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전도성 고분자와 Al재질의 Heat Sink 방열 성능 비교 분석

        최두호,최원호,조주웅,박대희,Choi, Doo-Ho,Choi, Won-Ho,Jo, Ju-Ung,Park, Dae-He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rmal dissipation materials for the lighting and radiate efficiency improvement of 8W LED and confirming the properness of the thermal dissipation materials for LED heat sink. Solid Works flow simulation on 8W class COB was done bas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rmal conductive polymer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imulation, Al had better thermal dissipation performance than PET. Highest temperature was $7.6^{\circ}C$ higher while lowest temperature was $7.8^{\circ}C$ lower. The test on the heat sinks made by the materials, highest temperature was $4.1^{\circ}C$ higher and lowest temperature was $3.9^{\circ}C$ low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Al heat sink has better thermal dissipation efficiency because it has better dispersion of heat generated at junction temperature and less heat cohesion. The weight of PET heat sink was reduced than Al heat sink by 46.9% by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Al and PET. In conclusion, thermal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rmal conductive polymer is lower than Al material however, it is possible to lighting heat sink because thermal conductive polymer has better formability, has lower specific weight and enables various design options.

      • SCOPUSKCI등재

        한국의 젊은 여성유방암 환자에서 BRCA 배선유전자 돌연변이는 예후인자인가?

        최두호,이민혁,Choi Doo Ho,Lee Min Hyuk,Haffty Bruce 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적: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유방암 유전자 (BRCA)가 예후인자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가족력과 관계없이 40세 이하의 환자를 선택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8~40세이었고 중앙값은 34.5세이었다.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림프구를 모아 DNA를 추출하였으며 BRCA1과 BRCA2의 모든 염기 중에서 기능과 관계 있는 부위의 DNA를 직접염기서열 결정방식으로 검사하였다. 조직표본 검사가 가능한 환자는 면역화학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명의 환자 중에서 유방암 발생과 직접 관계가 있는 돌연변이가 11개(18.3%) 있었고(BRCA1 6명, BRCA2 5명), 의미를 알기가 곤란한 돌연변이가 7개 있었으며 반 수 이상의 돌연변이는 이제까지 보고되지 않은 것이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돌연변이 환자는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가족력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방암 유전자 돌연변이 환자는 한 명도 치료의 실패가 없었으며 한 면에서 반대측 유방암이 발생하였다. 7년 무병 생존율은 돌연변이 환자에서 50%, 돌연변이와 관계가 없는 환자에서 79%이었고 차이는 없었다. BRCA 관련 종양에서 에스트로젠, 프로제스테론 수용체 음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조직학적 분화도가 낮았으나 예후는 비교대상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결론: 한국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는 예후가 인자가 있어도 재발률이 낮았으며 유전자 돌연변이 이환율이 높았으나 암의 발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환자 집단과 오랜 추적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re were prognostic differences between BRCA related and BRCA non-related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women who had developed breast cancers before the age of 40, and who were treated at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independently of their family histories. The age range was 18 to 40 with a median of 34.5 years. Lymphocyte specimens from peripheral blood were studied for the heterozygous mutations of BRCA1 and BRCA2 using direct sequencing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was peformed on the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that were available. Results: Eleven deleterious mutations (18.3%, 6 in BRCA1 and 5 in BRCA2) and 7 missense mutations of unknown significance (11.7%), were found among the 60 patients. More than half of the mutation were novel, and were not reported in the database. Most of the BRCA-associated patients had no history of breast cancer. No treatment related failures were observed in the BRCA carriers, with the exception of one patient that had experienced a new primary tumor of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seven year relapse free survival rate were 50 and 79% In the BRCA carrier and BRCA negative patients, respectively. Although the 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ere less common, and histological features more aggressive, in the BRCA associated tumors, the outcome of the patients with BRCA mutations was not poorer than that on the patients without deleterious mutations. Conclusion.: Despite the BRCA mutation carriers having adverse prognostic features, the recurrence rat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in the BRCA non-carrying Korean patients wi4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In addit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the BRCA mutation in Korean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in white patients, the penetrance of the cancer seemed to be relatively low in Korean women carrying BRCA mutations. A large population based study of the BRCA mutation, with a long-term follow-up of the study patient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

