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인간 인지적 문제해결훈련이 발달지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세민 ( Choi Se Mi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대인간 인지적 문제해결훈련이 발달지체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받고있는 발달지체유아 26명으로 하였다.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들을 대인간인지문제 해결훈련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다음 각 집단에 13명씩 배치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간 인지적 문제해결훈련은 발달지체유아의 긍정적인 문제해결방안을 증진시키고 부정적인 문제해결방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간 인지적 문제해결훈련은 발달지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그리고 학교적응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on developmental delayed young children. This study focuses on 26 developmental delayed preschoolers in integrated classroom of nursery school in Seoul. From the group, developmental delayed young children were divid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 A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raining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developmental delayed young children. 2.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raining had an effect on improving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developmental delayed young children. 3.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raining had an effect on peer relationship of developmental delayed young children. 4.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raining had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bility of developmental delayed young children.

      • KCI등재

        모의 장애체험 활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개선에 미치는 효과

        최세민 ( Choi Se Min ),김희규 ( Kim Hee Gyu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개선을 위해 모의 장애체험 활동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Y초등학교 1, 3, 5학년 학생 7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개선을 위한 모의 장애체험 활동은 일반아동 태도의 인지적인 요인과 행동적 요인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의 장애체험 활동은 일반아동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과 편견을 개선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일반아동이 장애아동과의 통합된 환경에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화된 태도개선 전략은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 태도를 갖게 하고 장애를 가진 또래와 통합된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ability simulation activi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improvement toward the disabl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sampled 78 children among the one of that elementary7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disability simulation activi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improvement was positive in both perceptual factors and behavioral factors.

      • KCI등재

        장애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의 수용태도

        최세민 ( Choi Se Min ),김희규 ( Kim Hee Gyu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장애아동에 대한 초등학교아동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아동 243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것이다. 연구 결과 장애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아동의 태도는 학교생활, 개인생활, 취미오락생활 영역간에 차이가 있으며, 학교생활영역에서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 취미 오락생활에서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생활영역과 학교생활, 개인생활, 취미오락생활영역에서 아동들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생활영역과 학교생활, 개인생활, 취미오락생활 영역에서 1학년아동이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 3학년 아동은 보통 수준의 반응을 나타냈고, 5학년 아동은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한편, 전체생활영역과 학교생활, 개인생활, 취미오락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regular classroom children toward handicapped pe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s to gender difference, grade differenc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243 children of the regular classes of 1th, 3th, 5th grades. ANOVA was used for analysis of data about difference of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attitudes between 3 groups, t-test was used for analysis of data about difference of sex.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5th, 3th, and 1th grades felt much negative in that order of intensity. Older children possess less favorable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n do younger children; (b)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 KCI등재
      • KCI등재

        인형극을 통한 역할놀이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

        최세민 ( Choi Se Mi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인형극을 통한 역할놀이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발달지체유아 20명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상 이들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배치하고 실험집단에는 인형극을 통한 역할놀이 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자유놀이 활동을 실시한 다음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형극을 통한 역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시작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형극을 통한 역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긍정 반응을 증진시키고 부정반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인형극을 통한 역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기술을 확장시키는데 효과적 이었다. 넷째, 인형극을 통한 역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지속시간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play using puppet performance on the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wenty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integrated preschool classroom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ti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and experimental.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free play activities while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role play using puppet performanc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role play using puppet performanc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initiation and positive respons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in the role play group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nitiation and positive response than children in the free play group. Second, the role play using puppet performance was effective in decreasing negative respons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children in the role play group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negative response than the children in the free play group. Third, role play using puppet performance was effective in expending social skills and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tim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in the role play group spent longer hours in social interaction while actively interacting with other children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치료적 음악활동이 자폐성장애아동의 부적응행동감소에 미치는 영향

        최세민 ( Choi Se Min ),정현주 ( Chung Hyun Ju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치료적 음악활동이 자폐성장애아동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것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아교육기관에서 교육받고 있는 4명의 자폐성 장애아동 이었으며, 이들에게 치료적 음악활동을 24회기 동안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음악활동은 매 회기 30분씩 총 24 세션을 실시하였으며, 치료 시기별로 8회씩 3기로 나누어 1기와 2기는 개별 치료를 실시하고 3기는 2명씩 그룹치료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적 음악활동은 자폐성장애아동의 상동행동과 과잉행동 그리고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inappropriate behaviors of autistic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autistic children who attended a school for the disabl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24 session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terms with eight sessions each, and each session run 30 minutes. The individual treatment wa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s, and a paired group treatment was offered in the third phase.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music therapy had an effect on alleviating the repeated activities, hyperactivities and aggressive activities of the autistic children.

      • KCI등재

        중학교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실태분석

        최세민 ( Se Min Choi ),손영수 ( Young Su 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기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설문과 질적 면담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이론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의사결정 방식에문제가 있으며, 교육과정 운영시 특수교육교사와 일반교육교사의 협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전문성제고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관련인사들의 적극적 참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단평가위원회와 개별화교육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평가 위원회와 개별화 교육위원회가 특수학급 학생의 진단이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시 실제적인 역할을 할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과 활용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장단기 목표 진술방법이나 평가방법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장학이나 교과교육연구회 등을 통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방법 및 활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급 학생 지도시 활용가능한 교수-학습자료가 부족하고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특별활동 및 재량 활동시 지도 교사와 동료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활동시 장애학생의 의견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과 재량 활동시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교육과 더불어 장애학생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애학생 전환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더불어 특수학급학생의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class were compiled and applied in Seoul and what problems they were faced wit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special-class curriculum, and there was neither enough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nor adequate connection between special class curriculum and regular curriculum, either. Second, as for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assessment committees and board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existed just for form``s sake. The way to map ou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to carry them out was not efficient. Third, concerning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activities for students in special clas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appeared not to be satisfactory. Fourth,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discretion courses were provided without having a full understanding of disabled students nor considering their opinions. Seven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s were not sufficient enough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pecial class. To improvement the situation, specific guidelines about academic,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which are the basis of special-class curricula, should be prepared. Second, how to apply special-class curriculum should be determined in detail. Proper teaching methods should be selected for different areas, and in which way curricular should be modified should be decided. Besides, a wide variety of materials about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hird, in which direction evaluation should be led and relevant guidelines should be determined. What and how to evaluate should be presented, and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s also should be supplied. In additio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applicable to students in special class should be introduc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