ne-way ANOVA and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vealed four cluster types: the upper fixed mindset type, undifferentiated mindset type, the upper growth mindset type and the lower growth mindset and the upper fixed mindset typ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dset types according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indset.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expected to suggest how to promote a growth mindse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이 마인드셋에 미치는 영향

        탁정화(Tak, Jeong-Hw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 마인드셋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15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 마인드셋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성장마인드셋, 자아존중감과 성장마인드셋, 통제소제와 성장마인드셋, 교직인성과 성장마인드셋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고정마인드셋, 자아존중감과 고정마인드셋, 통제소제와 고정마인드셋, 교직인성과 고정마인드셋 간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은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마인드셋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의 변인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impact of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mindset. A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216 pre-service child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al research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The data was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 of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mindset.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child teachers’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grow mindset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at the level, but fixed mindset were found to be lower at the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mindset. Third, it was found that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affected the grow and fixed mindse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 support by finding out pre-service child teachers with low levels of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teacher disposition and mindset.

      • KCI등재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의 얽힘

        탁정화(Jeong-Hwa Tak),박수연(Su-Yeon Park)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고는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을 바탕으로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특성과 인간 너머 세계와의 얽힘을 살펴보았다. 「이상한 엄마」, 「이상한 손님」, 「알사탕」, 「나는 개다」라는 4권의 그림책에 대한 회절 분석(diffractive analysis)방법을 적용하였다.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신물질론 얽힘은 첫째, 글-그림 텍스트가 다양식적으로 얽혀 있으며, 물질들의 아상블라주를 이룬 배경은 물질의 행위성으로 관계하며 끊임없이 현상을 생성하고 있었다. 둘째, 생동하며 관계하는 물질(세)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항 대립을 넘어 경계를 허무는 횡단적-존재인 이상한 혼종체와 삶을 수행고 있었다. 셋째, 일상적 삶에서의 다채로운 감정을 품고 있으며, 비인간 존재들과의 응답-능력으로 돌봄의 관계와 윤리가 들어있다.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이라는 담론에서 그림책의 세계와 함께(with) 얽혀 물질(화) 되어갔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얽힘은 그림책을 바라보는 또 다른 연구로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posthuman new materialism,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aek Hee-na or picture books and the entanglement between humans and more-than-human’ world. After selecting four picture books: “Strange Mom,” “A Strange Guest ,” “Magic Candies” and “I'm a Dog,”, diffrac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ek Hee-na picture book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olystyled entanglement of text-picture texts, the lively and related material (world) system, and various emotions in daily life. Next, Baek Hee-na's picture books were intertwined with post-human new materialism, first with 'acting background: assemblage relationship among all', second with 'cross-existence breaking boundaries: strange hybrid', and third with 'response to non-human beings: ability: relationship and ethics of care'. The discourse on posthuman new materialism became materialized with the world of picture books. This paper’s proposition may broaden the academy to discuss the theoretical picture books foundations and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 KCI등재

        행복교육을 위한 유아강점의 개념정립: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탁정화 ( Tak Jeong-hw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행복교육에 기반이 되는 유아강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자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유아강점의 인식과 강점행동이 발현될 때 나타나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부모집단, 유아교사집단, 유아교육전문가집단으로 층화하여 총 9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질문을 실시하였으며 Ezzy가 제안한 반복적 비교분석방법을 통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아강점에 대한 인식은 유아기 고유한 특성, 현재 지금 유아기에 발견되는 행동, 긍정적 가치를 가진 행동, 교육적으로 길러질 수 있는 행동등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유아교사와 유아교육전문가는 긍정적 가치, 인성, 교육을 통한 증진에 초점을 두고 강점에 대해 인식하였으며 부모집단은 능력과 성취중심으로 강점에 대해 이해하는 경향이 높았다. 유아강점의 특성으로는 높은 성취를 가져오며 자신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행동이 가진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집중하고 몰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insights and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 participants``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about strengths to apply positive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study, 9 teachers participated for focus group interviews in Pusan, Ulsan and Gyug-nam province. In order to the data included video, field notes, and interview.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According to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reconceptualized strengths in young children were the unique traits in early childhood, observable and positive behavior and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bout strengths showed that to accomplish academic task, joying and playfulness in activities more then they ever did, feeling positive emotion, meaning the life, and provoke children`s inner interes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탁정화 ( Tak Jeong Hwa ),이혜원 ( Lee Hye Won ),이미란 ( Lee Mi R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지각하는 그릿경험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4학년 5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한 뒤,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아이디어를 분류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은 리더경험, 학술제 준비, 긍정적 관계유지, 전공공부의 충실성, 조별활동을 통한 협력경험, 실습경험, 개인생활경험의 7가지로 30개의 문항이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예비유아교사 그릿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and to categori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grit experience. A research method called “concept-mapping” (MD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grit experience. For data, 5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asked about what they had experienced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grit situation.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participants identified 7 grit experiences that they had encountered: (1) experiences as a leader, (2) the preparation of an academic program, (3) positive relationship, (4) academic achievement, (5) experiences with group activities, (6) early childhood practicum, and (7) everyday personal lif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related to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program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탁정화(Tak Jeong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사 3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송주연(2014)의 척도를, 행복플로리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Bulter과 Kern(2014)의 척도를, 유아교사의 회복 탄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김주환(2011)이 개발한 성인용 회복탄력성(KRQ-53)를 사용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회복탄력성 정도는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 타났으며 행복플로리시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 입, 행복플로리시, 회복탄력성은 서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사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행복플로리시 하위요인 중 회복탄력성이 긍정적 정서, 긍정적 관계, 삶의 만 족도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였으나 몰입, 의미, 성취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ir flourishing on teaching flow. 36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we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ir own teaching flow, flourishing, resilience wa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eaching flow and flourishing, teaching flow and resilience, flourishing and resilience. Finally, the resili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eaching flow and flourishing.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expected to suggest how to promote the flouris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강점활용에 미치는 영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탁정화 ( Tak Jeong Hw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가 강점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삶의 만족도와 강점활용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25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SPSS window version 25.0과 PROCESS macro version 3.5.3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에 대한 삶의 만족도, 강점활용, 성장마인드셋은 상호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삶의 만족도와 고정마인드셋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성장마인드셋은 강점활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성장마인드셋의 상호작용항은 강점활용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장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조절변수 값에 대한 성장마인드셋의 조건부 효과를 살펴보면, 성장마인드셋의 상집단(M+1SD)을 제외한 평균(M)과 하집단(M-1SD)에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는 강점활용에 영향을 미치며, 삶의 만족도는 성장마인드셋과 상호작용하여 강점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trength use in fixed mindset and growth mindset, and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sets on the relationship. Data from 225 survey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SPSS window version 22.0 and PROCESS macro version 3.5.3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ife satisfaction, strength use and growth mindset. Seco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growth mindset had a positive effect on strength use, and thus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trength use was verified. The conditional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derating variable value were significant when the growth mindset was low(M-1SD) and average(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wer the growth mindset, the higher the conditional effect of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model for strength use using the growth mindse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