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조건이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최기룡(Kee-Ryong Choi),박범진(Bum-Jin Park),박용목(Yong Mok Park) 韓國雜草學會 2009 Weed&Turfgrass Science Vol.29 No.1

        급속히 그 분포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미국자리공의 광 환경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자 야외에서 미국자리공이 분포하지 않았던 상대조도 8%, 가장 많이 분포하였던 상대조도 33%, 그리고 상대조도 100%의 모델 실험계를 이용하여 생장해석을 실시하였다. 상대조도 33%와 100%에 비해 상대조도 8%에서의 미국 자리공의 상대생장률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 감소에는 상대조도 8%에서 높았던 엽면적비의 기여보다 순동화율(net assimilation rate, NAR)의 기여가 더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NAR의 변화는 광조건에 관계없이 3종류의 상대조도에서 모두 실험 시작 후 25일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같은 패턴을 나타내었다. 상대조도 33%와 100%에서는 뿌리가 지수함수적으로 생장한데 반해, 상대조도 8%에서는 아주 적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식물체의 질소흡수 속도에 반영되고, 이것은 다시 식물체의 질소함량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광 환경에 대한 미국자리공의 생장반응 특징으로, 처음 발아하였을 때는 광 환경에 관계없이 잎에 많은 물질을 분배하지만 상대조도 8%보다 높은 광 환경에서는 뿌리로의 물질분배를 증가시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국자리공은 상대조도 8%보다 낮은 광 환경에서는 분포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owth of pokeberry (Phytolacca americana L.), grown at three different light intensities, was analyzed to evaluate their growth responses to light regime. Relative growth rate (RGR) was remarkably reduced in plants grown at relative light intensity (RLI) of 8%, compared with those grown at 33% or 100% RLI.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net assimilation rate (NAR) between plants grown at different light regimes. However, changing patterns of NAR were similar in all plants irrespective of light regimes, showing increase until 25 days from the start of experiment and decrease thereafter. Root mass in plants grown at 8% RLI was hardly increased, while those in plants grown at 33% or 100% RLI increased remarkably. This resulted in the difference in total nitrogen contents between them. Plants grown at 33% RLI or 100% RLI indicated different allocation pattern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parts of experiment, indicating alteration in the rate of allocation into leaf and root. On the other hand, plants grown at 8% RLI showed higher dry matter allocation into leaf than stem or ro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keberry under lower light conditions than 8% RLI could not grow well and in turn would hardly extend their distribution area.

      • KCI등재후보

        알레르기; 울산지역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의 흡입 알레르겐 감작률과 대기중꽃가루 농도와의 관련성

        최승원 ( Seung Won Choi ),이지호 ( Ji Ho Lee ),김양호 ( Yang Ho Kim ),오인보 ( In Bo Oh ),최기룡 ( Kee Ryong Choi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4

        목적: 울산 지역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자의 꽃가루를 포함한 주요 흡입항원에 대한 감작률을 조사하고 지역적 꽃가루 분포 특성과 그 임상적 의의를 조사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비염 및 천식으로 진단되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꽃가루를 포함한 주요 흡입 알레르겐에 대한 피부시험을 시행하였으며 울산의 3개 지역에서 연중 지속적으로 대기 중 꽃가루 종류와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개별 항원에 대한 감작률은 집먼지진드기에 대해높았으며 자작나무 15.8%, 오리나무 15.3%, 개암나무 14.2%, 참나무 13.5%, 너도밤나무 10.8%, 쑥 9.6% 순의 감작률을 보였다. 울산에서는 연중 2차례 꽃가루 비산 절정기가 있었으며 봄철에는 소나무, 참나무, 오리나무가 가을철에는 환삼덩굴과 쑥 꽃가루가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최근의 기후 및 환경 변화와 함께 알레르기 질환이증가되고 있으며 흡입 알레르겐에 대한 종류나 감작률도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향후 꽃가루 항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알레르기 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필요하다. Background/Aims: Pollinosis is an increasing problem, with allergenic pollen causing rhinitis, asthma, and other allergic disease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sensitization to inhalant allergens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allergies and analyzed the regional pollen concentrations in Ulsan, Korea. Methods: A skin prick test was performed with 21 common inhalant allergens, including 18 types of pollen, in 634 patients with respiratory allergies from January of 2008 through December of 2010. Airborne pollen was collected daily from three different stations in Ulsan using a Durham sampler. Daily records and identification of the pollen types were made (2009-2010). Results: The sensitization rates for inhalant allergens were as follows: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38.2%), Dermatophag-oides farinae (38.0%), birch (15.8%), alder (15.3%), hazel (14.2%), oak (13.5%), beech (10.8%), mugwort (9.6%), and hop Japanese (5.2%). Airborne pollen has two peak seasons: tree pollen from February to June, followed by weed pollen from August to October. Pine tree, oak, and alder were the most frequently found pollen types in spring, whereas hop Japanese and mugwort were the most frequently found pollen types in autumn. Conclusions: House dust mites are the most common offending allergen in Ulsan. The sensitization rates to some tree pollen types, including birch, alder, and hazel were higher than those of weed or grass pollen. Causative allergens are changing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air pollution. Continuous aerobiological monitoring is the cornerstone for observing changes in pollen and a prerequisite for the study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llergic diseases. (Korean J Med 2014;86:453-461)

