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미 한인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주관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노룰루 거주 한인노인 중심으로

        최해경 ( Hae Kyung Choi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ccessful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derly Korean-Americans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concepts. Data were collected from 117 participants aged 60 and older in Honolulu, HI, USA. SPSS 19.0 software was used for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ata pertaining to successful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reports of successful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1) the mean score of successful aging as measured by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3.53 and that the mean score of subjective well-being using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was 10.21, indicating fairly good successful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2)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ves and the number of social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higher degrees of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Korean-Americans; (3) the high number for income sources,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ves, and the low number for chronic diseases wer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the Korean-Americans in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successful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n-American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성인 정신적 장애자녀 기여 요인이 고령부모의 돌봄 경험에 미치는 영향

        최해경(Choi, Hae Kyung),김정은(Kim, Jeong Eun),김현(Kim, Hyun)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0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 정신적 장애자녀를 돌보는 고령부모의 돌봄 경험을 돌봄 부담감과 돌봄 만족감 양 차원에서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와 장애 자녀의 기여 요인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과 세종 지역에서 19세 이상의 발달장애 자녀, 만성 정신질환으로 인한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55세 이상의 고령부모 13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해 SPSS 24.0을 이용한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령부모의 돌봄 부담감은 중간 값 2.5를 약간 상회하는 2.62(sd=.68), 돌봄 만족감은 중간 값 3에 약간 못 미치는 2.84(sd=1.03)로 보통 이상의 부담감과 보통 이하의 만족감을 경험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장애자녀 기여 요인 중 가족지지만 돌봄 부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돌봄 부담감이 낮았다. 셋째, 돌봄 만족감에는 장애자녀의 정서적 기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장애자녀의 정서적 기여 정도가 높을수록 돌봄 만족감이 높았다. 넷째, 통제변수 중 고령부모의 우울 수준, 신체건강, 자녀의 장애 유형, 장애자녀의 인지기능이 돌봄 부담감의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고, 고령부모의 신체건강과 우울 수준은 돌봄 만족감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적 장애가 있는 성인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돌봄 부담감 경감과 돌봄 만족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caregiver burden and caregiver satisfaction of older parents caring for mentally disabled adult child and to analys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disabled children’s contribu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35 parent caregivers. SPSS 24.0 software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burden score of older parents was 2.62 which is slightly above the median score(2.5), and their satisfaction score was 2.84 which is below the median score of 3.0. Family suppor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reducing the degree of caregiver burden. Disabled children’s emotional contribution to parent caregiver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creasing the degree of caregiver satisfac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parent’s depression level, parent’s physical health status, adult child’s disability type, and adult child’s cognitive func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caregiver burden. Parent’s depression level and physical health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giver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reduce caregiver burden and increase caregiver satisfac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최해경(Hae Kyung Choi)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3

        본 연구는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정도와 이에 관련된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하는 목적을 가졌으며, 특히 조손가족의 사적, 공적 지지망이 조모의 우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육의표집으로 추출된 저소득층의 60세 이상 여성노인 96명을 연구대상으로 우울정도, 인구사회학적 배경, 손자녀 특성, 사회적 지지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Hudson의 GCS로 측정된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점수는 평균 58.1로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다. 우울의 정도가 심각하게 우려되는 35.0이넘는 비율은 92% 비율은 92%로 거의 모든 조물들의 우울정도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적 분석 결과 조모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변수 중에서는 조모의 건강상태만의 우울감과 유의미한 상관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이 나를수록 우울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손자녀 관련 변수 중에서는 양육을 맡게 된 것에 조모의 불만이 클수록, 손자녀와의 관계에 불만이 클수록 유의미하게 우울정도가 높았다. 사회적 가지 관련 변수 중에서는 사적 지지망 크기기 작은수록, 의논상대가 없는 경우 유의미하게 우울정도가 높았다. 한편 민간기관과 정부기관으로부터의 지원인 공적 지지망 크기는 조모의 우울감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분석결과 조모의 우울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양육만족도, 건강상태, 사적 지지망 크기였으며, 이 세 변수들 우울감의 변량 중 45.3%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양육을 맡게 된 것에 불만이 많은, 건강상태가 나쁜, 사적 지지망이 양적으로 빈약한 조모들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서비스나 프로그램의 일차적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저소득 총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과 확대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depression in low incom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n parent-absent households and its related factors. For this purpose , the survey date were collected from 96 grandmother kinship care providers. The study generated several findings. First, grandmothers' mean score of depression measured by Hudson's Generalized Contentment Scale(GCS) was 58.1 what suggests very high level of depression. A remarkable 92% of the grandmothers were suffering from a severe depression. Second, the worse the physical health condition of grandmother,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grandmother experienced. Also, grandmothers who reported less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ing role and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tended to experienc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ird, grandmothers who reported smaller size of informal support network and the lack of consulting person tended to experienc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is study, however, found that the number of formal social services used by grandmothers was not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on. Fourt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andmother'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ing role, physical health condition, and size of informal support network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evel of depression. They accounted 45.3% of the variance of depression.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low incom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과 예측요인

