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교육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지식 비교

        추상희 ( Sang Hui Chu ),김은정 ( Eun Jung Kim ),박규리 ( Geu Lee Park ),김두리 ( Doo Ree Kim ),안지현 ( Ji Hyoun A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본 연구는 임상시험 전문인력의 주요 예비 후보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및 지식 특히, 임상시험 관련 프로그램 참여경험 여부에 따라 인식 및 지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반면 호감도 및 안전성은 중간정도의 점수로 나타났다. 임상시험에 대한 강의의 필요성 및 미래전망도 중간정도의 점수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Chu 등(2009)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일반인, 임상시험 참여자,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던 Chu 등(2009)의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 시험에 대한 호감도는 일반인의 호감도보다 높고 임상시험 참여자의 호감도보다는 낮았다. 필요성 및 안전성 또한 일반인보다는 높으나 임상시험 참여자보다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임상연구 참여자만큼 구체적이진 않지만 일반인보다는 임상시험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Chu 등(2009)의 연구결과에서 일반인의 27%에서 임상시험이라는 말을 처음 들어본다고 한 반면, 간호대학생은 모두 들어본 적이 있다고 했기 때문이다. 한편, 임상시험관련 교육과정 참여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임상시험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임상시험에 대한 호감도와 안전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대했던 바, 임상시험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이 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임상시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육 참여군이 비참 여군보다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참여군에서도 높은 점수로 필요성을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임상시험에 대한 우리나라의 미래전망과 연구간호사로의 근무의향은 일회성의 단편적인 교육만으로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서는 학부의 교과과정에 임상시험 관련내용 및 윤리를 다룰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식에 대해서는 임상시험에 대한 정보가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에 따라 임상시험에 대한 이미지가 관련이 있으므로(Chu et al., 2009) 올바른 정보가 중요하다. 임상시험에 대한 지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임상시험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라 지식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설문조사가 교육과정이 끝나고 한 달 정도 지난 다음 이루어졌기 때문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임상시험 관련 교육 직후 설문조사를 했던 Cheong (2009)의 연구결과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에 대한 이해, 관리기준 및 윤리적인 측면에서의 점수가 교육 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 특이한 점은 응답자의 절반 정도에서 주치의가 환자에게 임상시험 참여를 설득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국민 정서상 의사와 환자관계를 수직으로 보고 있음을 반영한다 하겠다. 이러한 특징은 일본에서도 나타나는데 Asai 등(2004)의 연구에서 환자가 임상시험에 참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의사와 환자의 동등치 못한 관계로 나타났다. 아직은 연구자인 의사가 환자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는 상황에서 연구자는 일반인 또는 피험자의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이해하고 동등한 위치에서 신뢰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자와 피험자 사이에 있는 연구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연구간호사는 연구의 장점과 피험자의 권위를 보호하는 옹호자 역할의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점점 연구 윤리가 쟁점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부분에 대한 윤리의식과 교육이 요구되며 이는 학부 때부터 이루어져야 함이 강조되는 부분이다. 앞으로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 근무할 의향은 35.7%로 Chu 등 (2009)의 연구에서 63%이었던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Chu 등(2009)의 연구대상은 3, 4년제 간호학과 2학년으로 본 연구의 대상과는 제와 학년이 달라 결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이에 대해서는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임상시험 관련 프로그램 참여여 부에 따라서는 근무의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의 단편적인 교육만으로는 졸업후 진로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 하겠다. 본 연구 결과 임상시험 관련 직종에 근무하고 싶은 이유는 주로 적성과 미래전망 때문이었으며 이는 각각 ‘연구를 하고 싶어서’ 와 ‘제약회사와 같은 임상연구분야로 진출하고 싶어서’가 주요 근무 의도로 나타났던 Cheong (2009)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임상시험에 대해 아직은 생소한 상태에서 향후 발전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경제적 이득 때문에 근무의향이 있다고 답한 대상자는 한 명뿐이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연구간호사의 보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간호대학생이 직업선택에 있어 높은 임금과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Bang & Cho, 2008)을 고려하면, 아직은 국내 연구간호사의 역할 정립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임금과 안정성이 보장되어 있지 않는 상황(Kang et al., 2004)에서 간호대학생의 취업진로를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임상시험 관련 교육과정 전후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 및 지식의 정도를 측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과정의 효과를 제대로 측정했다고 볼 수 없다. 다만 부분적으로 교육과정 참여 경험이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 선정을 임의로 일개 대학으로 하여 조사한 바,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무리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 및 지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시험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시험 및 졸업 후 선택할 수 있는 분야인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영역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이러한 임상시험 관련 교육을 통하여 잠재적인 연구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은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임상시험 제도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전략의 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and knowledge regarding clinical trials, in particular, after a clinical trial education program (CTEP) among student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of 215 student nurses at a university in Seoul was us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Respondents had a high level of need for clinical trial and moderate levels in favorable image, safety, and need for education regarding clinical trial. The respon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TEP felt the clinical trial more favorable and safer than those who did no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cessity of clinical trials and need for education regarding clinical trial between the CTEP participation and no participation groups. Respondents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clinical trial, even though half of the respondents misunderstood that the physician can convince the subject to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between groups. One third of the respondents had an intention to work in the area related to clinical trial because of aptitude or future prospec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TEP might have an effect on student nurses` recognition rather than knowledge. The CTEP should be therefore developed targeting specific areas of misconceptions and recognition changes.

