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 중심 교사교육 연구 -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 퀸즈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석언(Sukun Jin),곽덕주(Duck-joo Kwak),조덕주(Duck-joo J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3

          본 논문은 이론 중심적이고 지식평가 중심적인 우리나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하여 현장 중심적이며 반성적 실천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잘 알려진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의 퀸즈 대학교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때 분석의 요소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먼저 현장 중심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그리고 전체적 구성을 살펴보았고, 반성적 실천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의 실제적 운영 양상, 즉 교사교육 담당자들 간의 협력관계와 학생 평가의 방식을 살펴보았다.<BR>  분석의 결과는 우리나라 교사교육의 변화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대표적인 것으로 먼저 예비교사들의 현장실습 기간을 늘리되, 이 기간을 현장실습에 대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적절히 구조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때 교사교육의 목적으로 ‘반성적 실천인’을 들 수 있다. 둘째, 대학과 협력학교의 교사교육 담당자들 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함께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적극 유도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n detail two well-know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t Oxford University in UK and Queens University in Canada, as a way to find some realistic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is usually criticized as theory-oriented and knowledge test-directed. The category of the analysis is two-folded. One is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ir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reveal how well the programs are designed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school demands and concerns. The other is the ways the programs are run, i. e., the roles of and relations among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show how well they are operating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in encouraging student teachers to be more reflective upon their field experiences.<BR>  This examination brings to u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Korea. One is, among others, that, while extending the period of practicum, we should be able to structure student teachers" field experience under the clearly set-up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such as “reflective practitioners.” Another is that we need to develop a clear idea about the role division between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as well as to encourage both the parti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educating student teachers.

