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합부동산세의 구조와 성격 및 헌법적 문제점 -헌재 2008.11.13. 2006헌바112등 결정에 대한 평석-

        차진아 ( Jin A Cha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고려법학 Vol.0 No.53

        Am 13.11.2008 hat da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KVerfG) uber Verfassungsvereinbarkeiten der Bestimmungen des Gesetzes zur Gesamtgrundsteuer entschieden. Sein Tenor war teils Verfassungwidrigkeit, teils Verfassungsunvereinbarkeit und im Restlichen Verfassungsmaβigkeit. Vor allem hat das Gericht die Haushaltsbesteuerung, die die Steuerbelastung der Ehe und Familie unter der Progression durch die Kumulierung der Grundvermogenswerte verscharfend funktionierte, fur verfassungswidrig erklart, weil sie das verfassungsrechtliche Gebot des Schutzes von Ehe und Familie(Art.36 Abs.1 der Koreanischen Verfassung) verletzt. Daruberhinaus hat das Gericht unter der Betonung des verfassungsrechltichen Gebotes vom besonderen Schutz des Wohnungseigentums die Besteuerung von Einfamilienhausern durch Gesamtgrundsteuer fur verfassungsunvereinbar erklart. Dieser Beschluss ist von groβer Tragweite und Bedeutung, die nicht auf die einschlagigen Verfassungsbeschwerdefuhrer(§ 68 Abs. 2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gesetzes) und den einschlagigen Klager des Ausgangsverfahrens beschrankt sind. Sein Tenor und seine wichtige Argumente werden dabei als schlaggebende Kriterien funktionieren, verfassungsrechtliche Grundlage und Grenze der besonderen Belastung auf den Besitz von Grundvermogen(Sozialbindung des Grundeingentums) aufzuklaren. Freilich sind nicht alle Argumente des Gerichts in diesem Beschluss einwandfrei. Z.B. ist es von wenig Uberzeugungskraft, dass das Gericht bei der Bewertung, ob die Belastung der Gesamtgrundsteuer mit dem Verhaltnismaβigkeitsprinzip im engeren Sinne vereinbar ist, nur Werte der einschlagigen Grundvermogen mit den einschlagigen Steuerbetragen abgewogen hat. Durch die Anderung des Gesetzes zur Gesamtgrundsteuer v. 26.12.2008. wurden die vom KVerfG als verfassungswidrig bzw. verfassungsunvereinbar gehaltenen Elemente der Gesamtgrundsteuer beseitigt und viele verfassungsrechtlichen Probleme der Gesamtgrundsteuer gelost. Dennoch werden Bedenken gegen die Verfassungsmaβigkeit der Gesamtgrundsteuer nicht vollig ausgeraumt. Der Dualismus der Grundsteuer und der Gesamtgrundsteuer wirft ein grundlegendes Problem der vertikalen Steuergleichheit auf. Denn die Grundsteuer als Gemeindesteuer wird mit niedrigen Steuersatzen (und zwar im Fall der Wohnungseigentum wird die Bemessungsrundlage nicht kumuliert) erhoben und die Gesamtgrundsteuer wird als Staatssteuer nicht allen, sondern nur bestimmten Grundsteuerpflichtigern mit rasch verscharften Steuersatzen(und zwar wird die Bemessungsrundlage-nach dem Verfassungswidrigkeitsbeschluss uber die Haushaltsbesteuerung je Steuerpflichtigem-kumuliert zurechnet) auferlegt. Ferner sollten die Belastungen zwischen der Gesamtgrundsteuer und der Verauβerungsertragssteuer u.s.w. vernunftig ausgeglichen werden. Naturlich wird diese Aufgabe nicht dem KVerfG, sondern dem Gesetzgeber zugewiesen.