      • KCI등재

        옥살리플라틴 유도 말초신경독성 측정도구의 고찰

        추상희(Chu, Sang Hui),이윤주(Lee, Yoon Ju),이영주(Lee, Young Joo),Cleeland, Charles S. 한국간호과학회 201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5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various measures available for assessment of oxaliplatin-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OXLIPN) and to evaluate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each assessment tool.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existing measures for OXLIPN found in the databases of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RISS and KoreaMed. The quality of the 24 identified tools was evaluated based on their properties of measurement including conte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criterion validity, construct validity, reproducibility, responsiveness, floor-ceiling effects and interpretability. Results: Ten (41.7%) of the 24 tools were identified as specific measures for assessing OXLIPN and the most popular type of measures were clinical grading systems by clinicians (58.3%) and only 29.2% of measures were identified as patient reported outcome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 was National Cancer Institute–Common Toxicity Criteria (NCI-CTC), but the validity of NCI-CTC has not been reported appropriately. Overall, the Neuropathic Pain Symptom Inventory (NPSI) received the best psychometric scores, and the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ssessment Tool (CIPNAT)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ynaecologic Oncology Group–neurotoxicity-12 (FACT/GOG-Ntx-12) followed NPSI. Conclusion: To select appropriate measure, evidences should be accumulated through the clinical use of tools. Therefore, practitioner and researchers are urged to report relevant statistics required for the validation of the currently used measures for assessment of OXLIP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근감소증 유병률, 인지기능과의 관계 및 중재연구 동향:

        안수정(Ahn, Soojung),추상희(Chu, Sang Hui),정혜정(Jung, Hyejeong)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본 연구는 국내 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근감소증과 인지기능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 고찰이다. 본 연구의 선정 논문은 국내 외 문헌 중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근감소증의 유병률 또는 근감소증과 인지기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거나, 근감소증 완화 목적으로 시행된 중재 연구로, 총 43편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국내 외 근감소증의 유병률은 총 25편의 논문에서 2.5-42.4%의 다양한 범위로 보고되었으며,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한 6편의 논문 중 4편에서 근감소증과 인지기능 저하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보고되었다.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중재 연구 12편에서 근육량, 근력 또는 신체 기능 향상에 대한 중재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근감소증 결과지표로 인지기능 평가를 시행한 논문은 없었다. 지역사회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근감소증을 예방 및 개선하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진단을 적용한 지역 사회 내 근감소증 감시체계와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평가를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근감소증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기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근거를 생산하기 위해 지속적인 중재연구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This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tudies which reported prevalence rates of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lationships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or effective interventions in alleviated symptoms of sarcopenia were selected. Of 43 studies reviewed, prevalence rate of sarcopenia ranged from 2.5-42.4% in 25 studies, and 4 studie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Among 12 randomized-control trials (RCTs), exercise intervention was used in 2 studies; nutrition intervention in 6; and 4 studies included both the exercise and nutrition interventions. All interventional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n muscle mass, muscle strength, or physical function. However, only 6 studies met the high quality criteria of Risk of Bias, and there was no study which evaluated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Therefore,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lack of high-quality RCTs and exclusion of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in the research of sarcopenia. A comprehensive and sustained system including standardized sarcopenia screening, assessments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 programs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sarcopenia amongs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 KCI등재