      • 수학영재의 학업성취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행수준의 관계

        홍진곤 ( Jin Kon Hong ),강원임 ( Wonim Kang ),진석언 ( Sukun Jin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1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이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행 수준과 얼마나 큰 관련성을 보이는지 확인해 봄으로써 현재의 영재 선발 방식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경험적으로 검토해 보고, 우리 실정에 맞는 최선의 영재학생 선발 방식의 구안을 위한 시사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한 지역교육청에 설치된 수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받는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의 수학교과를 참조하여 연구진이 제작하였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송상헌(1998)이 개발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지와 채점 기준표를 사용하였다. 수학영재교육원에서의 학생들의 수행 수준은 학생들의 담당 교사가 작성한 평가 기록지를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영재교육원에 참가한 4, 5학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대부분이 우수했으나 실제 영재 프로그램에서의 수행 능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았다. 반면에 창의적 문제 해결력은 영재 프로그램에서의 수행 능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ues of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rformance in G/T programs in identifying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The correlation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s performance in G/T programs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5th graders, all of which were already identified as gifted students in Math,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s academic achievements in math were not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their performance in G/T math programs, and that, on the other hand,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their performance in G/T math programs. Further discussion was continued.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영재의 수학교과 선행학습 정도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홍진곤(Jin-Kon Hong),장보윤(Boyoon Chang),김경록(Kyeong Rok Kim),진석언(Sukun 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Curriculum acceleration at private institutes is prevailing phenomena among many smart students in Korea. Curriculum acceleration has been known and recommended as one of effective options that gifted students can benefit from. However, most Korean students register at private institutes and learn regular curriculum before regular schools teach them, not for pursuing meaningful learning that cannot be provided by regular schools, but for competing for better grades at regular schools.<B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evailing curriculum acceleration in mathematics is amo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nd,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ir experiences of curriculum acceleration in mathematics affect their performance on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Because most gifted programs in Korea heavily depend on this test in identifying gifted students, many worries about the possibility that gifted programs are overidentify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urriculum acceleration in private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by gifted education programs experienced curriculum acceleration in mathematics. However, it also turned out that students" experiences of curriculum experiences was not related to their scores in the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현재 우리나라에는 영재교육을 받기 위한 사교육과 선행학습이 주목할 만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영재를 판별하기 위한 학생 평가의 준거로서 주로 사용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는 이와 같은 선행학습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검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영재 학생들의 선행학습 여부 및 그 정도는 어떠한지, 그리고 수학 영재 선발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결과에 수학 교과의 선행학습 정도가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평균적으로 2년에서 2년 반 정도에 해당하는 수학교과와 관련한 선행학습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정규교육과정에 근거한 학업성취도는 모두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어서 별다른 변별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선행학습 수준이 성취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어떤 상관을 나타내는지 살펴본 결과 어느 것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학영재로서 판별되는데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라는 것을 고려할 때, 일단 본 연구를 통해서는 선행학습을 얼마나 많이 하였는가에 의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에서 좋은 점수를 얻는데에 이렇다할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과학영재를 위한 ICT 핵심역량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이재호 ( Jaeho Lee ),진석언 ( Sukun Jin ),신현경 ( Hyunkyung Sh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영재들에게 필요한 ICT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인 미래인재에게 필요한 ICT 역량에 대한 기존 연구[6]를 기반 모델로 설정하여, 해당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등에 대해 영재교육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대규모의 영재교육 담당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가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전문가들이 지리적으로 전국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는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의견조사지를 제작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로 빈도분석에 의해 요약, 종합하는 방법으로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확인하는데 활용되었다. 일부 ICT 역량 수준별 비교 등의 집단비교를 위해 x2검증 또는 변량분석(ANOVA)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 ICT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의 3대 핵심역량이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으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각 핵심역량별로 제시된 하위 교육목표들을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목표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 형태로서 `산출물 제작 중심 교육`과 `정보기기 활용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provide the bases of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fostering ICT competencie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answer the questions like `What are the ICT core-competence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How can we educate those competencies effectively?` We started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on ICT competencies for talented people in future society and then adopted one[6] as the basis for further validation. We tried to work with as many G/T experts as possible, and decided to use the online survey methodology because the experts a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The survey was sent to the corresponding person who is in charge of G/T education in each area, and then e-mailed to G/T experts in that area. Through these procedures, three hundred four(304) G/T experts from all around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1) G/T experts agreed wit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CT competencies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2) G/T experts agreed with the validity of three core ICT competencies, which are `knowledge and skills competence, creativity competence, and characteristic competence,`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3) G/T experts agreed with the validity of educational goals, which are suggested for fostering each ICT core-competence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4) G/T experts regarded `product-oriented education` and `ICT device-oriented education` as important and effective types of education programs for fostering ICT competencie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무정(Cho Moo Jeoung),진석언(Jin Suk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the essential components of group creativity that can be observed while gifted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that required them to utilize their creativity on the group level. The participants are 12 sixth graders in a special class for gifted students. Twelve gifted students, composed of three subgroups with four students each subgroup, experienced group creativity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4 months, from April to July 2014, specifically, for a total of 1,400 minutes in seven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 observations and personal and/or group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1978)’s method of phenomenology and Nvivo 10, which is specially designed for data analysis i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irteen essential components of group creativity experiences in the complex and simultaneous dynamics. This study found were the followings: (1) sharing knowledge, ideas, and experiences, (2) effectiveness of the ideas useful for problem solving, (3) questioning that leads the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4) communication based on attentive listening, (5) effective or ineffective decision making, (6) leadership by members contributing to group tasks, (7) complementary cooperation, (8) role allotment based on individual strength, (9) conflicts existing throughout collective task, (10) interpersonal behaviors enhancing group dynamics, (11) posi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12) limited time resource, which is typical of classroom learning, and (13) strictly, and intentionally, limited intervention by the teacher.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이 집단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의 경험을 통해 집단 창의성의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1년부터 3년까지 영재교육 수강 경력이 있는 총 12명의 6학년 과학 영재학생들이며, 자료 수집을 위한 현장 참관은 총 7회기 28차시에 걸친 1,400분의 수업을 개방적 관찰, 개인 면담 그리고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Nvivo 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3개 주제묶음 즉, ‘집단 속에서 공유되는 지식, 정 보 그리고 경험, 문제해결에 유의미한 아이디어의 위력,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질문, 경청이 기본이 되는 의사소통,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의사결정,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 집단을 이끎, 도와주고 도움 받는 상호 보완적 협력, 개인의 재능이 반영된 역할 분담, 집단과 공존하는 갈등, 집단을 변화시키는 관계적 행동, 집단을 유지시키는 긍정적 개인 특성, 유대관계 를 변화시키는 촉박한 시간, 초점에 맞춰 최소 개입하는 교사’로 범주화하였다. 집단 창의성발현과정의 경험에 대한 집단 창의성의 본질적 구조는 13개의 주제묶음들이 서로 관계성을 띄며, 복합적이고 동시다발적인 역동적 관계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방법론 개선 차원에서 매우 실제적 가치가 있고, 영재학생들에게 집단 창의성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김은성(Kim Eun Sung),진석언(Jin Sukun),조덕주(Jo Duk Joo)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Satir의 의사소통이론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실제 학교 교육 맥락을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사들에게 적용,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직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적용,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의사소통역량은 하위요소인 자료수집, 경청, 고정관념적 사고 극복, 창의적 의사소통, 자기 드러내기, 주도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 요소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Satir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하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치적 의사소통을 위한 자기성찰의 중요성, 자기성찰을 위한 이론 습득의 중요성, 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등에 대해 논의 및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Satir’s communication theory and to analyze of the effects of this program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Satir’s competency theory and the real situation that teachers confronted in school, 10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curriculum specialists. Identical tests to measure communication competency were initi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alyzing those results gathered, it was proved the program design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to improv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focusing on self-reflection, and the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 teachers based on real situation of school for developing their practical competencies.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단위학교 수준 인문사회 영재교육 모형의 개발