      • KCI등재

        사회국가의 실현 조건과 국민연금 개혁의 방향

        차진아 ( Jin A Cha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고려법학 Vol.0 No.56

        Compared to a liberal right labeled a 19th century right, the driving force to support a social right, called as a 20th century right, seems to have deteriorate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In particular, a shrinking social state is prevailing more evidently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 wake of many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or population composition (aging society), etc. Korea, as one of emerging developed countries, is not exceptional from this global trend; how one will deal with such challenges is recognized as a pressing issue. Actually, the above-stated changes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 pension system reform issues in which there is a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its necessity;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se globally prevailing challenges and to consider alternatives by analyzing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n fact, there are various analyses and views concern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bringing about the Koran national pension crisis. Korea had conducted parametric reforms in 1998 and 2007;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ch measures perfect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fore, the pension system still needs more lasting and continuous improvements. The direction of reform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should consider financial stabilization, an alternative to financial exhaustion or inter-generation inequality as pivotal elements in considering various reform measures such as raising pension premiums, reducing the benefits or changing the fund management methods. However, such approaches should keep in mind the aspect that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s purported to realize the idea of the social state. Therefore, the goal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reformation is to enhance the solidarity between large and low-income earners, to support socially weak groups and to guarantee the relevant social security net; those goals could b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elements of national pension system reform, as well as the previously mentioned ones such as financial stabilization or durability. In addition, the alleged retreat of the social state, recognized in pension premium increase or pension benefit cut, should not lead to an unequal and forced sacrifice for the socially weak groups. The level of pension benefit, as long as it is not so-called pocket money pension, should correspond to its goal to provide the minimum material foundation to secure the decent standard of living in coping with difficulties (e.g. disability, disease or aging) the people face in their lives. In order to do so, raising pension premiums is required only on the condition of making effort to gain public support for such an option. In other words, pension reform measures should set and apply income criteria that the people can understand reasonably and clearly in calculating the pension premium. Furthermore, more systemic measures should continuously provide the public with confidence that this income standard scheme could apply to regional pension scheme participants in a rational way. Last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pension reform should seek the public consensus and support regarding the necessity and method of the pension reform by faithfully offering explanation and adequate persuasion to the people. The very social agreement enable fruitful discussion regarding a real sociality and fair social burden sharing; furthermore, this could prevent unequal sacrifice that could be often forced under the mask of the reform; the reason is that a cut in social benefits, found in an increase in pension premiums or a lowering in income replacement ratio, could cause more serious, far-reaching native effects to the socially weak groups.

      • KCI등재

        감사원의 독립기관화에 대한 헌법적 검토

        차진아 ( Jin A Cha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고려법학 Vol.0 No.54

        Im heutigen demoktratischen Staat gewinnen Funktion der Rechungsprufung immer mehr Bedeugung und Gewicht. Dies liegt insbesonders in der Erscheinung des Verwaltungsstaates, was Verstarkerung der Kontrolle gegen die vollziehende Gewalt mit immer zunehemender Aktualitat verlangt, um Staatsgewalten tatsachlich zu balancieren und dadurch deren Mißbrauch zu verhindern. Zwar hat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diese Funktion (und Funktion der Inspektion) bisher realtiv treu wahrgenommen. Vor allem nach der Demoktratisierung(nach dem Jahre 1987) haben seine aktiven Betatigungen gespeicherte Beschwerden der Burger viel erlediget. Trotzdem hat eine Reihe von jungstigen Fallen zum Bedenken gegen seine Unabhangigkeit und Neutralitat und damit zur Schwachung des Vertrauens auf ihn gefuhrt. Die Ursache sollte man nicht in zufalligen Fehlern bestimmter Personen, sondern im strukturellen Problem des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im geltenden Recht: Er gehort zum Staatsprasident (Art.97 der Koreanischen Verfassung) und deshalb kann er von der Wirkung des Staatsprasident nicht frei sein. Dies setzt seiner Unabhangigkeit von Anfang an eine Grenze. Freilich konnte man eine Verbesserung ohne grundliche Anderung des geltenden Systems, ohne Verfassungsanderung versuchen, wie etwa Abschaffung des Sonderberichtspflichts zum Staatprasident. Aber die Wirkungen derartiger Reform sind unscharf. Vor allen Dingen kann sie den Wurzel des Problems nicht beseitigen. Auch in ihr verbirgt sich die Gefahr, anliche Falle wieder zu geschehen. Auch uber grundliche Losung sollte man daher (neben dieser kurzfristigen Reform) tiefernst uberlegen. Die vorliegende Arbeit hat die Reform des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zu einem unabhangigen Staatsorgan durch die Verfassungsanderung betrachtet. Zwar ist zurzeit mehr von der Reform zum Unterorgan der National Assembly of the Rebulic Korea die Rede. Aber fur die Unabhangigkeit geben das deutsche und franzosische Modell (Bundesrechnungshof, Cour des comptes), also Modelle vom unabhangigen Staatsorgan, viel bessere Hinweisen als Modlle von Großbritannien (`Comptroller and Auditor General` und `National Audit Office`[NAO]) und U.S.A(`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GAO), also Modelle vom Unterorgan des Parlaments. Auch in Hinsicht auf unsere politlische Kultur und Wirklichkeit konnte die Reform zum unabhangigen Staatsorgan die bessere Alternative sein. Naturlich sollte man vorausgesehene Nebenwirkungen der Reform zum unabhangigen Staatsorgan vorsichtig untersuchen und fehlerlose Losungen dafur vorbereiten.