        최해경(Hae Kyung Choi)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력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그 예측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천안시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대학, 경로당 등의 협조를 받아 유의표집으로 65세 이상 노인 3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0을 이용해 기술통계분석,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 노인의 29.1%가 불충분한 건강정보이해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력의 유의미한 예측요인은 가능 요인 중에서는 교육수준과 건강 관련 매체 활용이었는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 관련 매체 활용을 많이 할수록 건강정보이해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욕구 요인 중에서는 노인의 우울 수준이 유의미한 예측 요인으로,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정보이해력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적지 않은 노인들이 불충분한 건강정보이해력을 갖고 있으며 교육수준, 건강 관련 매체 활용이라는 가능 요인과 노인우울과 같은 욕구 요인이 건강정보이해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literacy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and its predicting 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persons aged 65+ with the cooperation of social service centers for the aged, education centers for the aged, and senior cent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ejong City, and Cheonan City. SPSS 26.0 software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portion of elderly subjects who had insufficient health literacy was 29.1%; (2) education level and media utiliz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ealth literacy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3) the lower depression score the elderly had, the higher their health literacy was.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to improve community dwelling elderly’s health literac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

        최해경(Hae-Kyung Choi),김정은(Jeong-E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천안시와 옥천군)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회 등의 협조를 받아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461명을 유의표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t-검증과 교차분석, 상관 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성별로 이원적 분석을 했을 때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개인 자원, 사회적 관계망, 자녀와의 관계 변수들을 포함한 다중분석 결과에서는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남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간결하여 친구지지, 정기모임 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다. 남성노인과 비교해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훨씬 다양한 요소들로 나타났는데 부모-자녀갈등, 친구지지, 월 소득, 건강상태, 자녀에 대한 지원, 자녀로부터 받는 도움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 차이를 고려한 남녀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 of community-residing elderly’s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461 elders aged 60+ with the cooperation of several social service center for the aged, senior centers, and senior citizen associat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mngnam-do(Cheonan-si and Okcheon-gun). SPSS 22.0 software was used for t-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in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sociodemographic factors, social network and relationship with children variables, but no difference in bivariate analysi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ty-residing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A few factors like friend support, number of regular social gathering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male elderly’s life satisfaction. Predictors of female elderly’s life satisfaction which were perceived elderly parent-children conflict, friend support, monthly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support to children, support from children were more diverse, compared to the predictors for male elderly’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community-residing elderly’s life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gender differ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 실태와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해경(Hae-Kyung Choi)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손가족의 사회적 지지 실태와 사회적 지지가 조부모의 신체 및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미성년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대전지역 조손가족 조부모 141명이 연구대상이었다. 분석결과 조손가족은 주로 공적 지지망에 의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응답자 중 82.3%가 한 가지 활동 이상에 제약이 있을 정도로 조부모의 신체건강이 문제가 있었으며, CES-D로 측정된 우울정도는 평균 27.4로 중등도의 심리적 고통을 느끼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요인 중 조부모의 성별, 자녀수, 가사일 부담이 신체적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일상활동제약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고, 월평균소득, 손자녀 양육기간, 자녀수, 경제적 곤란, 가사일 부담, 사회적 제약이 조부모의 정신건강을 나타내는 우울 정도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다. 사회적 지지와 관련해서는 친구 혹은 이웃으로부터의 지원에 대해 양적으로 충분하다고 여길수록, 친구 혹은 이웃으로부터의 지원에 대해 만족할수록, 종교단체로부터의 지원에 대해 만족할수록 일상활동 제약이 유의미하게 덜 한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 혹은 이웃으로부터의 받는 지원유형수가 많을수록, 사회복지기관으로부터 받는 지원유형수가 많을수록 우울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정부로부터의 지원에 대해 만족할수록 우울정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손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or grandparent-headed families and its effects on the grandpar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141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tudy generated several findings. First, grandparent-headed families tended to rely on formal support system rather than informal one. Second, grandparent's physical health was found to be very poor that 82.3% of the grandparents reportedly needed some assistance in at least one ADL, and their mean score of depression measured by CES-D was 27.4, indicating a moderate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Third, among the sociodemographic and stressor variables, grandparents' sex, the number of their children and household keeping burd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ADL restriction. As for depression level of the grandparents, their monthly income, parenting duration, the number of their children, economic difficulties, household keeping burden and social restric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grandparents who reported of having more social support from their friends,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friends' social support and also of being satisfied with social support from their religious associations tended to experience significantly less ADL restrictions. The more kinds of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friends and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he less satisfied they were with social support from governmental sector, the higher their depression level wa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for grandparent-headed famil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