        신의주(Euijoo Shin),진석언(Sukun Jin)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에서의 인문사회 영재교육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다. 현행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일반학급에서 인문사회 영재를 판별하고, 그들을 위한 단위 학교별 인문사회 영재교육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소외된 영역이었던 인문사회영역의 영재들에게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해 주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 교육과정을 활용한 ‘중학교 인문사회 영재교육 모형’을 구안하였다. 본 모형은 중학교 3년 동안의 정규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구상되었으며, 일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교육과정평가 단계, 여름 캠프 기간 동안의 면담 및 관찰을 통한 심층 평가 단계, 실질적 영재 교육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심화교육 단계의 총 3단계를 거치며 진행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TIDIS : HSS/M 모형’ 이라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TIDIS : HSS/M (Talent Identification & Development in School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Middle school)’ 모형은 계열성의 측면에서는 학생들이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가면서 점차 준비단계와 심화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TIDIS : HSS/M’모형은 1학년부터 2학년, 3학년에 걸쳐서 이루어지도록 구안되었다. 또한 ‘TIDIS : HSS/M’ 모형은 2학년과 3학년의 시기에 모두 영재가 발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학년 때 그들의 영재성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 학생들에게도 다시 영재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잠재적 인문사회 영재들이 영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구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gifted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sing the regular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Study 1] Developing gifted education model for finding and nurturing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regular middle sch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The Model of ’TIDIS: HSS/M (Talent Identification & Development in Schoo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Middle school)’ was developed using the regular middle school curriculum, which was based on a total of three years.. The first stage of this model assessed students’ talents using regular evaluation in classes. The second stageconsisted of an in-depth assessment through interviewing and observing students during summer camp. The third and final stage of this model is operation intensive gifted education programs by homogeneous grouping.

      • KCI등재

        ICT기반 창의인재상 정립에 관한 연구

        이재호 ( Jaeho Lee ),진석언 ( Sukun Jin ),신현경 ( Hyunkyung Sh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ICT 분야의 영재교육이 길러내야 할 21세기형 인재상을 `ICT 기반 창의인재`로 규정하고, ICT 기반 창의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ICT기반 창의인재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ICT기반 창의인재상은 핵심역량, 특성요인, 특성요소 등의 3단계 구조로 정의되었다. 인재상 영역은 지식기술 역량, 통합창의 역량, 인성 역량 등의 3 개 영역으로 정의하였으며, 각 영역별 3 개씩의 특성요인을 정의함으로써 총 9 개의 특성요인을 정의하였고, 각 특성요인별로 역시 3 개씩의 특성요소를 정의함으로써 총 27 개의 특성요소를 정의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ICT기반 창의인재상에 대해 현장교육의 전문가들인 초중등학교의 현직 교사들에게 그 타당성을 평가하도록 의뢰한 결과, ICT기반 창의인재의 3개 핵심역량과 각 역량별로 제시된 특성요인과 특성요소 등의 타당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의견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ICT기반 창의인재상은 양호한 타당도를 가진 모델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인재상은 21세기에 활약할 미래 인재의 양성을 위한 초중등학교의 ICT 교육 및 ICT 영재교육의 설계 및 운영에 좋은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as the type of persons that gifted education in the ICT area should cultivate for the 21st century. The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is made of three dimensions by 3 core competencies, 9 traits, and 27 characteristics. The field experts, that is, teacher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model. Teacher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about the validity of the multi-dimension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We expect that this model can provide a useful guide to designing and operating ICT education and ICT gifted education for cultivating talented persons to contribute for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지능검사 데이터의 분석에 근거한 초등학교 영재학생의 출현 비율 추정

        양정모(Joungmo Yang),진석언(Sukun Jin)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atio of gifted childre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IQ t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lso to find the concrete criteria for identifying gifted children. For these purpose,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had to be answered. Research Questions 1. Explore the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groups of gifted individuals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results. Research Questions 2. For the ROC analyses, the selection criteria for gifted children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IQ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In order to estimate the ratio of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intelligence test results, KU-BPT test was conducted on 1,0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conducted based on the scores of the three sub-tests from this IQ Test: languagistic, mathematic and spatial. Based on the gifted groups identified by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tests the cut-off value for selecting gifted students by the ROC analysis. The grouping results based on the IQ test-based identification and the teacher's subjective rating on the intellectual giftedness of student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on the IQ test results, we could identify the gifted group, which accounted for about 5.6% of the total students group. Second, Through the ROC analysis, for finding the concrete criteria in selecting student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cut-off value expressed as IQ was 111.5, which turned out to include about 9.58% of the total students group in gifted educa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지능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영재집단의 구분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영재학생의 출현비율 추정 및 영재교육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해 보는 것이었다. 우선 지능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잠재적 영재집단의 비율을 추정해 보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012명을 대상으로 KU-BPT 검사를 실시한 후, 본 지능검사에서 제시한 3개의 소검사 점수, 즉 언어, 수리, 공간영역 점수를 요인으로 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능지수(IQ)를 기반으로 한 영재판별 기준을 설정하고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해 확인된 잠재집단을 바탕으로 ROC 분석을 하여 영재의 출현비율에 따른 영재교육대상자 선정기준(Cut-off Value)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해 확인된 3개의 잠재집단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의 지능검사 결과를 보여준 집단을 영재집단으로 추정해 보았을 때, 이들은 전체 학생의 약 5.6%에 해당되었다. 둘째, 단일지표인 지능지수(IQ)를 활용한 ROC 분석을 통해 확인된 영재 집단과 일반학생집단을 구분해 주는 Cut-off Value는 IQ 111.5로 나타났으며, 이를 영재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삼을 경우 전체 일반학생집단의 약 9.58%를 선정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