        도시조직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공동주택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강일2지구 공동주택 현상안 분석을 중심으로 -

        최두호,이주형,Choi, Doo-Ho,Lee, Joo-Hyung 한국주거학회 2006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7 No.6

        In the planning process, there are five directions to planning residential sites. Firstly, the site must be planned to allow continuity with the city space, or created to conform to the city structure. Secondly, plans for community space and programs as well as convenience facilities must coexist in the road space. Thirdly, in terms of view, the site must be planned in territories to secure identity of the site. Fourthly, in terms of the environment, the site should utilize the natural environment. Lastly, in terms of infrastructure, the site should include a pedestrian-centered road system as well as establishing 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a combined planning in the municipal dimension. So far we have looked at planning methods for an apartment site that can be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city. The study into five elements to planning a large-scale apartment site, context, community, landscap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and their relationship among each other must continue on.

      • SCOPUSKCI등재

        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Radic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최두호(Doo Ho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4

        목 적 : 근치적 절제술과 골반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에서 치료실패의 위험인자가 있어서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성적, 예후인자, 실패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FIGO 병기 IB, IIA와 IIB 환자 중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1985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최소 추적기간은 24개월이었다. 모든 환자는 4-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방사선치료를 전골반에 50-60Gy를 조사하였고 일부 환자는 코발트를 이용한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5.4%, 73.5%였고, 단변수 분석상 5년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림프절 전이 유무, 개수와 위치, 종양의 크기, 자궁체부 침윤, 자궁주위조직 침윤, 병기, 자궁경부벽 침윤정도, 질 절제면 양성, 그리고 치료 관계 인자로 방사선량, 강내치료, 항암제 등이 통계상 유의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상 림프절 전이와 종양의 크기, 질 절제면 양성이 유의하였다. 치료 실패는 33명이었고 2명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고 부위별로는 국소재발이 13명, 원격전이 13명 국소-원격 동시 실패가 7명이었고 추적 종료시점까지 5명이 생존하였다. 국소재발은 병기 IIB, 림프절 전이 양성 또는 질 절제면 양성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림프절 전이 음성환자에서는 빈도는 낮았으나 원격전이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그리고 병기 IIB에서 5년 생존율은 56% 였고 22명 중에서 9명이 재발하였다. 결 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비교적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다수의 재발 위험인자들을 가진 환자에게 술후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재발을 막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방사선감작제의 추가나 동시 방사선-항암치료 등의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술후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정하기 위하여 무작위 표본 추출에 의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병기 IIB는 항암치료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해도 치료 성적이 나쁘므로 일차적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Purpose : To identify variable prognostic factors and analyse failure patterns in the uterine cervix cancer after radical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Materials and Methods : I analysed one hundred and twenty four patients with uterine cervix cancer, FIGO stage IB, IIA and IIB, treated with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between May 1985 and May 1994.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4 months. All of them were treated with full dose external radiotherapy with linear accelerator and/or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Results :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and relapse free survival rate were 75.4%, 73.5%, respective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relapse free survival were wall involvement thickness, lymph node location and number, parametrium involvement, tumor size, stage, uterine body involvement, vaginal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By multivariate analysis, lymph node metastasis, tumor size and vaginal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Treatment related failure were 33 cases. Locoregional failure were more likely in the stage IIB, lymph node positive or vaginal resection margin positive patients whereas distant failures were relatively more frequent in stage IB, IIA and lymph node, vaginal resection negative patients. In stage IIB, 5 year relapse free survival rate was only 56% and nine of twenty two patients recurred. Conclusion : Postoperative radiotherapy results are good for patients with relatively low risk factor. But the results are poor for patients with multiple, high risk factors or stage IIB. To control recurrence for patients with high risk factors,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s not sufficient treatment method. To raise control rate, adding other methods such as radiosensitizing agent or chemotherapy is necessary and prospectively randomized study is needed for evaluation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efficacy and /or other methods. And it is reasonable to treat primary radical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B cervical cancer instead of radical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and/or chemotherapy regimen.