        만성요통환자에서의 통증신념과 우울, 통증생활방해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김경아(Kyoung-A Kim),추상희(Sanghui Chu)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만성 요통 환자의 통증 신념과 우울, 통증 신념과 통증생활방해 사이의 통증대처(능동적 대처와 수동적 대처)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다중매개 효과는 Indirect SPSS macro (Bootsrapping)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증신념은 3.42 ± 9.67점이었고, 수동적 대처 29.68 ± 8.04점, 능동적 대처 25.49 ± 4.22점, 우울은 25.49 ± 11.56점, 통증생활방해는 46.94 ± 12.65점 이었으며, 이 5 가지 변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만성요통 환자의 통증신념과 우울 사이에서 수동적 대처와 능동적 대처의 다중매개효과는 (b=.453, 95% CI=.228, .703)로 유의하였다. 통증신념과 통증생활방해에서 수동적 대처와 능동적 대처의 다중매개효과는 (b=.285, 95% CI=.131, .519)로 유의하였다. 능동적인 대처 전략은 통증 신념과 우울, 통증생활방해 사이의 관계에 긍정적인 중재 효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수동적 대처 전략은 부정적인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능동적 대처를 늘리는 대처 전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coping strategies(active and passive) between pain beliefs and depression, pain disability among chronic back pain patients.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 21.0 program. Indirect SPSS macro(Bootsrapping)was used to analyze the multiple-mediation model of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n score for pain belief was 3.42±9.67, and he passive coping strategies was 29.68±8.04, active coping was 25.49±4.22.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25.49±11.56. The pain disability index was 46.94±12.65. It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5 variables.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passive coping and active coping on pain beliefs and depression were (b=.453, 95% CI=.228, .703) and on pain beliefs and pain disability were (b = .285, 95% CI = .131, .519)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active coping strategies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beliefs and depression, pain beliefs and pain disability. And passive coping strategies ha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Based on findings of this study, improving the active coping strategy programs or management is highly recommended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눈 간호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행 실태

        오의금(Oh Eui Geum),추상희(Chu Sang Hee),고일선(Ko Il Sun),이원희(Lee Won Hee),유지수(Yoo Ji Soo),김소선(Kim So Sun),유해영(Yoo Hae Young),송은경(Song Eun Kyeung),강세원(Kang Se Won),김복희(Kim Bok Hee),조경미(Cho Kyong Mi),최정민(Choi 기본간호학회 2007 기본간호학회지 Vol.1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knowledge, perception, and practice of eye care as part of nursing care in the ICU. Metho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69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the ICUs of fiv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Between November 2005 and December 2005,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In general, levels of knowledge of nursing care for the eyes were moderate among ICU nurses, but levels of perception of nursing care for the eyes were very high. Of the respondents, 61.7% reported that they would consult a doctor whenever they found an eye problem. Only 42.4% nurses answered that they provide eye care as part of the daily routine and 43.9% nurses responded that they cleanse the eye lids with wet saline gauze. In regression analysis, the practice of eye care as part of nurs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ption of nursing care for the eyes, and knowledge of interventions for nursing care for the ey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on care of the eyes for ICU nurses and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eye care protocol should be done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care in the ICU.

      • KCI등재

        대장직장암 환자의 영양위험, 신체활동량과 삶의 질

        김희정(Kim, Hee Jung),추상희(Chu, Sang Hui),유지수(Yoo, Ji Soo),김남규(Kim, Nam Kyu) 대한종양간호학회 2014 Asian Oncology Nursing Vol.14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risk,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QoL) and the interaction of these factor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colorectal cancer patients receiving follow-up treatment at the colorectal cancer outpatient clinic of Severance Hospital in Seou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October 25 to November 30, 2010.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Nutritional Risk Score (NRS),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s for Colorectal Cancer (FACT-C). Results: NR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low BMI (F=18.63, p<.001) and those who were underwent colorectal surgery within 1 month (F=5.96, p<.001). Physical activity level of the participants was 28.96METs. Lower nutritional risk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QoL (r= - .34, p<.001).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dictors of QoL were the age, economic status, and nutritional risk of the patient (R²=40.0%). Conclusions: Targeted tailored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assess nutritional risks in order to improve colorectal cancer patients’ QoL.