      • KCI우수등재

        사회비교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SNS 이용중단 의도

        경진(Kyung Jin Cha),이은목(Eun Mok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발전과 확산으로 사람들은 타인의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형성 또한 더욱 쉽고 빠른 방법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페이스북 같은 SNS는 광범위한 사용성과 빠른 확산성과 함께, 타인과의 풍부한 사회비교 기회를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 기반한 사회비교 노출이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과 SNS의 사용중단 의도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사회비교 활동이 크게 3가지로 나뉜다고 보았는데, 가장먼저 본인의 위치와 비슷하다고 느끼는 상대와 자신을 평가하려는 자기평가욕구에서 시작하는 유사비교활동, 본인보다 더 열등한 사람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정서가 다치지 않게 하려는 자기방어욕구에서 비롯되는 하향비교활동, 마지막으로 자신보다 더 나은 상대와 비교함으로써 자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자기향상욕구와 관련되는 상향비교활동이다. 이러한 사회비교활동들은 사람들이 매일매일 SNS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상향비교, 유사비교와 관련된 정보들에 자주 노출됨으로써,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부정적인 감정들과 피로감으로 이어져 SNS 중단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9명의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SNS 이용자들이 타인과 상향비교와 유사비교를 할수록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어, 이러한 감정들이 결국 SNS에 대한 부정적 태도(Attitude)를 거쳐 SNS 이용중단(Behavior)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PLS 분석결과, SNS 사용 중 일어나는 사회비교와 타인탐색위주의 SNS의 사용은 사용자들에게 부정적인 감정들을 느끼게 하며 이 부정적인 감정들이 SNS 이용중단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 이용중단 의도에 관한 연구를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확대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과 상향비교 또는 유사비교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기존의 심리학연구결과를 SNS 환경에서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Social networking sites (SNS), such as Facebook, provide abundant social comparison opportunities. Given the widespread use of SNS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xposure to social media-based social comparison on user’s negative emotions and discontinuous use intention on SNS. We present evidence that under the use of SNS, social comparison activities diverge into three patterns, with explicit self-evaluation desire made against similar target (lateral comparison), self-defense desire made against less fortunate target (downward comparison), and self-enhancement desire made with more fortunate target (upward comparison). Such social comparison processes frequently arise, as people are increasingly using on SNSs, the downward contacts ameliorating self-esteem with positive emotions, but the upward contacts and standard contacts with lateral status enabling a person to compare his or her situation with others and simultaneously increase negative emotions due to its differences with others. In other words, as people increasingly relying on SNSs for a variety of everyday tasks, they risk overexposure to upward or standard social comparison information that may have a cumulative detrimental impact on future intention on SNS use. This study with survey with 209 SNS users found that these negative emotions lead to negative fatigue (attitude) and then discontinuous use intention (behavior) on SNS. Our findings are among the first to explicitly examine discontinuous use intention on SNS using social comparison theory and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past research showing that upward social comparisons can be detrimental.