      • SCOPUSKCI등재

        초기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최두호(Doo Ho Choi),허승재(Seung Jae H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1

        목 적 : 초기 자궁경부암은 수술과 방사선치료 모두 가능하며 결과도 비슷하다고 알려져있다. 이에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의 생존율, 실패율, 부작용등을 다른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IB 48명과 IIA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985년 11월 부터 1993년 5월 까지 등록된 환자들로 최소 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외부전골반 방사선치료를 40-50Gy 시행후 3가지 다른 1회 조사량으로 고선량 강내치료를 시행후, 추적조사하여 생존율, 실패양상과 합병증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2.3%, 72.8% 였으며 예후인자는 병기 병소의 크기, 병리조직 (선암), 방사선치료의 반응이었다. 19명의 치료실패가 있었으며 대부분 24개월이내에 발생하였다. Grade 2이상의 만성합병증은 방광이 8.8%, 직장이 15%, 모두 17.5% 였으며 발생율과 심한 정도는 강내치료 1회 조사량과 총 선량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초기 자궁암의 방사선치료는 수술의 결과와 비슷하였으며 예후가 나쁜환자는 결과가 안좋아서 더 적극적인 치료방법이 필요하며 만성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질 packing 등으로 주위조직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고 고선량 강내치료시 적절한 1회 조사량의 선택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survivals, patterns of failure, and complications of early uterine cervix cancer after cura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Eighty patients with uterine cervix cancer FIGO Stage IB (48 cases) and Stage IIA (32 cases) treated with radiotherap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Patients were treated from November 1985 to May 1993, and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4 months, and 6 cases were lost to follow up. All of them were treated with external radiotherapy and different fractions of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otherapy. Survival rates, failure patterns, complication rates and degrees of severity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veral factors. Results :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and relapse free survival rate were 72.3%, and 72.8% respectively. Prognostic factors were stage, size, pathology, RT respons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 among the reasons of radiotherapy choice. There were 19 cases of treatment failure, another 3 cases were not tumor related death, and most of treatment related failure occurred within 24 months. Late complication rate of bladder and rectum were 8.8%, 15% respectively, frequency and severity of complication were correlated with ICR fractionation dose and total dose.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survival rates of early stage radiation treated cervix cancer patients were comparable to surgical series, but more aggressive treatment methods needed for stage IIA poor prognostic patients. To decrease late complication, choice of proper ICR dose and meticulous vaginal packing is needed.

      • SCOPUSKCI등재

        Radiotherapy Results of Brain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Multiforme

        최두호(Doo Ho Choi),김일한(Il Han Kim),하성환(Sung Whan Ha),지제근(Je Geun Ch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6 No.2

        성상세포종과 교아세포종으로 1979년부터 1985년까지 7년간 서울대학교 치료방사선과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49명의 호나자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년 전체 생존율은 grade Ⅰ, Ⅱ, Ⅲ 성상세포종에 대해 각각 85.7%, 44.6%, 23.1%였으며, 교아세포종의 1년 및 2년 전체생존율은 각각 54.5%, 27.3%였다. 2. 종양의 분화도, 환자의 나이, 병소의 위치, 절제정더 등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49 patients with astrocytoma of glioblastoma multiforme of brain who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period between February 1979 and December 1985. Fourteen patients had grade I astrocytoma, 11 patients grade Ⅱ, 14 patients grade Ⅲ, and 10 patients glioblastoma multiforme. Three 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were 85.7%, 44.6% and 23.1% for grade Ⅰ,Ⅱ, and Ⅲ astrocytomas, respectively. One and 2 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for patients with glioblastoma multiforme were 54.5% and 27.3%, respectively. Histologic grade, age, extent of operation and tumor location were revealed to be prognosticators.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자궁경부암 방사선치료의 Patterns of Care Study 진행을 위한 문헌 비교 연구