      • KCI등재후보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배스가 국내 호소에 서식하는 붕어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이진웅 ( Jin Woong Lee ),김정희 ( Jeong Hui Kim ),박상현 ( Sang Hyeon Park ),최기룡 ( Kee Ryong Choi ),이혜진 ( Hae Jin Lee ),윤주덕 ( Ju Duk Yoon ),장민호 ( Min Ho Ja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1 No.4

        수생태계에서 외래종의 문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배스의 경우 높은 포식압으로 수생태계 내에서 상당한 교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 위해종으로 선정되어 관리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해종인 배스가 국내토착종인붕어의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조사는 총7지역의 저수지에서 시행하였으며, 배스의 유무에 따라 붕어의 길이분포와 길이무게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스가 서식하는 지역의 붕어 개체군은 1년생 이하 치어의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고 오히려 2년생 이상의 큰 개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배스가 서식하지 않는 호소의 붕어 개체군은 1년생 이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일반적인 성장 패턴을 보였다. 또한 배스의 직접적인 먹이가 되는 1년생 이하의(160 mm 이하) 붕어개체를 대상으로 길이-무게 상관관계 분석 결과 배스가 서식하지 않는 호소에서 매개변수 b값이 2.909, 배스가 서식하는 호소에서는 매개변수 b값이 3.100로 나타나 배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붕어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스의 포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호소내 개체군이 생존을 위해 상대적으로 빠른 성장 전략을 사용한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붕어뿐만 아니라 국내 토착하는 다른종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될 것으로 판단된다. Exotic species in aquatic ecosystem generate various problems domestically as well as globally.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which is a well-known exotic species globally, acts as a substantial disturbance factor on the native fish communities in Korea due to the high predation pressure and hence designated as a ecologically harmful speci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largemouth bass on Korean native fish population,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to identify responses of the prey fish. Two fish species were collected at seven reservoirs distributed at the Nakdong River catchment area, and changes in lengthfrequency and length-weight relationship (LWR) were analysed depending on existence of largemouth bass. At bass absent sites, ratio of under age 1 year individuals were small, and over age two years were dominant. Conversely, normal length-frequency distribution pattern was identified at bass absent sites. The LWR of crucian carp (fish smaller than total length of 160 mm were only considered as it is frequently consumed by bass pred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upon bass existence. The value of parameter b at bass absent reservoirs was 2.909, which was smaller than that of bass present reservoirs, 3.100. Our results imply that crucian carp at bass present reservoirs presented a different strategy to survive from predation by bass, through relatively rapid growth. We propose that other native species might have similar growth strategies like crucian carp.