      • KCI등재

        재산권 보장의 상대화와 입법자의 역할 -헌법 제23조 제1항의 해석에 관한 시론-

        차진아 ( Jin A Cha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6

        현대인의 삶에서 경제활동이 차지하는 의미와 비중이 큰 만큼 현대 헌법질서에서 재산권을 비롯한 경제적 기본권의 의의와 비중 또한 크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현대사회의 변화 속에서 재산권의 성격 및 내용과 실현구조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는 글로벌 시대의 국제적 교류의 활성화가, 다른 한편으로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의 부산물들이 경제질서를 변화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초가 되는 재산권의 성격과 내용에 대한 이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의 대부분은 헌법적 차원이 아닌 법률적 차원에서의 대응이 필요할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유형의 재산권이 계속 형성되고 있다는 점과 관련하여 헌법 제23조 제1항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는 헌법적 조명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런데 헌법 제23조 제1항의 해석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며, 기존의 재산권에 대한 헌법적 연구는 주로 헌법 제23조 제2항과 제3항의 관계나 제23조 제3항의 해석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헌법 제23조 제1항 제1문은 여타의 자유권적 기본권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2문에서 “재산권의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한 것은 일반적인 자유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규정형식이며, 오히려 사회적 기본권과 유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재산권이 자유권에 속한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고 볼 때, 이러한 특수한 방식의 규정이 갖는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출발점이다. 기본권 형성적 법률유보가 규정되어 있다고 하여 재산권이 자유권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사회적 기본권처럼 재산권의 모든 내용이 입법자에 의해서 비로소 형성되는 것처럼 이해되어도 안 될 것이며, 그렇다고 다른 자유권과 똑같이 입법형성의 범위를 매우 좁게 해석하는 것도 재산권의 특성에는 맞지 않는다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기존의 학설과 판례는 독일 헌법이론과 실무의 영향 하에서 헌법 제23조 제1항과 제2항을 묶어서 하나로 해석하는 것이 주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볼 경우 헌법 제23조 제1항이 다른 자유권과는 달리 재산권에 대해서만 기본권 형성적 법률유보가 규정되어 있는 특별한 의미를 간과하기 쉽다. 뿐만 아니라 기본권의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기본권 형성적 법률유보와 이를 전제로 보호영역을 축소하는 기본권 제한적 법률유보에 있어서 입법자의 입법형성권의 범위가 다르다는 점에서도 재산권의 개념범위의 문제를 재산권의 제한문제와 섞어 놓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설령 그것이 정신적 자유권에 비해 비교적 폭 넓은 제한이 허용되는 경제적 기본권이라 하더라도 그러하다. 더욱이 이러한 해석은 재산권에 대한 보상 없는 제한을 획일적으로 재산권의 내용형성인 것으로 간주하거나, 재산권의 제한으로 인정되면 반드시 보상을 요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다. 이럴 경우 예컨대 이른바 개발제한구역의 설정처럼 원칙적으로 사회적 구속성에 따라 재산권에 가해지는 제한도 내용형성규정으로 잘못 이해하게 될 우려가 크다. 또한 헌법 제23조 제1항과 제2항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혼란은 헌법 제23조 제2항과 제3항의 구별과 관련하여서도, 특히 이른바 ‘보상의무 있는 재산권의 내용 및 한계규정(ausgleichspflichtigen Inhalts- und Schrankenbestimmung)’에 대한 논란이나, 경계이론·분리이론의 이해와 관련하여 적지 않은 혼란을 야기한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기본권 제약에 관한 독일 기본법의 규정 및 헌법이론의 체계가 우리와는 다르다는 점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독일 기본법에서는 기본권 제한과 관련하여 우리 헌법 제37조 제2항과 같은 일반적 법률유보조항이 없기 때문에 개별적 법률유보가 없는 절대적 기본권의 제한과 관련하여 이른바 기본권의 규범적 한계가 인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본권의 규범적 한계는 실제로는 기본권의 제한에 해당됨에도 불구하고-기본권의 한계는 기본권의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문제이며, 기본권의 제한은 일단 설정된 기본권의 한계 내지 보호영역을 축소하는 문제로서 양자가 구별됨에도 불구하고 - 독일 기본법의 규정체계 때문에 부득이 기본권의 내재적 한계로 다룰 수밖에 없는 것이며, 독일 기본법 제14조 제1항의 내용규정과 제2항의 사회적 구속성을 묶어서 이해하는 것도 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성을 일종의 재산권의 규범적 한계로 이해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른 관점에서 헌법 제23조 제1항 제1문과 제2문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제1문에서는 모든 재산권을 헌법적으로 보장함을 규정하고 있지만, 제2문에서는 재산권의 유형에 따라 그 규율의 범위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시각과는 다른 각도에서 검토해 볼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산, 부동산 등의 유체물과 관련한 물권, 채권 등의 전통적 재산권과 각종의 지식재산권의 형태로 새롭게 인정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재산권을 규율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각각의 경우에 구체적인 입법자의 형성권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헌법 제23조 제1항의 해석이 재산권의 유형에 따라 세분화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 것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산권의 