        최두호(Doo Ho Choi),김은석(Eun Seog Kim),김용호(Yong Ho Kim),김진희(Jin Hee Kim),양대식(Dae Sik Yang),강승희(Seung Hee Kang),우홍균(Hong Gyun Wu),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2

        목 적: 한국인의 여성암 중에서 호발하는 암 중의 하나인 자궁경부암의 검사 및 치료 형태와 치료 결과가 발표된 연구 논문을 통해 분석하고 미국과 일본 자궁경부암의 Patterns of Care Study (PCS)와 비교하여 한국실정에 맞는 PCS 문항 개발의 진행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문헌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다.대상 및 방법: 외국의 PCS 관련 자료는 PCS 홈페이지에 소개된 212편의 논문 및 초록 중에서 자궁경부암및 PCS 구조부분의 논문(42편)과 최근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에서 연구된 것은 Korean Pub Med에서 자궁경부암과 방사선치료에 관한 자료를 구하고(99편) 외국 잡지에 발표된 것을 포함하여 PCS의 비교 대상을 선정하여 PCS의 구조(Structure), 진행(Process), 결과(Outcome) 의 순서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대에 따른 PCS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1980년대 이전과 1990년대 이후의 연구 결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결 과: 미국과 일본에서 자궁경부암의 PCS에 관한 논문이 각각 28편과 10편이 분석 가능하였고 한국은 73편이 PCS에서 다루는 항목을 포함하여 분석 가능하였다. 미국과 일본의 PCS는 공통적으로 치료기관의 규모, 의사 및 환자 수, 그리고 치료기관의 성격에 따라 계층화된 3∼4개의 구조로 나누고 연구 대상 환자를 엄격하게 제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진행을 위해 치료 전 병기 결정과정의 요소들을 나누고 시대에 따른 병기결정의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치료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인자들을 다루고 FIGO 병기 이외의 예후인자들도 자세히 분석하며 기계에 대한 비교분석이 잘 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과 일본의 PCS도 그 나라의 특성상 미국은 인종간의 특성, 사회경제적 계층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고 있으며, FIGO 병기에서 다루지 않은 종양의 크기(6편), 자궁방 또는 골반벽 침범이 한쪽 또는 양쪽으로 진행된 것에 따른 치료 결과의 분석이 활발하였고(5편), 일본은 종양표지자에 대한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병기 결정 과정에서 공통적인 시대적 변화는 창기의 림프과조영술, 바륨 관장술이 점차 사라지고 나중에 CT, MRI의 비중이 높아졌다. 한국 자료는 주로 일 기관에서 한 연구로 구조(Structure)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기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도 거의 분석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주제는 미국, 일본의 PCS에서 잘 다루지 않던 항암제의 병용 요법(9편), 치료기간(4편) 종양표지자(8편), 비전형적 분획 등을 다루고 있다. 론: 여러 나라의 문헌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에서 필요한 자궁경부암의 PCS를 이용한 문항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후속적인 연구로 진행될 근접치료기 사용 및 치료의 결과, 부작용 등의 비교 분석을 포함하여 한국형 자궁경부암 PCS에서 필요한 항목을 합의 도출하여 완성하였으며 이 내용을 토대로 향후 표준화된 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PCS가 진행될 수 있으며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부족했던 분야에 대해 교정할 수 있는 교육적인 목적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Uterine cervix cancer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women cancer in Korea. We analysed published papers in Korea with comparing Patterns of Care Study (PCS) articles of United States and Japa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processing Korean PCS.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PCS related foreign-produced papers in the PCS homepage (212 articles and abstracts) and from the Pub Med to find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PCS. To compare their study with Korean papers, we used the internet site “Korean Pub Med” to search 99 articles regarding uterine cervix cancer and radiation therapy. We analysed Korean paper by comparing them with selected PCS papers regarding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and compared their items between the period of before 1980's and 1990's. Results: Evaluable papers were 28 from United States, 10 from the Japan and 73 from the Korea which treated cervix PCS items. PCS papers for United States and Japan commonly stratified into 3∼4 categories on the bases of the scales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numbers of the patients, doctors. Researchers restricted eligible patients strictly. For the process of the study, they analysed factors regarding pretreatment staging in chronological order, treatment related factors, factors in addition to FIGO staging and treatment machine. Papers in United States dealt with raci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tumor size (6), and bilaterality of parametrial or pelvic side wall invasion (5), whereas papers from Japan treated of the tumor markers. The common trend in the process of staging work-up was decreased use of lymphangiogram, barium enema and increased use of CT and MRI over the times. The recent subject from the Korean papers dealt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9 papers), treatment duration (4), tumor markers (8) and unconventional fractionation. Conclusion: By comparing papers among 3 nations, we collected items for Korean uterine cervix cancer PCS. By consensus meeting and close communication, survey items for cervix cancer PCS were developed to measur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of the radiation treatment of the cervix cancer. Subsequent future research will focus on the use of brachytherapy and its impact on outcome including complications. These finding and future PCS studies will direc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correcting identified deficits in care.