      • KCI등재

        노화관련 질환에서 mTOR의 억제제의 임상적 적용과 가능성

        신현영(Hyun-Young Shin),추상희(Sang Hui Chu),이향규(Hyangkyu Lee),이지원(Ji Wo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2 No.4

        mTOR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는 PI3K-related family kinase에 속하는 serine/threonine kinase로 성장인자(growth factor)와 영양, 스트레스 자극에 의하여 세포의 성장과 증식, 자가포식(autophagy),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mTOR 억제제는 현재 면역억제의 역할 때문에 신이식을 받은 환자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 암에서 항암작용이 증명되어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암질환에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mTOR 기전은 비만,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의 노화관련 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을 뿐 아니라, mTOR 억제제의 직접적인 수명연장 가능성이 제시되어 많은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노화와 관련된 mTOR 메커니즘 연구는 아직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면역억제를 할 경우 생길 수 있는 감염의 증가 등 mTOR 억제제 관련 부작용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향후 mTOR 억제제 관련 연구는 건강한 수명연장을 위해 기반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mTOR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is a serine/threonine kinase belonging to the PI3K (phosphoinositide 3-kinase)-related family kinase. mTOR is known to regulate cell growth, proliferation, autophagy and protein synthesis in response to growth factor, nutrient, stress. mTOR inhibitor has been broadly used as an immunosuppressant for kidney transplant patients. Clinical results of the data have showed mTOR inhibitor as an anticancer agent to several kinds of cancers and many clinical trials are still undergoing. Recently, mTOR signaling pathway has been studied with, not only metabolic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which are related to the ageing proces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direct prolongation of human life. However, the studies of mTOR pathway with age-related disease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we need more studies about increasing infectivity after immunosuppression and other adverse events of mTOR inhibitor. In this article, we will review age-related disease with mTOR pathway and discuss mTOR inhibitor as a potential agent for extending healthy life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강수연(Kang, Su Yeon),추상희(Chu, Sang Hui),김경아(Kim, Kyoung 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Kirkpatrick 평가 모델에 근거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성과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 검색은 2019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국외 데이터베이스 Cochrane Central, PubMed, EMBASE, CINAHL을 이용하였고 국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를 이용하여 2020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실시하였다. 문헌 검색의 핵심어는 ‘nursing student*’, ‘leadership program’, ‘leadership curriculum’, ‘leadership course’, ‘leadership education’을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총 2076편의 논문 중 선정 기준에 따라 10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 리더십 교육은 주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주로 사용된 교육 방법은 토의였고, 9편의 연구에서 Kirkpatrick 평가 모델 중 1단계인 반응평가(Reaction)를 포함하여 2단계 학습평가(Learning)의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기술, 의사소통 능력, 임상지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규 교과과정과 비정규 교과과정 중 더 효과적인 리더십 교육 방법에 대한 효과비교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a structured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o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ers searched using the PubMed, EMBASE, CINAHL, Cochrane central, and RISS. Ten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4 of the 10 literature studies were pre-post, no control group and quasi-experimental. Leadership education was mainly conducted on fourth grade nursing students. The main training methods used were discussion, and leadership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measured as major learning outcomes. Conclusion: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have been identified as a way to effectively improve leadership skills, communication skills, management skill, and clinical knowledge, and to educate key capabilities that future nursing leaders should have.

      • KCI우수등재

        비파열성 뇌동맥류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박하영(Park, Hayoung),최진영(Choi, Jinyoung),추상희(Chu, Sang Hui) 기본간호학회 2020 기본간호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UI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 on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and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ISMA). To search studi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UIA. KoreaMed, Kmbase, Kiss, Pubmed, EMBASE, Cochrane Central and CINAHL were used. Key words were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A total of 136 studies were identified. After confirming duplication and abstracts, 15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UIA wer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factors, disease related factors, symptom related factors, and functional related factors. The Short form-36 w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s.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UIA, researchers need to explore the multipl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UIA, and consider application of tools that can reflect the disease specific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U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