성격과 내용은 계속 변화되고 있으며 유형 또한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제시한 주장이 모든 재산권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세분화가 필요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연구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헌법 제23조 제1항의 새로운 해석을 위한 시론이라 할 수 있다. As economic activity plays a critical role in modern society, the meaning and impact of fundamental economic rights, including property rights, are significant in modern Constitutional Law as well. However, the consistent changes of features, contents, and realization of property rights within the fast moving modern society are appeared as even more important. In the mean time, the active international interchange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by-products of rapidly developing technology not only transform the economic order but also exert an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features and contents of property rights, which lays the foundation of the economic order. Mostly, these changes only require countermeasures at the Act dimension, not at the Constitutional dimension. As new types of property rights are constantly generated, Constitutional approach of Article 23(1) interpretatio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Existing interpretations of Article 23 are mainly discussed by Article 23(2) and Article 23(3); yet, the demand for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ntence and th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increases within this modern society. The first sentence of Article 23(1) has a same syntactic structure as the other Articles, clarifying fundamental rights to freedom. However, even though the distinctiv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thereof shall be determined by Act”, which hardly stipulated in other fundamental rights to freedom, is more similar to civil rights statutes, the rights to property is definitely affiliated to the rights to freedom. Therefore, examining this distinctive regulation and clarifying its meaning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this treatise. Existing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have mainly been interpreting the Article 23(1) and Article 23(2) within a same context due to German`s Constitutional theories and practical influences; however, it is more likely to overlook the distinctive significance of Article 23(1) which defines legal reservation of fundamental rights formation than the other rights to freedom. Moreover, the ranges of legislation are varied depending on legal reservation of fundamental rights formation which guarantees range of fundamental rights and legal reservation of fundamental rights restriction which restricts the range of fundamental rights; hence, it is improper to combine the guarantee and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together. This treatise focuses on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ntence and th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Similarity in two property rights that clarified in the first sentence and th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is examined from a different viewpoint. Consequently, interpreting Article 23(1)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perty rights - on one hand the traditional property rights including a real right and a claim on a chattel or a real property and the other hand emerging property rights such as intellecual property - as the range of legislator`s rights to enact a law depends on the types of property rights. However, it is hasty to conclude that the proposed theses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roperty due to the consistent changes in the features and the contents of property rights; other types of subdivision may be required by further examination. Therefore, the treatise is a starting point for the new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 Article 23(1).