      • KCI등재

        벚나무의 계절현상과 이를 이용한 지역축제와의 관계

        도윤호(Yun Ho Do),김성보(Seong Bo Kim),주기재(Joo Gea Jae),최기룡(Kee Ryong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3

        식물 계절현상을 이용한 축제는 생태계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생태계와 인간이 문화적 요소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예이다. 봄철 식물의 계절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축제는 창원시 진해 군항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7 년부터 2013년까지의 벚나무의 계절학적 자료와 군항제 개최시기 및 방문자수를 조사하여 식물계절학과 지역축제와 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행사기간 중 기상조건 (평균기온, 최저·최고기온, 강수량, 강수일수)과 행사시기특성(년도, 휴일수-토, 일요일 수, 행사기간일수, 행사시작일-개화일 차이)을 파악하여 군항제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지난 26년 동안 벚나무의 발아일과 개화일의 주기성을 보이지 않 거나 나타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방문객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는 기온, 일자(day), 강수요 인이 추출되었다. 군항제기간의 기온이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벚나무의 개화시기와 행사기간 이 불일치하더라도 방문객 수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확실성이 떨어지는 개화시기를 맞춰 축제기간을 설정하기 보 다는 행사기간을 고정하고 일부 유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행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군항제의 성공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estivals using plant phenology is one of the examples can represent the ecosystem services. Changwon Jinhae Gunhangje is typical spring festival using cherry blossoms phenology. This research was done to define relationship between flowering of cherry blossoms and Gunhangje. Phenological data (Julian day) of cherry blossoms and visitor number of Gunhangje from 1987 to 2013 were collected. Differences of Phenological phase of cherry blossoms and duration of Gunhangje was analyzed.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to know changes of flowering and budding day of cherry blossoms. Correlations between visitor number of Gunhangje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defined b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showed that during the 26 years, periodicity of flowering and budding day was not identified or even identified it was not significant. Environmental factors effect on visitor numbers of Gunhangje were defined as temperature factor, day factor, and precipitation factor. Temperature fact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isitor numbers of Gunhangje. Though Flowering day of cherry blossoms and festival duration was not matched, however, difference of visitor numbers was not show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xed duration of Gunhangje would be more effective to visitors than changing the festival duration following the phenological day changes of cherry blossoms.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물영아리늪 퇴적물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

        이창수 ( Chang Su Lee ),강상준 ( Sang Joon Kang ),최기룡 ( Kee Ryong Choi ) 한국환경과학회 201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0 No.3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past vegetational changes in Jeju Island, Korea,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on the sediments obtained from the Mulyeongari fen were carried out. By the results, the vegetational changes around the Mulyeongari fen from ca. 3,300 cal. yr BP to the present can be 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The pollen record from the Mulyeongari fen was divided into two local pollen assemblage zones and three sub-pollen assemblage zones. Zone I (Quercus-Carpinus-Herbs Zone) was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Quercus(30~63%), Carpinus(9~35%) and herbs(40~424%). Zone II was characterized by three sub-pollen assemblage zones and the high occurrence ratio of the tree layer in comparison with Zone I. In Zone IIa (Quercus-Carpinus Zone), herbs(3~161%) were drastically decreased in predominance of Quercus(28~56%) and Carpinus(14~31%). In Zone IIb (Carpinus-Quercus Zone), Carpinus(36~48%) was preferentially increased but Quercus(29~39%) was slightly decreased. In Zone IIc (Quercus-Carpinus Zone), Carpinus(26~38%) was decreased inversely but Quercus(36~50%) was increased. In addition, Cyperaceae was also increased to 52%.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cool temperate southern/sub-montane vegetation composed of Quercus and Carpinus which was physiognomy of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was distributed around the Mulyeongari fen from ca. 3,300 cal. yr BP. In addition, Cyclobalanopsis(4~23%), Castanopsis(1~12%) and Myrica(under 1%) which are warm-temperate evergreen deciduous forest components were constantly appeared from this period. According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resent vegetation type around the Mulyeongari fen was formed from ca. 180 cal. yr BP.