      • SCOPUSKCI등재

        Is the BRCA Germline Mutation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최두호(Doo Ho Choi),이민혁(Min Hyuk Lee),Bruce G. Haffty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 적: 한국인 젊은 여성유방암 환자에서 유방암 유전자 (BRCA)가 예후인자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중에서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가족력과 관계없이 40세이하의 환자를 선택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8˜40세이었고 중앙값은 34.5세이었다.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림프구를 모아 DNA를 추출하였으며 BRCA1과 BRCA2의 모든 염기 중에서 기능과 관계있는 부위의 DNA를 직접염기서열 결정방식으로 검사하였다.조직표본 검사가 가능한 환자는 면역화학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60명의 환자 중에서 유방암 발생과 직접 관계가 있는 돌연변이가 11개(18.3%)있었고(BRCA1 6명, BRCA 25명),의미를알기가 곤란한 돌연변이가 7개 있었으며 반 수 이상의 돌연변이는 이제까지 보고되지 않은 것이었다.그리고 대부분의 돌연변이 환자는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가족력이 관찰되지 않았다.유방암 유전자 돌연변이 환자는 한 명도 치료의 실패가 없었으며 한 명에서 반대측 유방암이 발생하였다. 7년 무병 생존율은 돌연변이 환자에서 50%, 돌연변이와 관계가 없는 환자에서 79%이었고 차이는 없었다. BRCA 관련 종양에서 에스트로젠, 프로제스테론 수용체 음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조직학적 분화도가 낮았으나 예후는 비교대상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결 론: 한국의 젊은여성 유방암 환자는 예후가인자가 있어도 재발률이 낮았으며 유전자 돌연변이 이환율이 높았으나 암의 발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환자 집단과 오랜 추적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re were prognostic differences between BRCA related and BRCA non-related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women who had developed breast cancers before the age of 40, and who were treated at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independently of their family histories. The age range was 18 to 40 with a median of 34.5 years. Lymphocyte specimens from peripheral blood were studied for the heterozygous mutations of BRCA1 and BRCA2 using direct sequencing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the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that were available. Results: Eleven deleterious mutations (18.3%, 6 in BRCA1 and 5 in BRCA2) and 7 missense mutations ofunknown significance (11.7%), were found among the 60 patients.Morethan half of the mutation were novel, and were not reported in the database. Most of the BRCA-associated patients had no history of breast cancer. No treatment related failures were observed in the BRCA carriers, with the exception of one patientthat had experienced a new primary tumor of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seven year relapse free survival rate were 50 and 79% in the BRCA carrier and BRCA negative patients, respectively. Although the 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ere less common, and histological features more aggressive, in the BRCA associated tumors, the outcome of the patients with BRCA mutations was not poor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out deleterious mutations. Conclusion: Despite the BRCA mutation carriers having adverse prognostic features, the recurrence rat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in the BRCA non-carrying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In addit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the BRCA mutation in Korean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in white patients, the penetrance ofthecancer seemed to be relatively low in Korean women carrying BRCA mutations. A large population basedstudy of the BRCA mutation, with a long-term follow-up of the study patient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