      • KCI등재

        현행 상속세제의 헌법적 의의와 문제점 -이른바 완전포괄주의를 중심으로-

        차진아 ( Jin A Cha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9

        전체 조세에서 상속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그다지 높지 않다. 그러나 상속세에 대한 관심, 상속세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견해의 대립은 이러한 낮은 비중과는 무관하게 매우 뜨겁다. 그것은 무엇보다 상속세가 갖는 의미에 대한 기본적 시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몇 년 전 미국에서 상속세 폐지 지속 여부에 관한 논란이 크게 부각 된 적이 있었다. 이른바 자유주의에 기초한 자본주의의 정신에 투철한 미국인들의 입장에서 각자의 능력과 노력에 의해 형성된 재산은 의미 있는 것으로 존중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이를 자신의 사후에 누구 에게 물려줄 것인지도 재산 보유자의 의사에 따라야 한다는 생각이 적지 않았고, 상속세는 이를 가로막는 불합리한 제도라는 견해가 상당히 강력 하게 대두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미국의 주된 상속세 부담자 인 부호들이 상속세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이러한 논란이 가라앉게 되었던 것은 언론보도를 통해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상속세 폐지 주장이 적지 않다. 그러나 국내의 여론은 상 속세의 폐지보다는 오히려 재벌들의 변칙상속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속세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의 문제가 더 전면에 부각되고 있다. 최근 까지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삼성의 변칙증여 문제도 결국 기업의 경영 권 자체를 -상속세의 부담을 피하면서- 자기 자식에게 상속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우리나라에 근대적인 상속세와 증여세가 도입된 것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지만, 그 기본 방향은 열거주의에서 유형 별 포괄주의, 완전 포괄주의로 계속 바뀌어 왔으며, 그 근저에는 재벌들의 변칙 상속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이 결정적인 동인으로 작용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2004년 도입된 완전포괄주의가 변칙 상속에 의한 상속세 회피 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으로 는 완전포괄주의 도입 이후에도 변칙상속의 문제는 계속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완전포괄주의 자체가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조세의 본질과 기능에 비추어 현행 상속세제의 헌법적 의의와 문제점을 완전포괄주의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세의 일반적 의의와 기능을 전제로 상속세제의 특성 (Ⅱ)을 검토한 후, 우리나라의 상속세가 어떠한 역사적 변화와 발전을 거 쳐서 현행 상속세로 정착되었는지를 개관하였다(Ⅲ). 그리고 그 바탕 위에 서 현행법상의 완전포괄주의 상속세가 다른 세제 내지 법제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소득세와의 관계(Ⅳ), 그리고 법인제도와의 관계(Ⅴ)를 통해 정리함으로써 상속세의 구체화가 국세의 체계 내지 국가법질서의 체계 속에서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으며, 구체화되어야 하는지를 정리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고찰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현행 완전포괄주의 상속 세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정리(Ⅵ)함으로써 이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In terms of portion of taxation, inheritance taxes do not much influence on the whole structure of the taxation system. Nevertheless, inheritance taxes are drawing much public attention, and there is a serious controversy around the ways to reform it. This is caused by differences in point of view about the meaning of the inheritance tax. Several years ago, abolition of the inheritance tax was heavily disputed in the U.S. Significant number of Americans, influenced by liberal capitalism, argued that the property established through a citizen`s own abilities and efforts should be respected meaningfully. Moreover, people thought that the intention of the property owner should be considered as a critical factor in deciding who will take up the property after their death. In this sense, it was strongly argued that the inheritance taxes restrict unreasonably the choices of property owners. However, wealthy Americans, who are charged heavy inheritance taxes, strongly supported the necessity of inheritance taxes. Similar to in the US, some Korean people argue for the abolition of inheritance taxes. However, public opinions regarding inheritance taxation have focused on imposing more strong sanctions on an irregular inheritance process rather than the abolition of inheritance taxation itself. As an irregular transfer by Samsung Group is heavily In terms of portion of taxation, inheritance taxes do not much influence on the whole structure of the taxation system. Nevertheless, inheritance taxes are drawing much public attention, and there is a serious controversy around the ways to reform it. This is caused by differences in point of view about the meaning of the inheritance tax. Several years ago, abolition of the inheritance tax was heavily disputed in the U.S. Significant number of Americans, influenced by liberal capitalism, argued that the property established through a citizen`s own abilities and efforts should be respected meaningfully. Moreover, people thought that the intention of the property owner should be considered as a critical factor in deciding who will take up the property after their death. In this sense, it was strongly argued that the inheritance taxes restrict unreasonably the choices of property owners. However, wealthy Americans, who are charged heavy inheritance taxes, strongly supported the necessity of inheritance taxes. Similar to in the US, some Korean people argue for the abolition of inheritance taxes. However, public opinions regarding inheritance taxation have focused on imposing more strong sanctions on an irregular inheritance process rather than the abolition of inheritance taxation itself. As an irregular transfer by Samsung Group is heavily debated,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such a transfer is a way for the owner of Samsung to avoid inheritance taxation in the process of handing down managerial authority to his children. Although the modern system of inheritance and gift taxation has a short history, its fundamental direction has often changed from a positive system into a type-based negative, and recently into a complete-negative system. This trend was motivated by negative social perceptions of the irregular transfer of wealth by business tycoons. The complete-negative system, adopted in 2004, does not always provide reasonable solutions regarding irregular inheritance or gifts. The problems of irregular inheritance still remain as sources of controversy in Korea. Moreover, it is argued that the current complete-negative system itself is causing unexpected side effects.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of inheritance taxation (the complete negativ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e and function of taxation. It starts by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inheritance taxation system, focusing on the general meaning and function of taxation. Next, it maps 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inheritance tax system. It also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complete-negative system and other tax systems or legislation by examining a corporation system and an income tax system. Based on this analysis, the paper reviews how the inheritance tax system is, and ought to be, concretized in the national tax system or legal system. Lastly,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complete negative system in terms of the nature and limits of taxation.