      • KCI등재

        기수역이 존재하는 섬진강의 어류군집 특성

        백승호 ( Seung Ho Baek ),윤주덕 ( Ju Duk Yoon ),김정희 ( Jeong Hui Kim ),이혜진 ( Hae Jin Lee ),최기룡 ( Kee Ryong Choi ),장민호 ( Min Ho Ja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하구둑이 설치되지 않은 섬진강의 어류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섬진강 본류 구간을 16지점으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7과 5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우점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RA: 47.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총 17종의 한국고유종(31.5%)이 채집되었으며 이는 한반도 담수어의 고유화 빈도인 22.5~25.9%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외래종의 상대풍부도(1.1%)는 낮게 나타났으나 문헌연구를 통한 비교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002, 0.0%; 2009, 0.4%). 군집 분석 결과 해수의 영향을 받는 하류의 세 지점(St.1~St.3)은 다양도 및균등도가 높게 나타났고, 반면 순수 담수역에 위치한 St.4~St.16에서는 피라미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여 전반적으로 우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섬진강에서 해수어, 주연어, 경제성 어종 및 다양도 지수가 낙동강, 영산강, 금강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섬진강의 풍부한 어족자원과 안정된 어류 군집을 유지하기 위해 보존될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o identify ichthyofauna of the Seomjin River, which has no barrage at estuary, and to estimate effect of estuary barrage, fish sampling was conducted at 16 study sites in mainstream of the Seomjin River from 2010 to 2012. A total of 54 species classified into 17 families were collected. Cyprinidae was the dominant family and 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RA: 47.8%) was identified as the dominant species. In total, 17 Korean endemic species (31.5%) were collected, and it is higher than the average endemic rate of Korean peninsula (22.5~25.9%). Although the relative abundance of exotic species (1.1%) was low, it is higher than the past studies (2002: 0.0%, 2009: 0.4%). Dominance index of freshwater region (St.4~St.16) was relatively higher than estuary (St.1~St.3), because Z. platypus showed high relative abundance at freshwater region. But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showed contradictory results, as estuary was higher than freshwater region. The ratios of sea fish, peripheral freshwater fish and economic fish, and diversity index are higher than the Nakdong River, the Yeongsan River and the Geum River. In conclusion, to conserve the value of the Seomjin River ichthyofauna,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 KCI등재

        새만금호 내의 염도에 따른 어류분포

        박상현 ( Sang Hyeon Park ),이진웅 ( Jin Woong Lee ),김정희 ( Jeong Hui Kim ),백승호 ( Seung Ho Baek ),윤주덕 ( Ju Duk Yoon ),최기룡 ( Kee Ryong Choi ),장민호 ( Min Ho Ja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1 No.4

        새만금호는 새만금 간척사업을 통해 2006년에 완공된 인공 호로 현재 담수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만금호 내의 염도 별 어류분포를 확인하여 담수화가 진행되고 있는 새만금호의 어류분포 변화 예측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어류조사는 새만금 호내 10지점에 대해 총 4회에 걸쳐(2012년 2월~10월) 어류군집과 염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체지점에서 총34과 71종이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Thryssa kammalensis (16.1%), 아우점종은 Konosirus punctatus (12.8%)로 새만금호내 해양성 어류의 우점현상을 나타냈다. Bray-Curtis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류는 4개(A=St. 1, 6, B=St. 2, 3, 7, 8, C=St. 4, 9, 10, D=St. 5)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Cluster 구분에 따른 지점별 평균 염도는 A=0.2psu, B=14.2 psu, C=19.5 psu, D=23.5 psu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별 1차 담수어, 주연어, 해산어의 비율이 차이가 나타나 4개 그룹의 어류 분포는 염도에 따라 종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aemangeum Reservoir was constructed in 2006 as a part of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which desalination has been also carried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dicting changes in fish distribution in the Saemangeum area with respect to the desalination processand to identify current status of fish distribution along with salinity levels. Fish sampling and measurement of salinity were conducted 4 times from February to October in 2012 at 10 sites within the Saemangeum Reservoir. A total of 71 species classified into 34 families were confirmed, and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Thryssa kammalensis (16.1%) and Konosirus punctatus (12.8%), respectively. Saltwater fishes were still dominant at the Saemangeum Reservoir.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St. 1, 6; B=St. 2, 3, 7, 8; C=St. 4, 9, 10; D=St. 5) by Bray-Curtis cluster analysis. Species composition of each group was closely related with salinity level: group A corresponding to 0.2 psu, B to 14.2 psu, C to 19.5 psu, and D to 23.5 ps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