        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와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최두호(Doo Ho Choi),진소영(So Young Jin),이동화(Dong Wha Lee),김은석(Eun Seog Kim),김용호(Yong H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1

        목 적: 40세 이하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는 나이 든 여성 보다 BRCA1과 BRCA2 배선돌연변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거나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백인 여성들의 BRCA1/2 돌연변이 암에 대한연구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BRCA1/2 돌연변이 음성인 암과 다른 특성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가족력과 관계없이 젊은 나이에 유방암이 발생한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BRCA1/2 돌연변이 유뮤에 따라, 그리고BRCA1과 BRCA2 각각의 돌연변이에 따라 면역조직화학적 특성으로 상호간의 구별이 가능한지, 면역조직화학적검사로 BRCA1/2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 가능한지를 조사하는데 있으며 BRCA와 관련된 암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BRCA1/2 검사를 시행한 40세 이하의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의 유방암 수술 후 병리조직을 찾아서 조직미세배열법으로 슬라이드를 만들었다. 이 검체들의 병리조직, 등급, 림프절 전이, T 병기,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상태와 BRCA1/2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환자들의 BRCA 돌연변이 상태와 면역조직학적, 병리학적 상태와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도 조사하였다. 결 과: BRCA1/2 돌연변이를 조사한 101명 중 14명에서 16개의 돌연변이가 있었으며(13.9%), 유방암-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4/14, 28.6%), 양측성 유방암이 있는 경우(3/9, 33.3%)에 BRCA1/2 돌연변이 빈도가 높았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인 경우 BRCA1/2 양성이 19.4% (12/62)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비율 5.1% (2/3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38), HER-2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 음성 비율이 16.5% (13/79)로 양성 비율 4.5% (1/22)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p=0.073),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차이가 없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모두 음성인 경우(triple negative)는 BRCA1/2 돌연변이 비율이 24.2% (8/33)로 매우 높았 다.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상태, HER-2 상태는 단변량 변수와 다변량 변수 모두에서 무병 생존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인자 이었으나 BRCA1/2 돌연변이 상태는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가 아니었다. 결 론: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나 HER-2 음성을 보이는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까지 모두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가 있을 확률이 24.2%로 높아서 유방암 유전자 돌연변이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상태가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는 아니었으나 좀 더 많은 환자와 긴 추적관찰 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an age of 40 years or younger have a greater prevalence of germline BRCA1 and BRCA2 mutations than the preval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older ages. Several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in breast cancers from studies of Caucasian women with BRCA1/2 mutations having familial or early-onset breast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early-onset breast cancer in BRCA1 or BRCA2 mutation carriers, who were not selected from a family history, could be distinguished by the use of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nd could be istinguished from breast cancer in women of a similar age without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 We also analyzed the prognostic difference between BRCA1/2 related and BRCA1/2 non-related patients by the use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Breast cancer tissue specimens from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s were studied using a tumor tissue microarra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and HER-2, as well as the histology and grade of these specimens, were compared. The prognostic impact of immunohistochemical and histological factors as well as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investigated separately. Results: There were 14 cases and 16 deleterious BRCA1/2 mutations among 101 patients tested. A family history (4/14) and bilateral breast cancers (3/9) were high risk factors for BRCA1/2 mutations. BRCA1/2- associated cancers demonstrated more expression of ER-negative (19.4% versus 5.1%, p=0.038) and HER-2 negative than BRCA1/2 negative tumors, especially for tumors with BRCA1 tumors The BRCA1/2 mutation rate for patients with triple negative tumors (negative expression of ER, PR and HER-2) was 24.2%. Tumor size, nodal status, and HER-2 expression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as etermin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but the BRCA1/2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Conclusion: Breast cancer that occurs in women with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s have recognizable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which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individuals that are more likely to carry germline mutations. Although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 more cases with a longer follow-up period are needed for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