      • KCI등재

        헌법재판 : 추상적 규범통제제도 도입의 의미와 방향

        차진아 ( Jin A Cha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고려법학 Vol.0 No.55

        In letzten 20 Jahren hat das Koreanische Vefassungsgericht durch seine Entscheidungen seine Stellung gesichert und Autoritat und Vertrauen nicht nur von Burgern, sondern auch von anderen Staatsorganen erhalten. Dies fuhrt zur Beachtung der Verfassung und tragt zur Verstarkung des Rechtsstaates bei. Trotz dieser Entwicklung ist die Notwendigkeit der Verbesserung der Verfassungsgerichtbarkeit nicht zu ubersehen, Wie es bei aller demokratischen Entwicklungen von der Vollendung der Demokratie keine Rede sein konnte, konnte man noch nicht sagen, dass die rechtsstaatliche Entwicklungt das vollstandige Niveau erreicht hatte. Deswegen wird der Fokus auf die Einfuhrung der neuen Verfahrensart der Verfassungsgerichtbarkeit konzentriert, was zur Verstarkung des Rechtsstaates dient, also Einfuhrung der abstrakten Normenkontrolle. Die Einfuhrung der abstrakten Normenkontrolle kann die Lucken der konkreten Normenkontrolle und des Organstreites uber Inhalte und Verfahren der Gesetzgebung decken und fur praventive Schutze der Grundrechte sehr wirksam sein. Aber auch ihre Nebenwirkung ist nicht zu ubersehen. Hinter diesen Vorteilen verbirgt sich eine Gefahr des Mißbrauches: Die im Parlament unterlegene politische Minderheit kann das Mittel der abstrakten Normenkontrolle dafur ausnutzen, ihren politischen Streit im Verfassungsgericht fortzusetzen. Dennoch muss die Befurchtung nicht zur Absage der Einfuhrung der abstrakten Normenkontrolle fuhren. Auf einer Seite die Einfuhrung der abstrakten Normenkontrolle viel mehr Vorteile als Nacheile. Auf anderer Seite kann man die vorgesehene Nebenwirkung durch die ausreichenden Vorkehrungen minimieren. Der Schluß dieser Arbeit kann im folgenden zusammengefasst werden: Die abstrakte Normenkontrolle sollte eingefuhrt werden, unter Vorausetzung der ausreichenden Vorkehrungen gegen die vorgesehene Nebenwirk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